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나재집”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축출한 글로 유명하다. 난재집 난재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다. 그밖에 인산서원(仁山書院)의 강당을 새로 짓게 된 동기와 주위의 경관 및 그 유래를 담은 「인산서원강당상량문(仁山書院講堂上樑文)」이 있다. / 이이장 조선 중기의 학자 이이장의 시문집. 1956년 이익현...
  • 송유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학문에 힘썼다. 저서로는 『』이 있다. 『()』
    이칭별칭 사범(士範)| 나재(懶齋)
  • 나재채수신도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그 후 벼슬을 버리고 경상도 함창(지금의 경상북도 상주군 지역)에 은거하여 쾌재정(快哉亭)을 짓고 독서와 풍류로 여생을 보냈다. 사후에 좌찬성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양정(襄靖)이며, 저서로는 『』을 남겼다. 1703년(숙종 29) 임호서원(臨湖書院)이 건립되어...
  • 강회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태종실록(太宗實錄)』 『대동야승(大東野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사숙재...
    이칭별칭 백보(伯父)| 통정(通亭)

단행본(2)

  • 저자 : 권진호(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욱(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상호(한국국학진흥... | 출판사 : 성심출판사 | 출판일 : 2010.06.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庵集 拙窩集 東旅集 拙齋集 黔澗集 沙西集 愚軒集 吹篪齋集 靜窩集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9세기) 3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저자 : 김인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사 | 출판일 : 2012.12.31.
    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
    橘下遺稿 克 屐園遺稿 克齋集 謹菴集 近菴集 襟溪集 錦谷集 錦堂新哦 錦

고서·고문서(3)

  • 회우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거쳐서 무안현감・영양현감을 역임하였으며, 1762년 通政大夫로서 護軍이 되었다. 저서로는 『』이 있다. 輓金上舍-成胤 (31) 金成胤의 죽음을 슬퍼하여 지은 글이다. 輓金同知-聖龜 (31) 金聖龜의 죽음을 슬퍼하여 지은 글이다. 輓李正郞-長泰 (31)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문적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
    藁 止止 止(자필본), 止々(고려대본), 止止(나진옥본)堂集 四雨亭集 精忠錄 佔畢 ‘亻+畢’ 우측에 ‘’ 표시 후 아래에 ‘畢’ 기입(자필본), 畢(고려대본, 나진옥본)齋 忠武錄 尙書諺吐 百里指南 吏學指南 自警編 十抄詩 詩(자필본, 나진옥본), 恃(고려대본...
    대표표제어문적략 | 편명_제목문적략
  • 7월 환관 安仲敬의 동생 安仲佐를 東班의 벼슬로 삼아 안중좌가 이미 參奉이 된 것에 파직을 청하는 상소문이다. “안중좌 는 전례에 따라 옮기면 奉事가 되고 直長이 될 것이며, 副正이 되고 正이 되는 데에 이르러서, 모두 資級에 따라 승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4)

  • 극난재집 / 克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권제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9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869년(고종 6) 손자 기(炁)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대진(金岱鎭)의 서가 있고, 권말에 이병은(李秉殷)의 발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2에 시 26수,

  • / [종교·철학/유학]

    채수의 문집. 목판본, 발:채기덕(1940)·채홍의(1940), 4권2책. 권두의 권1에는 저자의 일생 행적을 연대별로 상세하게 기록한 연보가 실려 있다. 본집 권1에는 독학부 1편과 시가 실려 있다. 권2에는 계 38편과 차 5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소 11편

  • 송유식 / 宋儒式 [종교·철학/유학]

    물러나서는 향리에 돌아가 학문에 힘썼다. 저서로는《》이 있다.

  • 채수 / 蔡壽 [종교·철학/유학]

    1) 예문관수찬이 된 뒤, 홍문관교리·지평·이조정랑 등을 역임하면서 ≪세조실록≫·≪예종실록≫의 편찬에 관계하였다. 저서로 ≪≫ 2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