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흥국” 에 대한 검색결과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57(명종 12)∼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경인(景仁), 호는 수북정(水北亭). 약평(若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희려(希呂)이고, 아버지는 별제 난손(鸞孫)이며, 어머니는 정랑 구...
    이칭별칭 경인(景仁)| 수북정(水北亭)|강상풍월주인(江上風月主人)
  • 수북정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의 시문집. [내용] 1권 1책. 목활자본. 1832년(순조 32) 후손 재련(載鍊)ㆍ호철(浩喆)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치규(宋穉圭)의 서문과 권말에 송흠대(宋欽大)ㆍ이지수(李趾秀) 등의 발문...

고서·고문서(11)

  • 1894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남원 인월 사천김씨가
  • 22 第二十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4년_온양면(溫陽面) 1774년 온양면(溫陽面) 第十五禿登里 22 第二十二統統首 第一戶 幼學年肆拾柒戊申本慶州父學生弼冑祖學生雲杰曾祖學生鳴喆外祖通德郞金成彬本金海妻許氏年 伍拾參壬寅籍金海父學生貴萬祖學生雲漢曾祖學生政雲外祖學生方己雲本蔚山率子振義...
    연도_면이름1774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第十五禿登里
  • 全羅道庄土文績_제8책 : 全羅南道薪智嶋所在庄土人民提出圖書文績類 45. 道光十一年-辛卯-正月二十二日李宗龍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31년(순조 31) 1월 22일 金朔不伊 전주 金朔不伊 전주 李宗龍 李宗龍 /同生尙福 전라 신지도 동면 加仁里 陰旨邊 전라도 신지도(군/현) 동면(면/방)...
    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836년 김광익(金光益) 호구단자(戶口單子)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고 김종석의 조카 의 호구단자 1건 등이다. 호주들의 4조가 학생이나 통정대부로 기재된 반면, 호주 자신은 閑良으로 기재된 경우가 대부분인 것도 이들 가문의 특징이다. 솔거노비는 1명으로 아들과 손자들에게 상속되어 계속 기재되고 있다. 자식들은 거의 호적에 기재되...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남원 인월 사천김씨가
  • 全羅道庄土文績_제8책 : 全羅南道薪智嶋所在庄土人民提出圖書文績類 46. 道光十二年-壬辰-閏九月二十三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32년(순조 32) 윤9월 23일 金夢煥 답주 金夢煥 답주 申宗姪 전라 신지도 동면 加仁里 家後 전라도 신지도(군/현) 동면(면/방) 加仁里 家後 토지 ...
    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3)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8122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102면 - ; 1942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육실천사례) 후배에게 교복 물려주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97 6 교육제주 96호 제주도교육청 55-57 3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흥국 | 사료철명교육제주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557(명종 12)∼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약평 증손, 할아버지는 희려, 아버지는 별제 난손, 어머니는 정랑 구숙간의 딸이다. 1589년(선조 22) 유학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정자·정언·주서 등을 역임하였다. 김장생·신흠·황신·서성 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