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나박김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8)
- 나박김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배추와 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국물김치. [내용] 『규곤시의방』과 『색경』에 나박김치의 이름만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이미 나박김치 담그는 법이 보편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증보산림경제』의 담저법(淡菹法)에는 무에
- 나박김치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배추와 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국물김치.정의배추와 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국물김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abak gimchi | MR표기nabak kimch’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박김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절여놓고 배도 껍질을 벗기고 박과 같은 크기로 썰어놓는다. 절인 박을 헹구어 배와 실고추ㆍ파ㆍ마늘, 채썰은 생강 등 함께 항아리에 넣고, 소금물을 간 맞추어 붓는다. 박김치는 나박김치와 비슷한 김치로 맛이 시원하다. 담글 때 햇고추를 넣으면 맛이 좋고, 맨드...
- 유바라기/놋바라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유철(鍮鐵)로 만든 바라기. 바라기는 크기는 보시기와 비슷한데 아가리가 보시기보다 훨씬 더 벌어졌다. 국물이 없는 쌈김치, 짠지, 깍두기 등을 바라기에 담는다. 반면 국물 있는 배추김치나 동치미, 나박김치 등은 보시기에 담는다. 大圓盤肆立鍮伐兒壹細鐵絲參兩山猪毛參兩...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방구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인 질방구리는 특히 처녀나 젊은 새댁들의 물긷는 연습용으로 많이 이용되었다고 한다. 한편 오지방구리는 그릇 자체에서 물이 우러나는 일이 없으므로, 각종 음식을 담아두는 데 쓰였다. 곧 엿ㆍ감주ㆍ수수풀떡ㆍ호박풀떡ㆍ나박김치ㆍ기름 등을 담아 장독뚜껑이나 한지 등으로...
고서·고문서(1)
- 존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큰외삼촌, 작은외삼촌, 외사촌, 교육, 실고추, 나박김치, 신설로, 단종혈사, 암행어사, 옥루몽, 제갈량, 외사촌, 살아, 형제, 주소, 번지수, 없고, 명함, 없는, 혈친, 찾아대표표제어존엄 | 성씨김
구술자료(1)
- 미련한 사위 (1) [나박김치가 먹고 싶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제까지 몇 가지나 했느냐고 물어 여덟 가지라고 대답했다. “그럼 더 한다.” 고 하면서 들려 준 자료이다. 이 이야기가 끝난 후에 “재미 있잖아 그것두.” 하니까 옆의 청중이 “옛날에는 퍽 먹는 것들만 알어.” 라고 말했다.*조사일시1983-07-18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 제보자목수희
주제어사전(1)
-
나박김치 / [생활/식생활]
배추와 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국물김치. 『규곤시의방』과 『색경』에 나박김치의 이름만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이미 나박김치 담그는 법이 보편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증보산림경제』의 담저법(淡菹法)에는 무에 생강과 파 등을 넣고 간을 맞춘 나박김치가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