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나성두”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14(광해군 6)∼1663(현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정(安定). 자는 우천(于天), 호는 기주(碁洲). 할아버지는 보덕(輔德) 급(級)이고, 아버지는 참의 만갑(萬甲)이며, 어머니는 좌찬성 정엽(鄭曄)의 딸이다...
    이칭별칭 우천(于天)| 기주(碁洲)
  • 김창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며, 어머니는 호조좌랑 ()의 딸이다. 창협(昌協)‧창흡(昌翕)의 형이다. 이른바 노론 4대신으로 불린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72년(현종 13)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1675년 아버지 수항이 화를 입고 귀양가자 과거 응시를 미루었다. 1...
    이칭별칭 여성(汝成)| 몽와(夢窩)| 충헌(忠獻)
  • 나급(羅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1남 1녀 (1자) 나만갑(羅萬甲); 문과 급제, 형조 참의(參議) (1녀) 사인(士人) 이문형(李文蘅)의 처 (손자) (); 유일(儒逸), 해주목사(海州牧使) [총론] [1552년(명종 7)∼1602년(선조 35)...
  • 동춘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申翊全)‧송시열(宋時烈)‧권지(權趾)‧윤순거(尹舜擧)‧김수창(金壽昌)‧윤선거(尹宣擧)‧()‧이동직(李東稷)‧이홍윤(李弘潤)‧홍주세(洪柱世)‧이단상(李端相)‧이단하(李端夏)‧김수항(金壽恒)‧민정중(閔鼎重)‧민유중(閔維重)‧남구만(南九萬)‧윤증(尹拯)‧박세채...
  • 김남중(金南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閔有慶)의 딸 →(자녀)2녀 (둘째 부인)전주 이씨(全州李氏) : 이세헌(李世憲)의 딸 →(자녀)3남1녀 (1자)김홍진(金弘振) (2자)김일진(金一振) (3자)김필진(金必振) (1녀)()의 처 (2녀)서정리(徐正履)의 처 (3녀)정재악(鄭載岳)의 처...

고서·고문서(6)

  • 1660년 () 허혼답서(許婚答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 현소장처대전 선사박물관
  • 38434 B038434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仁祖 26年 10月 5日_007 ○以爲翊贊, 李慶綿·崔鎭東·景星翼·張時翰, 爲武兼宣傳官, 邊忠範爲五衛將, 金至剛爲同知, 成豐烈·吳孝誠·李遠爲僉知, 金是聲爲宣傳官, 金天龍爲多大浦僉使, 徐相民爲翊衛, 朴世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禁暴止亂,所以安民。搏擊豪強,毋憚貴近,亦民牧之攸勉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杖斃之。 爲鳳山縣監。縣吏鄭行之奴,叛投麟坪大君,構行徙邊。知公得其情,懼不自安。及麟坪赴燕,迎愬欲生事,公聞之,囚其母。麟坪大怒,盡驅納從者於獄曰:“阻我行者,縣也。” 坐是罷,李基祚入對言:“此羅萬甲子,有父風。” 上曰:“此人,予亦知之。” 然竟削職。 66 ~ 68쪽
    권차명牧民心書 卷十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동유기(東遊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삼주(三洲), 본관은 안동이다.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의 증손자이고, 영의정을 지낸 김창집(金昌集)의 아우이다. 아버지는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이며, 어머니는 안정 나씨(安定羅氏)로 해주 목사 ()의 딸이다. 어려서는 외조부에게 학문을 배웠고, 15세에 정...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김창협(金昌協)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동유기(東遊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호는 포음(圃陰), 본관은 안동이다. 아버지는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이며, 어머니는 안정 나씨(安定羅氏)로 해주 목사 ()의 딸이다. 형 창집(昌集)‧창협(昌協)‧창흡(昌翕)‧창업(昌業), 동생 창립(昌立)과 함께 ‘육창(六昌)’이라 불렸다. 조봉원(趙逢源)...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김창즙(金昌緝)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1)

  • 國富民殷이在於商工論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地不能洛橘汶麻고人不能鉄衣珠食니此羲經所以設日中爲之兩制오孟子所以論通工易事之道也라昔에陶朱公이知越王句踐之不可與同富貴고五湖烟月에西施載歸야三致千금고顧寧人이當明末淸初야胸고手弄風雲而逢時不幸에無所用武야博試其濟世安民之策야墾田治圃에累致富豪니若人者如星芒釼花야...
    게재일1907년 5월 18일 | 기사분류기타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14(광해군 6)∼1663(현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보덕 급, 아버지는 참의 만갑, 어머니는 좌찬성 정엽의 딸이다. 장유·정홍명의 문하에 있었으며, 스승의 권유로 1646년(인조 24) 과거에 응하여 진사가 되었다. 이산현감을 역임하였다.

  • 김창즙 / 金昌緝 [종교·철학/유학]

    1662(현종 3)∼1713(숙종 39).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영의정 수항, 어머니는 의 딸이다. 여섯 형제 중 다섯째로 태어났는데, 형 창집·창협·창흡·창업과 함께 문장대가로 당시 육창이라 불렸다. 조봉원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왕자사부, 예빈시

  • 김창집 / 金昌集 [종교·철학/유학]

    1648(인조 2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좌의정 상헌 증손,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광찬, 아버지는 영의정 수항, 어머니는 호조좌랑 의 딸이다. 창협·창흡의 형이다. 이른바 노론 4대신으로 불린다. 정언, 지돈녕부사, 우의정, 좌의정, 영

  • 김창흡 / 金昌翕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학자. 좌의정 상헌의 증손자, 아버지는 영의정 수항, 어머니는 의 딸이다. 형은 영의정을 지낸 창집과 예조판서·지돈녕부사 등을 지낸 창협이다. 이단상의 문인이다. 저서로는『삼연집』·『심양일기』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