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꼬리따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17)
- 꼬리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일렬로 늘어선 대열의 맨 끝 아이를 정해진 술래나 상대편이 잡는 아이들 놀이. [내용]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지방에 따라 ‘꼬리잡기‧수박따기‧동아따기‧호박따기‧닭살이‧쥔쥐새끼놀이‧족제비놀이‧기러기놀이‧쌀...이칭별칭쥔쥐새끼놀이|꼬리잡기|수박따기|동아따기|호박따기|닭살이|쥔쥐새끼놀이|족제비놀이|기러기놀이|쌀가지잡기
- 월월이청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줌채값이 몇냥일는고 월월이청청 ③ 은도닷냥 열에닷냥 월월이청청 돈도닷냥 열에닷냥 월월이청청 서른냥이 지값일레 월월이청청 <월월이청청>의 놀이 속에는 대문열기‘라든지, ‘송아지따기’ 등과 같이 그 지역의 산물명으로 진행되는 ‘꼬리...
- 강강술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꼬리따기놀이와 같은 동작으로 상대방의 꼬리를 잡으려고 한다. <가마등>은 가마타기놀이의 모의희(模擬戱)로 두 사람이 손을 잡아 井자형으로 가마모양을 만들어 그 위에 한 사람을 태우고 마당을 돌아다닌다. 이 놀이는 편을 갈라 일정한 거리까지 갔다오는 경주를 벌이기...연계항목강강술래(강강술래)
- 형식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는 것과 같다.” 등등의 문답이 이어지는 ‘재치 문답’과 같은 이야기가 그러한 예이다. 또, <꼬부랑 할머니>와 같은 것은 같은 음(同音) 내지는 같은 운(同韻)을 사용함으로써, 민요에서 볼 수 있는 ‘머리따기’ 또는 ‘꼬리따기’와 같은 형식을 취한다. 따라서...
- 운산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왁새요>‧<나무타령>‧<꼬리따기요>‧<자루배타령> 등이 전한다. 이 중 <왁새요>와 <나무타령>은 다음과 같다. “왁새야 독새야/너오마니 소꽃 밑에/불붙는다/네복주깨 내복주깨/쭉쭉 끼처라.”, “오다가다 오동나무/가다오다 가죽나무/십리절반 오리나무/소가간다 소나무/개...
구술자료(7)
- 꼬리따기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저녁 9시경 정인숙씨 집에서 신금옥씨와 조사자들만 있는 가운데 설화와 민요를 섞어서 했다. 정인숙은 심심할 때 부르는 노래라고 하면서 불러 줬는데 조사자들이 방문했을 때, 텔리비젼의 일일극을 매일 보는 것이라며 집중하고 있었다. 드라마가 끝나기를 잠시 기다렸다 시작...조사일시1983-07-18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안흥면 | 제보자정인숙
- 꼬리따기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4-08-22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안흥면 | 제보자정인숙
- 꼬리따기요 : 유희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4-08-22 | 조사장소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 제보자양재춘
- 동요 (10) [꼬리따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홍기화씨는 동요도 꽤 간직하고 있으리라 생각해서 몇 가지를 물으니, 역시 많은 동요를 알고 있었다. 짤막짤막한 것은 필기했고 여기서는 형태가 긴 것만을 골라 녹음했다. 우선 꼬리따기를 본다. *조사일시1981-07-15 | 조사장소제주도 남제주군 안덕면 | 제보자홍기화
- 안동 임하면, 도산면, 풍천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리위에서 하므로 물에 빠지기도 한다. 6) 월월이 청청은 마당에서 ‘달넘세 달넘세 어하나 어하나 달넘세’ 하며 시작한다. 7) 꼬리따기의 소리의 가사는 ‘저 달 봤나 나도 봤다/~’이다. B면 1) 꼬리따기에서 10번을 돌고 이겨야 이기는 것인데, 본인은 이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조;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대준
주제어사전(1)
-
꼬리따기 / [생활/민속]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일렬로 늘어선 대열의 맨 끝 아이를 정해진 술래나 상대편이 잡는 아이들 놀이.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지방에 따라 ‘꼬리잡기·수박따기·동아따기·호박따기·닭살이·쥔쥐새끼놀이·족제비놀이·기러기놀이·쌀가지잡기’ 등으로 달리 부르기도 한다. 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