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나양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27)
- 나양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명재유고(明齋遺稿)』 나양좌(1638-1710) ...이칭별칭 현도(顯道)| 명촌(明村)
- 이익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죄없이 몰리는 나양좌(羅良佐)를 변호하다가 삭직당하였다. 1688년 정언으로 복직되고, 1689년 다시 지평이 되었다. 성품이 강직하였는데, 당시 위세를 떨치던 장희빈(張禧嬪)의 어머니가 가마를 타고 궁문을 나가는 것을 막다가 파직되기도 하였으나 곧...이칭별칭 구이(久而)| 백묵당(白默堂)| 문간(文簡)
- 패복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마음에 새김. 所.六把節. 特出尋常 佩服風誼 珍謝僕僕, 나양좌(羅良佐), 5-12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풍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정의(情誼). 所.六把節. 特出尋常 佩服風誼 珍謝僕僕, 나양좌(羅良佐) 5-12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경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삼복더위 卽伏惟庚暑 兄仕履神相 第阻音徽只自.慕, 나양좌(羅良佐) 47-152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9)
- 갑술년 나양좌(羅良佐)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논산 노성 파평윤씨 명재 종가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忍人等說, 莫非從此演出。 此事顚末, 備載於故掌令羅良佐之疏, 則聖鑑或已洞燭矣。 時烈初祭宣擧文, 發明江都 ...출처전거肅宗實錄補闕正誤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事之不足累宣擧, 則欲以江都事, 爲詬辱之資, 又托於鑴說, 揷入四字。 後來俘虜、忍人等說, 莫非從此演出。 此事顚末, 備載於故掌令羅良佐之疏, 則聖鑑或已洞燭矣。 時烈初祭宣擧文, 發明江都不死之義曰: ‘中經大亂, 非欲瓦全。 文山倉卒, 腦不閼年。 且在觀志, 身不敢專。’ 又《三學士傳》...출처전거肅宗實錄補闕正誤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3988 B013988 강도 江都 정치행정 肅宗實錄補闕正誤四十三年(1717) 九月 숙종실록보궐정오_14309002_001 ... 四字。 後來俘虜、忍人等說, 莫非從此演出。 此事顚末, 備載於故掌令羅良佐之疏, 則聖鑑或已洞燭矣。 時烈初祭宣擧文, 發明江都不死之義曰: ‘中經大...출처전거肅宗實錄補闕正誤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풍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함하고 사리에 맞지 않으며 宋時烈이 木川의 통문을 지시했다고 주장하는 羅良佐의 상소와 陞補試에서 宋時烈을 비난하는 詩題가 올라오자 이에 대하여 宋時烈의 門人이었던 持平 李秀彦이 올린 師門의 被誣에 대한 辨明疏가 실려 있다. 餒翁郭公守熀所撰六侯別記 李景華가 큰 화를...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나양좌 / 羅良佐 [종교·철학/유학]
1638(인조 16)∼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만갑, 아버지는 목사 성두, 어머니는 판서 김남중의 딸이다. 윤선거의 문인이다. 송준길의 추천으로 희릉참봉·동몽교관·상의원주부의 벼슬을 받았으나 모두 사퇴하였고, 1683년(숙종 9) 평강현감을
-
갑을록 / 甲乙錄 [역사/조선시대사]
윤증이 송시열에게 노서묘갈명을 개찬(改撰)해줄 것을 청한 서신과 송시열의 답서, 개찬이 거부된 것을 계기로 한 두 계열 사이의 진정(陳情)·신변(伸辨)의 상소·통문(通文) 등이 실려 있다.제3책은 소론계의 나양좌(羅良佐)·최석정(崔錫鼎)·이계언(李季彦) 등의 신구소(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