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나이준”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6(숙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수성(壽城). 자는 택우(宅于), 호는 매헌(梅軒). 할아버지는 세겸(世謙)이며, 아버지는 용(瑢)이다. [내용] 1635년(인조 13) 사마시에 합격하고 164...
    이칭별칭 택우(宅于)| 매음(梅陰)
  • 매음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4권 1책. 목판본. 권말에 박명수(朴明壽)의 후지가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10수, 권2에 소(疏) 6편, 서(書) 20편,

고서·고문서(9)

  • 36314 B036314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3年 2月 8日_012 張善瀓爲鐵原府使, 趙裒爲甲山府使, 李必馨爲慶源府使, 鄭瀁爲杆城郡守, 申時豪爲碧潼郡守, 李厚先爲忠公都事兼春秋館記注官, 爲江原都事兼春秋館記注官, 金澄爲黃海都事兼春秋館記注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6322 B036322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3年 2月 8日_012 張善瀓爲鐵原府使, 趙裒爲甲山府使, 李必馨爲慶源府使, 鄭瀁爲杆城郡守, 申時豪爲碧潼郡守, 李厚先爲忠公都事兼春秋館記注官, 爲江原都事兼春秋館記注官, 金澄爲黃海都事兼春秋館記注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根, 故差勝云矣。 上曰, 瑞山·泰安, 何如? ?曰, 瑞山則稍優, 泰安則最下云耳。 上曰, 所聞不一, 的矣, 麥事果善登耶? ?曰, 雖未大有, 而亦可謂?矣。 上曰, 麥價幾何云乎。 ?曰, 秋牟一石, 至於四兩云矣。 上曰, 何如是騰踊, 嶺南則價賤耶? 益運曰, 聞嶺南麥價, 至...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竭, 海民之受弊, 殆有甚於弩末竿頭, 濟州牧穀物加劃一款今姑置之事, 請令廟堂稟處矣。 當初該牧請劃之數, 準島中三邑民口摠數, 自昨年初冬, 至今年麥秋, 計口計日, 以米磨鍊, 故其數至於折米一萬四千石之多, 道臣狀辭, 廟堂覆啓, 皆以所請過多, 劃爲言, 而如傷之音, 惻?之旨, 勤...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昌啓 景述 癸巳 癸酉 仝 權 垕 厚之 壬寅 癸酉 仝 李光前 士述 甲申 乙亥 仝 權昌震 東彦 丁酉 乙亥 啞盲 生員 金時忱 宗卿 庚子 乙亥 仝 棒尤 壬寅 丙戌春春乙亥 梅陰 仝 金 鋼 可久 己酉 乙亥 迂叟 仝 朴安欽 君敬 己卯 仝 宋光心...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86(숙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세겸, 아버지는 용. 1635년(인조 13) 사마시에 합격하고 1646년(인조 2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관직으로는 정언, 수찬, 교리, 보덕, 집의, 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1774년(영조 50) 성

  • 유영립 / 柳英立 [종교·철학/유학]

    1623년(인조 1)∼1686년(숙종 12).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유형, 조부는 유란. 부친 유인무와 모친 광주안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7형제가 있다. 부인은 홍문관교리 의 딸이다. 1663년(현종 4) 식년시 병과 12위로 급제하였다. 태학관박사·장흥고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