검색결과 필터

[전체] “나주평야” 에 대한 검색결과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2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한 돗자리 생산이 많고, 일부는 해외에 수출하기도 한다. 영산강 제1단계 사업지구 중 최남단에 위치하는 나주지구는 주수원(主水源)인 영산강이 의 중심점인 영산포까지 감조(感潮)되기 때문에 강물을 직접 취수하여 농업용수로 이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영...
  • 안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안로라는 지명은 ‘큰 고을〔大邑〕’이라는 뜻을 가진다. 안로의 위치는 섬진강 유역의 나주시 남쪽을 차지하며, 이 지역은 의 일부를 구성한다. 옛 주읍(主邑)이었던 나주시 반남면과는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섬진강의 지류인 송지천(松...
    이칭별칭아로곡(阿老谷)|노신(鹵辛)|야로(野老)
  • 여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닮았다는 데에서 나왔다. 조선시대에 이 지역은 영산강의 지류인 황룡강(黃龍江) 유역에 있어 의 북쪽을 차지하였다. 용진산(湧珍山) 남쪽에 있었고, 부근에 북창(北倉)이 있어 세곡을 모아 남쪽으로 보냈다. 하천 부근에 선암참(仙巖站)이 있어 나주와 장...
    이칭별칭수천현(水川縣)|수입이현(水入伊縣)
  • 아로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山)과 도지봉(道旨峯)에서 북쪽으로 뻗은 두 산줄기 사이에 영산강 지류인 송지천(松只川)이 만드는 비교적 넓은 골짜기에 위치하였다. 지명 유래는 ‘큰 골짜기(大谷)’라는 뜻에서 나왔다. 의 일부를 차지하는 이 지역에는 조선시대에 동창(東倉)이 있었다. 교...
    이칭별칭노신(鹵辛)|야로현(野老縣)
  • 모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산강의 지류인 고막천(古幕川) 상류에 넓게 발달한 이 지역은 에 속한다. 조선시대에는 나주와 영광을 연결하는 도로가 발달하였으며, 북쪽에는 무악산(毋岳山)이 있다. 지금의 대동면과 나산면 지역으로 추정된다. 『여지도서(輿地圖...
    이칭별칭다지현(多只縣)|다기현(多岐縣)

고서·고문서(1)

  • 문양을 활용하여 의 사진을 인쇄하였다.    경성, 조선물산공진회, 시정5년, 경복궁, 전라남도, 나주, 평야, 전라남도협찬회, 오동나무, 현황, 농산, 임산, 수산, 인구, 수치 일본어 최종길 신동규 신동규 全羅南道道勢. 廣袤八百八十二方...
    자료명전라남도의 현황 | 발행처全羅南道協贊會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주제어사전(6)

  • /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나주시의 영산강 중류에 형성된 평야. 영산강 중류의 나주시 일대에 넓게 펼쳐진 충적지를 중심으로 형성된 평야이다. 특히 황룡강(黃龍江)과 지석천(砥石川)이 영산강으로 유입하는 합류 지점 일대가 의 중심이다.

  • 반나부리 / 半奈夫里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나주 지역의 옛 지명. 당나라가 백제를 멸망시킨 뒤 대방주(帶方州)의 영현이 되었다가 신라 경덕왕 때 반남군(潘南郡)으로 바뀌었다. 반나부리의 뜻은 ‘대읍(大邑)’이다. 이 지역은 의 일부로 영산강 동쪽에 자리잡고 있어 예로부터 물산이 풍부하여 큰 취

  • 모평 / 牟平 [지리/인문지리]

    풍현(咸豊縣)과 합치어 함평현(咸平縣)으로 하였고, 치소(治所)를 함풍현에 두었다. 모평의 지명유래는 ‘모(牟)’가 마을을 뜻하고 ‘평(平)’이 넓은 들을 나타내어 ‘평야지역의 취락’이라는 뜻이 된다. 영산강의 지류인 고막천(古幕川) 상류에 넓게 발달한 이 지역은

  • 여황 / 艅艎 [지리/인문지리]

    영산강의 지류인 황룡강(黃龍江) 유역에 있어 의 북쪽을 차지하였다. 용진산(湧珍山) 남쪽에 있었고, 부근에 북창(北倉)이 있어 세곡을 모아 남쪽으로 보냈다. 하천 부근에 선암참(仙巖站)이 있어 나주와 장성을 연결하였다. 지금의 용동 지역으로 추정된다.

  • 나주자미산성 / 羅州紫薇山城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백제의 성곽.산성. 시도기념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88호. 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있어서 사방으로의 시계가 좋다. 해발 94.5m의 자미산은 구릉에 불과하나, 산정은 편평한 대지로 되어 현재 헬리포트(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