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희락”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1(영조 37)∼1803(순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숙명(淑明). 여건(汝鍵)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온(景溫)이고, 아버지는 증이조참의 두동(斗東)이며, 어머니는 전주유씨(全州柳氏)로 세원...
    이칭별칭 숙명(淑明)
  • 고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78년(고종 15) 의 손자인 김철수(金喆銖)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총서(總序)가 있고, 권말에 권영하(權泳夏)와 김철수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 교남빈흥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람은 3천6백여 명이었고, 강세백‧() 등 2인이 급제하고, 김상구(金象九) 등 28인에게는 각각 후한 상을 내렸다. 권2의 끝에는 강세백‧‧김상구‧조심(曺深) 등의 부가 수록되어 있다. 「치제시일기」에는 조선 중기에 있어서 각신(閣臣)을 보내...

고서·고문서(9)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1∼1803). 이상정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문장과 학식이 뛰어나 정조로부터 특별한 총애를 받았다. 많은 강제문과 응제문을 지어 올렸으며, 편수관으로서《해동인물고》·《영남명신록》·《홍재전서》등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 고식 / 故寔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8년에 간행한 시문집. 1878년(고종 15) 의 손자인 김철수(金喆銖)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총서(總序)가 있고, 권말에 권영하(權泳夏)와 김철수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주자대전강의십조차자(朱子大全講義十條箚

  • 신야집 / 新野集 [종교·철학/유학]

    이인행의 문집. 목판본. 14권 7책. 권1~2는 시를 수록, 권3에는 서연강의를 수록, 권3~4에 채제공, 류범휴, 류낙휴, , 김희주, 정약용 등과 주고받은 편지를 수록하였다. 권5는 잡저‧서, 권6은 기‧식‧발‧잠‧명‧상량문‧애사, 권7에는 축문‧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