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희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5)
- 칠봉일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인 김희삼(金希參)의 시문집. [내용] 1권 1책. 목판본. 임진왜란으로 유실된 시문을 막내아들 우옹(宇顒)이 수집, 정리하고 1804년(순조 4)에 8대손 한동(翰東)이 간행하였다. 권수에는 족보 형식의 세계도가 있고,
- 김희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07(중종 2)∼1560(명종 15).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사로(師魯). 호는 칠봉(七峰). 아버지는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된 치정(致精)이며,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 훈련원참군(訓練院參軍...이칭별칭 사로(士魯)| 칠봉(七峯)
- 魚皮韃子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肅廟朝, 肅廟 北方, 陸奧, 朝鮮, 東海, 東女眞, 連陸, 扶桑, 倭國, 蝦夷, 獲服, 日高見國, 毛人國, 寧古塔, 西海, 外番, 黑眞國 淸聖祖, 金潛谷, 堉, 金希三, 申靑泉, 維翰, 秀吉, 成俔, 毛西河奇齡, 李氏, 瀷, 柳大將, 赫然, 震海, 震淵, 章...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2권 14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小人國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石城, 北道, 小人國, 大秦, 僬僥國, 後漢, 永昌, 南豐縣, 甘州城, 小人國, 山東登州府蓬萊縣 游成之, 防風氏, 長狄僑如, 伍員, 巨毋霸, 王蒙, 蔡謨, 張仲師, 張仲師, 務光, 金潛谷, 堉, 金希參, 冷齋, 徐充, 王世懋, 徐方伯, 余金 三才圖會, 天下輿地圖...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2권 13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조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盧禛)‧강익(姜翼)‧김희삼(金希參) 등이 종유하였으며, 오건(吳健)‧문익성(文益成)‧이광우(李光友)가 처음으로 문하에 출입하였다. 1553년 조정에서 내린 사도시주부의 관직을 사양했을 때 이황이 처음으로 편지를 보내와 벼슬에 나가기를 권유하면서 “천리신교(千里...이칭별칭 건중(楗仲), 건중(健中)| 남명(南冥)| 문정(文貞)
고서·고문서(21)
- ○같은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족하(族下)인데 와서 함께 이야기했다. 어두워져서야 파하고 처소로 돌아왔다. 금일의 모임에서 김희삼(金希參)을 볼까 했는데, 병을 이유로 오지 않았다 한다. ○목사 영공에게, 서복(西卜)의 어미가 부탁한 서원(書員)의 일을 청했더니 허락했다. ○이정중(李靜中)이 산 닭...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사 김희삼(金希參)이 편지로 문안하며 문어 1마리를 보냈기에, 감사편지를 써서 부쳤다. ○아침에 안태거(安太居)의 태지(苔紙)가는 털과 같은 이끼를 섞어서 뜬 아주 질긴 종이 8장에 글씨를 썼다. ○낮에 도상윤(都祥胤)의 공책에 글씨를 썼다. ○성륜(性輪)이 바깥방에서...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손자를 돌보며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사(安峯寺)의 영당(影堂) 제사는 삼보(三寶) 승이 행해야 하나 승이 병이 나 참석하지 못했다. ○대성(大成)을 가르치지 않았는데, 배운 것을 외우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삼척(三陟) 부사 김희삼(金希參)이 편지로 문안하고 문어‧연어(連魚) 말린 것을 보냈기에,...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內需司]庄土文績_제4책 : 金晟粲提出圖書文績類 262. 乾隆伍十四年-己酉-正月二十二日朴代善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代善 朴代善 金希三 南得夏 전라 고금도 柚子木洞 家前 전라도 (군/현) 고금도(면/방) 柚子木洞 家前 토지 1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같은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관노 업산(業山)이 숙강(叔强) 첩자(妾子)라면서 잣‧떡을 주고 갔다. ○정자 김희삼(金希參)이 나에게 《의방유취(醫方類聚)》를 돌려주고, 또 곶감 1첩(貼)을 주었다. ○선산(善山) 관속이 인사하고 돌아가기에, 감사 편지를 주었다. 또 수손(守孫)에게 함께 가서 내...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신문·잡지(2)
- 吉金喜三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吉金喜三郞(-) 인천 吉金喜三郞 - 濱町 28-5 - - 중개(仲立),주선업 곡물중립업 55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대표표제어吉金喜三郞(-)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중개(仲立),주선업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吉金喜三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吉金喜三郞(-) 인천 吉金喜三郞 - 濱町 28-5 - - 쌀(미),콩(대두),좁쌀(속),잡곡 무역 1 겸업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대표표제어吉金喜三郞(-)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쌀(미),콩(대두),좁쌀(속),잡곡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기타자료(1)
- 김희삼;金熙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2431 남한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1-39 이화여자전문이화보육학교일람 1937 108면 1. 제7. 생도;1) 생도 성명, 원적 및 출신학교명;(13) 梨保 제1학년 김희삼;金熙三 (원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김희삼 / 金希參 [종교·철학/유학]
1507(중종 2)∼1560(명종 15).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좌승지에 추증된 치정, 어머니는 이계공의 딸이다. 김취성·이광·송희규의 문인이다. 1540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병조좌랑, 옥당, 삼척부사 등을 역임 하였다. 저서로는『칠봉일집』1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