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희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3)
- 김희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61(영조 37)∼1803(순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숙명(淑明). 여건(汝鍵)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온(景溫)이고, 아버지는 증이조참의 두동(斗東)이며, 어머니는 전주유씨(全州柳氏)로 세원...이칭별칭 숙명(淑明)
- 고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희락(金熙洛)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78년(고종 15) 김희락의 손자인 김철수(金喆銖)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총서(總序)가 있고, 권말에 권영하(權泳夏)와 김철수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 교남빈흥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람은 3천6백여 명이었고, 강세백‧김희락(金熙洛) 등 2인이 급제하고, 김상구(金象九) 등 28인에게는 각각 후한 상을 내렸다. 권2의 끝에는 강세백‧김희락‧김상구‧조심(曺深) 등의 부가 수록되어 있다. 「치제시일기」에는 조선 중기에 있어서 각신(閣臣)을 보내...
고서·고문서(9)
- 1794년 김희락(金熙洛)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794년 10월 3일, 김희락이 류범휴의 관직 임명을 축하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상대가 출발한 지 벌써 3일이 되었는데 오늘은 과연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물었다. 그러면서 여러 날 동안 고되고 지쳤던 후에 객중에서 조섭하고 있는 상대의 기력이 상하지는 않았는지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세기 후반~1803년 김희락(金熙洛)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고식(故寔)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內需司 文績類_제2책 526.嘉慶元年-丙辰-三月十一日金重晋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지,관인무,수결 1장, 47x37.1cm(가로x세로), 한지,관인무,수결 1796년(정조 20) 3월 11일 金希樂 幼學 답주 金希樂 幼學 답주 金重晋자료명內需司 文績類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內需司 文績類_제2책 630.嘉慶二年-丁巳-三月十二日華城府買得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華城府 華城府 金喜樂 金喜樂 전라 장흥 남면 上道 語山坪 전라도 장흥(군/현) 남면(면/방) 上道 語山坪 토지 ...자료명內需司 文績類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1)
- 여울_1971_0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여학생의 멋에 관하여 문호근 68 여학자들 강준식 69 어떤 편지 김희락 70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주제어사전(3)
-
김희락 / 金熙洛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1∼1803). 이상정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문장과 학식이 뛰어나 정조로부터 특별한 총애를 받았다. 많은 강제문과 응제문을 지어 올렸으며, 편수관으로서《해동인물고》·《영남명신록》·《홍재전서》등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
고식 / 故寔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김희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8년에 간행한 시문집. 1878년(고종 15) 김희락의 손자인 김철수(金喆銖)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총서(總序)가 있고, 권말에 권영하(權泳夏)와 김철수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주자대전강의십조차자(朱子大全講義十條箚
-
신야집 / 新野集 [종교·철학/유학]
이인행의 문집. 목판본. 14권 7책. 권1~2는 시를 수록, 권3에는 서연강의를 수록, 권3~4에 채제공, 류범휴, 류낙휴, 김희락, 김희주, 정약용 등과 주고받은 편지를 수록하였다. 권5는 잡저‧서, 권6은 기‧식‧발‧잠‧명‧상량문‧애사, 권7에는 축문‧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