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흥근” 에 대한 검색결과 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

사전(3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필적 1796(정조 20)-1870(고종 7). 조선 후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 있다.
    이칭별칭 기경(起卿)| 유관(游觀)| 충문(忠文)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씨 일파 중의 한 사람으로, 조대비가 왕이 너무 어려서 대원군에게 섭정을 맡기려 하자 대원군의 전권을 염려하여 반대하나 뜻을 이루지 못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박영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亨復), 서장관(書狀官) 심희순(沈熙淳)과 함께 다시 청나라에 다녀왔고, 이듬해 11월에는 ()과 함께 국조보감찬집청교정당상(國朝寶鑑纂輯廳校正堂上)을 제수받았다. 1848년 서양선(西洋船)의 출몰로 동해안지방의 민심이 소란해지자 함경도관찰...
    이칭별칭 성기(聖氣)| 오서(梧墅)| 문익(文翼)
  • 용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바꿨다고 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언제 백운사를 구담사로 이름을 바꿨는지는 알 수 없다. 1884년(고종 21) 관음전을 세웠으며, 1916년 주지 김대원(金大圓)이 이응선(李應善)의 시주로 법당의 감실(龕室)을 만들었다. 1936년 주지 (...
    이칭별칭백운사(白雲寺)|구담사(瞿曇寺) | 연계항목용궁사(龍宮寺)
  • 임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병과로 급제한 뒤 1848년 정언ㆍ교리ㆍ종부시정(宗簿寺正)을 지냈다. 1863년(철종 14) 경상감사 ()이 철종에게 무례를 범했는데도 언관들이 논핵하지 않았다고 하여 지평 임한수 등을 유배에 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1864년(고종 1)에...
    이칭별칭 익여(翼如)| 송석(松石)| 효정(孝靖)

고서·고문서(21)

  • 李太王實錄資料 17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熙政堂에서 소견한 내용으로 『日省錄』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의 노고를 치하하고 고종(이태왕)과 국정에 대해 대화한 내용들이 담겨 있다. 정욱재 2016. 10. 17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1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5082 B035082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29年 6月 30日_017 ○又啓曰, 春坊闕員, 今當差出, 而擬望之人乏少, 相避竝擬, 何如? 傳曰, 允。 以李游夏爲副校理, 尹致秀爲文學, 趙鶴年爲司書, 爲相禮, 申道顯爲南海縣監, 李勉祜爲省峴察訪, 書...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2552 B052552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哲宗 2年 11月 11日_013 ○領府事鄭元容, 判府事金道喜·朴晦壽, 左議政, 右議政朴永元箚曰, 臣等卽伏見傳敎下者, 鞫廳罪人趙士悅等四囚, 減死島配, 柳廉臣等五囚遠配, 李明赫放送, 柳喜均下送黃海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0508 B07050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憲宗 9年 閏7月 29日_016 ○有政。 吏批, 判書李光正進, 參判洪學淵, 參議李時在竝牌招不進, 同副承旨李源達進。 以爲刑曹判書, 金公鉉爲大司成, 洪敬謨爲知經筵, 朴綺壽爲知春秋, 尹尙圭爲同義禁, 金蘭淳爲弘文提...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太王實錄資料 16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어서 講할 책자를 정할 것을 지시한 내용으로 『日省錄』(6)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홍문관에서 고종이 講할 책자를 의논한 결과를 보고하는 내용이 실려 있는데, 領敦寧府事 과 영의정 金左根의 의견을 수렴하여 小學을 강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정욱재 201...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13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3)

  • 경제·산업 사건 근대 () 서울 阿峴町 367 식료품 - 면류 제조 21.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興根(金興根)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면류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魚商義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도즁 유로 경비가기로 방쟝 그 집을 슈리즁이라니 젼국동포가 누가 찬셩고 칭송치 안이리오 그 발긔인 졔씨의 셩명은 여자니 박도쥰 김창호 쟝학 송졍슌 송치슈 박셩덕 박창호 신명슉 리영슈 송경슈송광슌원한규 김운 김창렬 신화슉 졔씨라더라
    게재일1906년 8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경환 김두련 제17호 선거구 김철성 제18호 선거구 한길재 제19호 선거구 박재현 제20호 선거구 제21호 선거구 □치□ 제22호 선거구 차선학 제23호 선거구 리학린 제24호 선거구 한계환 제25호 선거구 강성윤 제26호 선거구 주귀덕 제27호 선거구 위옥매 ...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315_02 | 책임주필강길모

기타자료(6)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91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9면 ; 제9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109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102면 ; 경기 제7회 1914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354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水原學報 제21권 제1호 1928―07―10 119면 ; 전남 영광군청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707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64면 ; 경기 본과제7회 1914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8330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37면 ; 경기 제7회 1914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6∼1870). 달행 증손, 할아버지는 이경, 아버지는 이조참판 명순, 어머니는 신광온의 딸이다. 형은 좌의정 홍근이다. 경상도관찰사 때 안동김씨의 권세를 믿고 세도를 부리다 탄핵, 광양에 유배되었다 풀려나 영의정·판중추부사·이정청총재관·영돈령

  • 김병덕 / 金炳德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25∼1892).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김명순, 아버지는 영의정 이다. 1847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안동김씨의 세도 아래 홍문관부제학·이조참판·공조판서·대사헌 등 요직을 두루 지냈다. 이후 독판군국사무·총리군국사무 등을 역임하였다. 청렴결

  • 관각류집 / 館閣類集 [역사/근대사]

    「석화당기 石畫堂記」, ()의 「교태전상량문 交泰殿上樑文」, 이돈영(李敦榮)의 「만춘전상량문 滿春殿上樑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모두 명신들이 썼는데, 지금 없어진 궁중건물의 내력을 알려주는 내용들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 문원보불속편 / 文苑黼黻續編 [종교·철학/유학]

    1787년(정조 11)부터 1852년(철종 3)까지 관각의 여러 형태 문장, 곧 옥책·죽책·교명·반교 등의 문장을 수록한 책. 10권 6책. 인본. 1787년(정조 11) 존현각에서 편집, 간행된『문원보불』의 속편이다. 규장각 원임제학 등이 고정했으며, 조연흥

  • 풍고집 / 楓皐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김조순의 시문집. 16권 8책. 고활자본. 권두에는 고종의 친필 어제 서문과 총목이 있다. 권말에는 정원용··조두순 등의 발문이 있다. 권1∼6에 1,032수의 시, 권7·8은 소차 60편, 권9는 주 3편, 계 2편, 응제문 14편, 제문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