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휘철” 에 대한 검색결과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9)

  • 수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7권 3책. 활자본. 1925년 경상북도 영주에서 김태현(金台鉉)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박승진(朴勝振)의 발문과 종질 위규(緯奎)의 후지(後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
  • 동자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이 있고, 권말에 김발(金潑)ㆍ김종하(金宗夏)ㆍ()ㆍ박승진(朴勝振)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검속신심(檢束身心) 11편, 사부사사(事父事師) 11편, 서당이업(書堂肄業) 7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검속신심」에서는 아이들이 새벽...
  • 와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시원(朴時源)‧김흥락(金興洛)‧() 등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6권 3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200여수, 권3에 부(賦) 2편,...
  • 경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오여발(吳汝橃)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1934년 그의 후손 응철(應澈)‧학성(學性)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만도(李晩燾)의 서문과 권말에 권세연(權世淵)‧()‧송인옥(...
  • 상변찬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종교(朴宗喬)가 유장원(柳長源)의 『상변통고(常變通考)』를 요약, 편집한 책. [내용] 6권 3책. 목판본. 1893년(고종 31) 그의 아들 희수(禧壽)가 ()을 포함한 영주(榮州)의 유생들과 함께 간행하...

고서·고문서(11)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842년(헌종 8)∼1903년(광무 7). 부친은 낙광, 모친은 정재석의 딸이다. 매창 사신의 후손이다. 1862년에 관복재 김기헌이 주도하여 가르치고 있던 사계서원에 나아가 독서를 하였다.1868년 부친상을 당하였고 1876년 봄에 향시에서 장원으로 뽑혔으나 서울에

  • 동자례 / 童子禮 [종교·철학/유학]

    김성일이 동자들에게 가르치는 예절을 모아 예절의 교과서로 사용한 책. 불분권 1책. 목판본. 1910년 후손 도연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와 이중곤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발·김종하··박승진의 발문이 있다. 검속신심 11편, 사부사사 11편, 서

  • 허주문집 / 虛舟文集 [문학/한문학]

    문이 있고, 권말에는 ()의 후기가 있다. 권1은 시 238수, 권2는 사(辭) 3편, 서(序) 2편, 잡저 4편, 상량문 1편, 제문 6편, 가장(家狀) 1편, 부록으로 묘갈명·행장·유사·제문 각 1편, 증유시편(贈遺詩篇) 15편, 소리와중수기(素履窩重修

  • 거향잡의 / 居鄕雜儀 [종교·철학/유학]

    김성일이『여씨향약』과 향교·마을에서 행하는 예를 모아 만든 책. 불분권 1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1910년 후손 김도연 등이 편집하여『동자례』와 합간하였다. 김도화·이중곤의 서문과 김발·김종하··박승진의 발문이 있다. 배항지등·상견지례·왕환지수·

  • 수산문집 / 睡山文集 [종교·철학/유학]

    의 문집. 활자본, 발:박승진(1924), 박위규, 7권3책. 1925년 경상북도 영주에서 김태현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1․2에 시 202수, 권3․4에 서 79편, 권5에 잡저 10편, 서 8편, 기 5편, 발 8편, 권6에 상량문4편, 애사 1편, 축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