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홍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0)
사전(256)
- 김홍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24(중종 19)∼1557(명종 12). 조선 초기의 선비화가.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원(重遠), 호는 남봉(南峯)‧내봉(萊峯). 대사헌을 지낸 희수(希壽)의 손자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노(魯)의 아들...이칭별칭 중원(重遠)| 남봉(南峯), 내봉(萊峯)
- 김홍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武)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김홍도는 당대의 감식가이며 문인화가인 강세황(姜世晃)의 천거로 도화서화원(圖畫署畫員)이 되었다. 강세황의 지도 아래 화격(畫格)을 높이는 동시에, 29세인 1773년에는 영조의 어진(御眞)과 왕세자(뒤의...이칭별칭 사능(士能)| 단원(檀園), 단구(丹邱), 서호(西湖), 고면거사(高眠居士), 취화사(醉畵士), 첩취옹(輒醉翁)
- 金弘度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085 金弘度 인물 登第, 能文章, 氣節, 湖堂, 時病, 傳誦, 典翰 安東 重遠, 南峯, 我中宗 十漸策 D_14_01_53 대동운부군옥 14권 1장 5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1장 5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金弘度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676 金弘度 인물 十漸策, 時病 東湖對策, 本 D_20_01_53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5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5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국보 제139호.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金弘道, 1745-?)가 그린 도석인물화.정의국보 제139호.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金弘道, 1745-?)가 그린 도석인물화.[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Kim Hong-do Pil Gunseondo Byeongpung | MR표기Kim Hong-do P’il Kunsŏndo Pyŏngp’u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44)
- ○당(堂)에서 묵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와서 안부를 물었다. 그에게 들으니 김홍도(金弘度)는 갑산(甲山)에 부처(付處)되고 김규(金虬)는 경원(慶源)으로 유배되었으며, 김계휘(金繼暉) 등은 문외출송(門外黜送) 되었다고 한다. 그에게 들으니 ∼.되었다고 한다.: 김홍도와 김규‧김계휘의 죄상에 대해서는 실록에...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금 대접하여 보냈다. ○김경삼(金景參)의 노(奴) 석강(石江)이 들러 알현하고 문안했다. 그에게 들으니 김홍도(金弘度)가 정언(正言)이 되고, 노홍우(盧弘祐)는 지난 가을에 세상을 떠났으며, 정언(正言)은 두 번째 부인이 사망하여 다시 세 번째 부인을 맞이했다 한다....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목화와 은어 등을 보내주고, 편지로 안부를 묻기에 답장을 써서 감사했다. ○목사가 사람과 말을 보내 마교자(馬轎子)를 실어 오라는 뜻을 말했다. ○귀손(貴孫)‧만수(萬守)‧자공(子公)‧여안(呂安)이 말을 가지고 적촌(狄村)에 갔다. ○김홍도(金弘度)가 사랑했던 기생이...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밤에 아랫집의 방에서 묵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을 내게 했더니 새벽이 되서야 땀이 났다고 한다. 다시 소시호탕을 지어서 다시 다리게 했다. ○저녁에 하가(下家)로 가서 자니 숙희(淑禧)가 보러 왔다. ○김홍도(金弘度)가 성주(星州)에 들어왔다. ○노와 자공(子公)을 팔거(八莒)에 나가게 해서 목태(木太)를 거둬오게...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왔다. 말은 7마리이며, 사람 수는 15명이다. 초2일에 그곳을 출발했다고 한다. ○감군어사 김홍도(金弘度)가 낮에 성주(星州) 관아에 들어왔다고 한다. ○목사가 저녁에 안언관(安偃館)으로 나갔는데, 내일 관찰사가 행차하기 때문이다. ○이익경(李翼卿) 등이 왔으나 일이...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구술자료(1)
- 서울소리 박춘재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g F-311A.mp3 F-311B.mp3 mp3 이보형 김홍도 1910 여자 경상북도 경주시(원적, 당시 경주군)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홍도
기초학문(3)
- 개항기 ‘김홍도 풍속화’의 모방과 확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선영, 게재일 : 201458075 신선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술사학회 2014 개항기 ‘김홍도 풍속화’의 모방과 확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비상(悲傷)의 공명-구양수와 김홍도의 추성(秋聲)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71956 한국연구재단 호남학연구원 2012 비상(悲傷)의 공명-구양수와 김홍도의 추성(秋聲)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김홍도 자화상의 자기서사(self-narrative) 방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6572 한국연구재단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김홍도 자화상의 자기서사(self-narrative) 방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6)
- 『闘犬』 檀園 金引道 (『투견』 김인도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金弘道를 金引道로 오기작품명_원문『闘犬』 檀園 金引道 | 게재일19220101 | 게재판其3 | 게재면01 | 게재단4-5
- 감신학보_1963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화 박봉배 11 구약성서의 그리스도론-이사야의 메시아 예언을 중심으로 강대인 23 신약성서의 그리스도론(그리스도의 통일성) 김홍도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3
- LA한인뉴스_2013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있는 관상-당신의 얼굴은 어떤 형입니까 32 예술의 향기-서민의 삶을 그린 조선시대 최고 화가 김홍도 정병규 33 문화칼럼 읽어둡시다-시킴새가...발행국가미국 | 발행연도2013
- 투사신문_1950_0520_02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었는데 기업가 김□명씨는 10만원 □분업자 김병□는 10만원을 기업가 김홍도씨는 7만원 과수업자 송덕□씨는 5만원의 공채를 구매하였다.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20_02_01 | 책임주필한호
- 신천지_1950_05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혼상제례 개정문제 성낙훈 198 애연지 김동명 202 이조화계의 거성 단원 김홍도 (2) 김용준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0
멀티미디어(59)
- 차. 선비의 아이러니, 조영석(趙榮祏,1686~1761) 7주차. 대가(大家)정선(鄭歚) 8주차. 18세기의모더니스트, 이인상(1710~1760) 9주차. 신선 같은 화원화가 김홍도(1745~1806) 58주차. 김정희, 대중 너머에 있는 아름다움을 찾았던 학자 예술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차. 선비의 아이러니, 조영석(趙榮祏,1686~1761) 7주차. 대가(大家)정선(鄭歚) 8주차. 18세기의모더니스트, 이인상(1710~1760) 9주차. 신선 같은 화원화가 김홍도(1745~1806) 59주차. 김정희, 대중 너머에 있는 아름다움을 찾았던 학자 예술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차. 선비의 아이러니, 조영석(趙榮祏,1686~1761) 7주차. 대가(大家)정선(鄭歚) 8주차. 18세기의모더니스트, 이인상(1710~1760) 9주차. 신선 같은 화원화가 김홍도(1745~1806) 60주차. 김정희, 대중 너머에 있는 아름다움을 찾았던 학자 예술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차. 선비의 아이러니, 조영석(趙榮祏,1686~1761) 7주차. 대가(大家)정선(鄭歚) 8주차. 18세기의모더니스트, 이인상(1710~1760) 9주차. 신선 같은 화원화가 김홍도(1745~1806) 61주차. 김정희, 대중 너머에 있는 아름다움을 찾았던 학자 예술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차. 선비의 아이러니, 조영석(趙榮祏,1686~1761) 7주차. 대가(大家)정선(鄭歚) 8주차. 18세기의모더니스트, 이인상(1710~1760) 9주차. 신선 같은 화원화가 김홍도(1745~1806) 62주차. 김정희, 대중 너머에 있는 아름다움을 찾았던 학자 예술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기타자료(1)
- 오대산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문화유적 시 ‧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적심석 등이 확인되었고, 기단토에서는 백자편과 기와편 등이 공반 출토되었다. 이 추정 정문지는 김홍도의 금강산도 화첩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으나 1929년 사진에서는 그 형적을 살필 수 없어 순조 33년(1833)의 화재로 폐기되었음을 살필 수 있다. 특히 초석 이하...발행연도2004/07/27 | 발굴기관(재)대한불교조계종 유지재단 문화유산발굴조사단 | 발굴지역강원도
주제어사전(11)
-
김홍도 / 金弘道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의 화가(1745∼?). 산수·도석인물·풍속·화조 등에 재능을 발휘하였고, 특히, 산수화와 풍속화에 뛰어났다. 만년에 농촌이나 전원 등을 소재로 한국적 서정과 정취가 짙게 밴 그림을 그려 독창적 화풍을 이룩하였다. 작품으로〈단원풍속화첩〉·〈금강사군첩〉·〈선인
-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 金弘道筆群仙圖屛風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金弘道)가 그린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畵). 국보 제139호. 종이 바탕에 수묵담채로 그렸고 세로 132.8㎝, 가로 575.8㎝이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품으로 원래 8폭의 연결 병풍 그림이었으나 현재 3개의 족자로 분리되어 있다. 화면의 끝
-
김홍도필 병진년 화첩 / 金弘道筆丙辰年畵帖 [예술·체육/회화]
1796년(정조 20) 화가 김홍도(金弘道)가 그린 화첩. 보물 제782호. 종이 바탕에 수묵 담채로 그렸고 세로 26.7㎝, 가로 31.6㎝이다.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다. 김홍도가 1796년(정조 20)에 그린 산수(山水)와 화조(花鳥) 그림 20폭으로 이
-
김홍도필 산수인물도 / 金弘道筆山水人物圖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에 김홍도가 그린 산수인물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원(畵員)으로 꼽히는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추정)가 그린 「산수인물화」로, 화면은 거대한 절벽과 폭포, 그리고 배를 탄 어부들로 구성되었다. 오른쪽 여백에 당나라 시인 유종원(柳宗元)이 쓴 「
-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 金弘道筆風俗圖畵帖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金弘道)가 그린 풍속화. 보물 제527호. 25엽으로 이루어진 화첩으로, 종이 바탕에 수묵과 옅은 채색으로 그렸으며 크기는 각각 세로 27㎝, 가로 22.7㎝이다. 이 화첩 그림들은 주변의 배경적 설명을 간단하게 처리하고 풍속 자체에 역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