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나려이두”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뀌었는데, ‘올’로 적은 것은 이해할 수 없다. 둘째, 구개음화현상의 반영을 보면 여러 이두서 가운데 ≪이두편람≫에는 구개음화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데, <>에서는 심한 혼기(混記)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喩,喩乃’는 ‘디나, 나’로 ‘...
  • 원명이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듯이, 편명은 원나라‧명나라의 관료와 서리가 배워야 할 내용이라는 뜻이다. 이 편의 끝에 「()」라 하여 이두를 수록한 것도 이와 같은 의도이다. 이 글은 『이학지남』과 『이문집람』의 어휘를 사전식으로 편찬한 데에 가치가 있으나, 내용상으로 독창...
  • 고금석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것이다. 부록은 「()」와 「훈민정음」이라 하여 이두와 「언문자모」를 실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에 담겨 있는 어항(語項)의 총수는 수만에 달하여, 어느 모로 보나 우리나라에서 일찍이 편찬된 것 가운데 가장 큰 어휘집이라고 할 수 있...
  • 이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총 개인의 창작이라고 하기는 어려워도 그가 정리한 표기법이 이두 내지 차자표기법 전반의 발달에 중요한 공헌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두를 정리한 문헌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것은 이의봉(李義鳳)의 ≪고금석림 古今釋林≫에 실린 (), 구윤명(具允明)의...
  • 국어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若鏞)의 ≪아언각비 雅言覺非≫, 1836년 박경가의 ≪동언고 東言攷≫가 있다. 이두에 관한 것으로는 1789년 이의봉의 ≪ ≫, 정조 때 구윤명(具允明)의 ≪전율통보 典律通補≫와 편자 미상의 ≪유서필지 儒胥必知≫, 1829년(순조 29) 예문관학사...

고서·고문서(1)

  • 〈이두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경위 편찬자 장지영은 1950년대와 60년대에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임진장초(壬辰狀草)』, 『심양장계(瀋陽狀啓)』 등의 주요 이두 자료와 『()』, 『전율통보(典律通補)』 등의 이두 어휘집에서 필요한 어휘를 뽑아 이두 어휘 카드를 만들고 각 어휘...
    대표표제어〈이두사전〉 해제 | 편저자장지영, 장세경 | 권수1책

주제어사전(1)

  • / [언어/언어/문자]

    1789년(정조 13) 이의봉(李義鳳)이 이두(吏讀) 어휘를 모아 풀이한 글. ≪고금석림 古今釋林≫ 권40 끝에 부록으로 실려 있다. 총 7장으로 수록된 어휘수는 172개이다. 이두 어휘를 그 글자수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1자류에서 9자류까지 있다. 이것은 수적으로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