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나례” 에 대한 검색결과 2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4)

사전(19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안을 청소하고 정돈하는 한편, 벽사(辟邪)를 위하여 의식을 거행하였다. 궁(宮)이 정함으로써 나라 전체가 정하여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평안하기를 기원한 것이다. 연말에 구나(驅儺)하는 풍속은 일찍이 중국에서 비롯되었다. ≪후한서≫ 예의지(禮儀志)에 의하면...
    이칭별칭구나(驅儺)|대나(大儺)|나희(儺戱)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음력 섣달 그믐날 밤에 민가와 궁중에서 마귀와 사신(邪神)을 쫓아낸다는 뜻으로 베푼 의식.
    정의음력 섣달 그믐날 밤에 민가와 궁중에서 마귀와 사신(邪神)을 쫓아낸다는 뜻으로 베푼 의식.[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narye | MR표기nar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일반용어 나 () 【정의 및 이칭】 ()는 섣달 그믐날 궁중․관아․민간에서 가면을 쓴 사람들이 일정한 도구를 가지고 주문(呪文)을 외면서 귀신을 쫓는 동작을 해, 묵은 해의 잡귀를 몰아내던 의식이었다. 그러나 고려 말에는 점차 에서 구역의식보다
    대분류일반용어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희(儺戱) 대나(大儺) 구나(驅儺), 구나의식(驅儺儀式), 희(戱), 백희가무(百戱歌舞), 부묘의(祔廟儀), 산대(山臺), 창우희(倡優戱), 채붕(彩棚), 칙사연(勅使宴),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
    하위어나희(儺戱) | 동의어대나(大儺) | 관련어구나(驅儺), 구나의식(驅儺儀式), 나례희(儺禮戱), 백희가무(百戱歌舞), 부묘의(祔廟儀), 산대(山臺), 창우희(倡優戱), 채붕(彩棚), 칙사연(勅使宴),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작자연대 미상의 속악가사. [구성 및 형식] 노래의 제목으로 보아 잡귀를 물리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 때 불린 무가계통(巫歌系統)의 속악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궁중에서 섣달그믐날 밤에 거행한 세말(歲末) 때 불린 것...

고서·고문서(25)

  • 18796 B018796 검모포 黔毛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哲宗 9年 7月 4日_007 ○義禁府啓曰, 因全羅監司趙徽林狀啓, 戶曹粘目內, 黔毛浦萬戶金養信, 護送未免不勤, 臭載多至五隻, 有勘, 令該府稟處事, 判付內, 依允矣。 金養信, 時在任所, 依例發遣府羅將, 待交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7187 B077187 동래 東萊 정치행정 高宗實錄 元年(1864) 十月 고종실록_10110012_003 ○備局啓: “卽見東萊府使姜㳣狀啓, 則以爲: ‘日本陳賀差員先文, 今已出來矣。 京接慰官及差備譯官豫爲差出事, 請令廟堂稟處’矣。 接慰官、差備譯官差出及所單等節, 照例...
    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711 B003711 강도 江都 정치행정 光海君日記 十三年(1621) 六月 광해군일기_11306025_011 ○兵曹啓曰: “卽接左右廳移文, 追崇告廟還宮時所用軒架、雜像等役軍水卒六十名, 兩邊竝一百二十名, 當爲定送矣。 第念邊事日急,江都保障, 專倚水師, 此時調用水軍,
    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5 B000715 가도 椵島 도서 평안북도 承政院日記 仁祖 14年 8月 2日_014 竝呈雜戲, 而目今邊虞方棘, 年運亦凶, 缺弊所關, 亦不可不恤, 而況之役, 極爲數字缺其勢固難及期造成, 臣等之意, 似不必數字缺事係重大, 令廟堂定奪, 何如? 傳曰, 依啓事, 傳敎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史行署府事尋罷之又設軍民安撫使府㙮羅赤爲達魯花赤高仁朝安撫使文昌佑府使總都達同知事蔡有仁僉使行署府使甲午元革所處置府以 耽高麗翌年改爲濟州初以趙任爲都知招使崔瑞 ...
    출처전거濟州邑誌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5)

  • () 준비 기관의 변천과 양변(兩邊)의 전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아영, 게재일 : 2012
    51671 윤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립국악원 2012 () 준비 기관의 변천과 양변(兩邊)의 전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영조의(迎詔儀)시 도상 (途上 )의 첨입과정 및 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아영, 게재일 : 2011
    51672 윤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11 영조의(迎詔儀)시 도상 (途上 )의 첨입과정 및 성격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연잎(蓮葉)과 사이호(サイホウ)의 적 성격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성호, 게재일 : 2012
    51060 남성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고대학회 2012 연잎(蓮葉)과 사이호(サイホウ)의 적 성격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시용향악보』 소재 〈성황반〉〈가〉의 무불 습합적 성격과 연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나정순, 게재일 : 2014
    46279 나정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14 『시용향악보』 소재 〈성황반〉〈가〉의 무불 습합적 성격과 연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식민지기 경남 지역사회의 탈춤 ‘부흥’ 운동과 주도자들* ― 동래 야류 연행의 문화정치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훈상, 게재일 : 2012
    /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8620&local_id=10040908 식민지기 경남 지역사회의 탈춤 부흥 운동과 주도자들-雜戱에서‘민속극’으로의 창출- https://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7)

기타자료(9)

  • 나예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3922 남한 전남 목포상업학교 2-26 卒業記念寫眞帖 제22회(1943년 12월) 1905―06―10 1면 나예수;洙 제22회 1943년 12월
    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목포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공황후가 신라를 항복시키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없이, 봄 가을로 말의 빗 및 채찍을 바치겠습니다. 또한 바다가 먼 것을 번거롭게 여기지 않고, 매년 남녀의 조(調)를 바치겠습니다.” 거듭 맹세하였다. “동쪽에서 나오는 해가 서쪽에서 나오지 않는 한, 또 아리하(阿利河)가 역류하고 강의 돌이 하늘에 올라가 별...
    대표표제어신공황후가 신라를 항복시키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200년(庚辰/신라 나해이사금 5/고구려 산상왕 4/백제 초고왕 35/後漢 建安 5/倭 仲哀 9)
  • 신라가 왜에 미질기지(微叱己知) 파진간기(波珍干岐)를 질(質)로 보내면서 금은·채색 및 능라(綾羅)·겸견(縑絹)을 가지고 가게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에서 나오지 않는 한, 또 아리하(阿利河)가 역류하고 강의 돌이 하늘에 올라가 별이 되는 일이 없는 한, 봄 가을의 조(調)를 빼거나 태만하여 빗과 채찍을 바치지 아니하면 천신지기와 함께 죄를 주십시오.” 그 때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신라왕을 죽이겠습니다.”...
    대표표제어신라가 왜에 미질기지(微叱己知) 파진간기(波珍干岐)를 질(質)로 보내면서 금은·채색 및 능라(綾羅)·겸견(縑絹)을 가지고 가게 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200년(庚辰/신라 나해이사금 5/고구려 산상왕 4/백제 초고왕 35/後漢 建安 5/倭 仲哀 9)
  • 신라가 왜에 미질기지(微叱己知) 파진간기(波珍干岐)를 질(質)로 보내면서 금은·채색 및 능라(綾羅)·겸견(縑絹)을 가지고 가게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나오는 해가 서쪽에서 나오지 않는 한, 또 아리하(阿利河)가 역류하고 강의 돌이 하늘에 올라가 별이 되는 일이 없는 한, 봄·가을의 조(調)를 빼거나 태만하여 빗과 채찍을 바치지 아니하면 천신지기와 함께 죄를 주십시오.” 그 때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신라왕을...
    대표표제어신라가 왜에 미질기지(微叱己知) 파진간기(波珍干岐)를 질(質)로 보내면서 금은·채색 및 능라(綾羅)·겸견(縑絹)을 가지고 가게 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200년(庚辰/신라 나해이사금 5/고구려 산상왕 4/백제 초고왕 35/後漢 建安 5/倭 仲哀 9)
  • 발해 중대성 앞으로 첩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由 來非其期 待以何事 旣無地于逃責 豈不時而備儀 所司議成 從境放却 但龜謀等 業依風渚 身苦浪花 雖秋鴈僣知候之賓 而寒松全守貞之節 仍命州吏 造舶給糧 相善之敦 以此可量 事須起推竿於當年 申尋好於後紀 不是新制 亦有舊章 專顧異時之蹤 勿違舊制之限 過而重過 云何 今以狀牒 牒到准狀 故...
    대표표제어발해 중대성 앞으로 첩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92년(壬子/신라 진성왕 6/발해 현석 23/唐 景福 1/日本 寬平 4)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7)

  • / [생활/민속]

    밤중(자정)에는 마당에 불을 피우고 폭죽(爆竹)을 터뜨린다. 집안에 있는 잡귀·사귀(邪鬼)를 모조리 몰아내고 정(淨)하게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서이다. 궁중에서는 대궐 안을 청소하고 정돈하는 한편, 벽사(辟邪)를 위하여 의식을 거행하였다. 궁(宮)이 정함으로써 나라

  • 가 /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 작자연대 미상의 속악가사. 노래의 제목으로 보아 잡귀를 물리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 때 불린 무가계통(巫歌系統)의 속악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궁중에서 섣달그믐날 밤에 거행한 세말(歲末) 때 불린 것으로 추정된다. 『시용향악보』에는 제1연만 수록되

  • 도감 / 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를 위하여 설치하였던 임시관청. 조선시대에는 섣달그믐은 물론이고, 종묘에 제사지내거나 외국사신을 맞이할 때, 기타의 경우에 를 행하였다. 도감은 이를 위하여 임시로 설치한 관청으로 가 끝나면 폐지되었다. 광해군 때는 상설기관으로 청(

  • 농주 / 弄珠 [예술·체육/체육]

    들어 있었고, 조선시대에 와서는 () 중에 끼여서 행하여져 왔었다. 성현(成俔)의 『허백당집』에 를 보고 지은 시 가운데 ‘농환놀이는 참으로 교묘한 기술이 많다.’고 읊은 구절이 있다.농주는 공을 놀리는 재주꾼이 처음에 한 손으로 나무공이 공중에 원을 그리며

  • 처용무 / 處容舞 [예술·체육/무용]

    는 처용무는 원래 흑포사모(黑布紗帽)하고 한 사람이 추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 보면, 오방처용무(五方處容舞)로 구성된 시기는 조선 초기로 추정된다.『악학궤범』에 따르면 12월 회일(晦日) 하루 전날 궁중에서 ()를 행한 뒤에 전도(前度)와 후도(後度) 두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