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나삼” 에 대한 검색결과 3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1)

사전(9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불렸다. 오늘날에는 여조직(‧組織)의 얇은 항라(亢羅)만이 전통 나직물(羅織物)로 남아 있으며, 씨실수에 따라 3월려‧5월려‧7월려 등으로 부른다. 그러므로 은 나로 만든 홑옷[衫]을 의미하는 말이고, 특별한 형태의 의복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경주 인삼. ‘나(羅)’는 신라(新羅)의 의미이고 경주(慶州)이 품질이 뛰어나다고 함. 江蔘二兩 一兩 鹿茸三對 胡椒六斗 各色扇六十柄 扇香一介, 정조(正祖), 26-17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TD_I2_S_0015 新代 사서·역사학 聖骨, 眞骨, 昏亂, 革舊 新羅, 三代, 上代, 中代, 下代, 三代 赫居世, 眞德, 太宗武烈王, 惠恭, 宣德, 敬順, 眞德, 武烈, 永王, 女主, 春秋, 惠恭, 宣德, 元聖, 永王, 敬順 春秋 S_...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2권 1장 6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기림사소조비로자존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된다. 따라서 중수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國寶 Ⅰ‧增補版(上)‧(鄭永鎬 外編, 藝耕産業社, 1990)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불좌상
    연계항목기림사소조비로자나삼존불상(祇林寺塑造毘盧舍那三尊佛像)
  • 법수사비로자존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절단된 것으로 삼존상의 보존상태는 심각한 편이다. 그러나 이 삼존상은 좌우 협시보살이 사자와 코끼리를 탄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며, 표현양식이 비교적 뛰어난 통일신라 후기 작품이므로 신라 비로자존불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라는 점에서 크게 주목된다. 본존상...

고서·고문서(219)

  • 經史門5_新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代 新羅有三代, 自赫居世至眞德二十八王爲上代, 自太宗武烈王至惠恭八王爲中代, 自宣德至敬順二十王爲下代. 又以眞德以上爲聖骨, 自武烈至永王爲眞骨, 未知何義. 或者謂, 女主昏亂, 而春秋革舊爲治. 惠恭幼立, 社稷幾亡, 卒死於亂兵, 而宣德雖無維新之政, 敬愼持位, 及至元聖文治,...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二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篇七]論史門四_新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代 新羅有三代, 自赫居世至眞德二十八王爲上代, 自太宗武烈王至惠恭八王爲中代, 自宣德至敬順二十王爲下代. 又眞 眞: 성균관대본(가)에는 ‘貞’으로 되어 있다.德以上爲聖骨, 自武烈至永王爲眞骨, 未知何義. 或者謂, 女主昏亂, 而春秋革舊爲治. 惠恭 惠恭: 규장각본ㆍ성호기념...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8038 B018038 거제현 巨濟縣 정치행정 世宗實錄 十三年(1431) 秋七月 세종실록_11307017_008 ○刑曹啓: “乃而浦留居倭時甫羅, 因興販到巨濟縣, 官奴李先乘醉恐嚇時甫羅, 執到船泊處, 探其所載物, 繫其髮欲付官, 時甫羅逃走入水, 李先追執之, 相...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670_노걸대언해(下)_ 이제 언머에 고 往年은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노걸대언해 258 1670_노걸대언해(下) 이제 언머에 고 往年은 1670노걸대언해下2b.jpg 이제 언머에 고 往年은 그저 서 돈에  근식이러니 이제  리 업슴으로 닷 돈에  근식이라도 어들  업스니라 네 뎌 蔘이 어딋 蔘고 내하 新이라 新...
    편명1670_노걸대언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30676 B030676 근도 近島 도서 근도(近島) 成宗實錄 五年(1474) 九月 성종실록_10509016_006 ○傳旨義禁府曰: “興陽倭賊多甫羅等橫行近島, 劫掠我船軍, 爲鉢浦萬戶裵孝修所追, 敢拒戰射傷官兵, 其推鞫以啓。”
    출처전거成宗實錄 | 지역분류근도(近島)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8)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多田之助(-) 청진 多田之助 - 明治町 - - 식료품,잡화상 - - - 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多田羅森之助(-) | 지역청진 | 품목- | 영업종목식료품,잡화상 | 자료출처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 우리 한국의 인삼 재배 방법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재배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글 인삼, 고려삼(高麗蔘), 신라, 호남, 최씨(崔氏), 증삼(蒸參), 개성(開城), 개성 홍삼, (), 영삼(嶺參), 강직(江直), 용삼(龍參), 송삼(松參), 산삼(山參), 평안도(平安道) 강계(江界), 속환(俗還), 홍삼...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8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憲會演說 [四) (윤효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목뎍을인야 달난거시라 무릇 졍치 량난 거시 립헌국인민의 맛당히 바이나 그러나 법국의혁명과갓흔거슨 곳야 그목뎍을달거시오공평정직도 쥰쟈아니라 그런고로 그나라의부강다은 아올킬마음만가지고 빈약쟈 누에먹듯야스로 살지데 지나지 아니거...
    게재일1905년 10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로 구분해서 스캔해야 함. 38쪽부터 시작되는 하단기사임. (38~47 하단기사) 朝日郞 필자정보 없음 46 따로 구분해서 스캔해야 함. 炎天熱語 필자정보 없음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6
  • 県外国人実態調査終 梶村秀樹, 三浦泰一, 三橋修, 安岡 千絵里 110 新 韓くにの風と人 藤本巧 122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5

기타자료(10)

  • 천춘;昔千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9697 일본 桐生 桐生高等工業學校 桐生高等工業學校一覽 昭和15年~昭和16年 1941―09―10 111면 석천춘;昔千春 조선
    학교소재지역桐生 | 학교명桐生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천춘;昔千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9702 일본 桐生 桐生高等工業學校 桐生高等工業學校一覽 昭和16年~昭和17年 1942―08―30 107면 석천춘;昔千春 조선
    학교소재지역桐生 | 학교명桐生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왜 효덕천황 때 매년 고구려가 사신을 파견해 조공했다고 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本云 是天皇世 高麗百濟新國 每年遣使貢獻也] (󰡔日本書紀󰡕 25 孝德紀)
    대표표제어왜 효덕천황 때 매년 고구려가 사신을 파견해 조공했다고 전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50년(庚戌/신라 진덕왕 4 太和 4/고구려 보장왕 9/백제 의자왕 10/唐 永徽 1/倭 白雉 1)
  • 왜 효덕천황 때 매년 고구려가 사신을 파견해 조공했다고 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파견해 조공하였다]. (『日本書紀』 25 孝德紀) 【원문】 夏四月 新羅遣使貢調[或本云 是天皇世 高麗百濟新國 每年遣使貢獻也] (『日本書紀』 25 孝德紀)
    대표표제어왜 효덕천황 때 매년 고구려가 사신을 파견해 조공했다고 전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50년(庚戌/신라 진덕왕 4 太和 4/고구려 보장왕 9/백제 의자왕 10/唐 高宗 永徽 1/倭 孝德天皇 白雉 1)
  • 신라가 보낸 사신이 왜에 조(調)를 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國 每年遣使貢獻也] (󰡔日本書紀󰡕 25 孝德紀)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사신이 왜에 조(調)를 전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50년(庚戌/신라 진덕왕 4 太和 4/고구려 보장왕 9/백제 義慈王10/唐 永徽 1/倭 白雉 1)

주제어사전(5)

  • / [생활/의생활]

    나(羅)로 만든 홑적삼. 나는 망상(網狀)의 가볍고 얇은 면직물로 신라시대 포방라(布紡羅)의 경우는 인피섬유류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는 문양·용도·재료에 따라 소라(素羅)·화문라(花文羅)·삼라(衫羅)·단사라(單絲羅) 등으로 불렸다.

  • 옥소전 / 玉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옥소전」은 중국소설 「소지현재합(蘇知縣再合)」을 개작한 것이다. 「소지현재합」이 부모를 해친 원수의 손에 길러진 주인공이 을 인연하여 부모를 찾고 원수를 갚는 인간의 기구한 운명을 그린 작품이라면, 「옥소전」은 주인

  • 천도화 /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전하는 부분의 내용만 가지고 볼 때, 「월봉산기」·「소운전」·「소학사전」 등과 함께 중국 명대의 소설 「소지현재합(蘇知顯再合)」의 번안작임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은 원작과는 다르게 군담(軍談)보다는 남녀의 결연

  • 봉황금 / 鳳凰琴 [문학/고전산문]

    명대소설(明代小說) 소지현재합(蘇知縣再合)을 번안한 소설. 「소운전」·「소학사전」·「월봉산기」·「월봉기」와 같은 계열이다. 이들 번안작품들의 내용과 문체를 비교 검토하여 보면, 작품간의 선후관계가 대체로 드러난다. 이들 중 가장 먼저 이루어진 것이 「소운전」이

  • 소운전 / 蘇雲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중국 명대(明代)의 소설 「소지현재합(蘇知縣再合)」을 번안한 작품이다. 소운·소우·장씨·정씨 등 등장인물의 이름은 일치되나 서룡·서봉·도곤 등은 변개되었다. 또한, 세부적 사건이나 작품의 정조(情調)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