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홍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
사전(8)
- 김홍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88(정조 12)∼1842(헌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의경(毅卿), 호는 춘산(春山). 달행(達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경(履慶)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 명순(明淳)이며, 어머니는 ...이칭별칭 의경(毅卿)| 춘산(春山)| 문익(文翼)
- 민진용의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김홍근(金弘根)이 쌍주(雙柱)가 되어 좌우하다가 1844년 이들이 물러나자 권력에 틈이 생기게 되었다. 이에 민진용은 이 틈을 이용하여 반역을 도모하였던 것이다. 그는 뛰어난 의술(醫術)로 전계부원군(全溪府院君) 이광(李㼅)과 원경(元慶) 부자(父子)의 돈독한...
- 이헌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비축하도록 하였고, 별무시(別武試)를 실시하였다. 1844년 사헌부대사헌으로 김유근(金逌根)ㆍ김홍근(金弘根)의 추죄를 주장하다가 덕원부에 유배, 이듬해 석방되어 사은 겸 동지정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47년 형조판서ㆍ대사헌ㆍ한성부판윤을...이칭별칭 치서(稚瑞)| 국간(菊幹)| 충간(忠簡)
- 천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무덤 구덩이에 관을 놓고 그 주위를 회로 메운 후 관 위를 다지는 석회. 昨日利於開金井云 故先去封墳 以舊壙天灰倣樣造新機而爲之 出樞則卄八日申時爲吉云 家內望哭之節 以此日時爲之, 김홍근(金弘根), 50-9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박영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삭직을 당하였다가, 1837년(헌종 3)에는 김홍근(金弘根)과 함께 실록교수당상(實錄校讎堂上)의 직을 맡았다. 이어 1844년에 호조판서‧이조판서 등을 거쳐 이듬해에는 원접사(遠接使)가 되었다. 1846년에 진하 겸 사은사(進賀兼謝恩使)로 부사(副使) 조형복(趙...이칭별칭 성기(聖氣)| 오서(梧墅)| 문익(文翼)
고서·고문서(12)
- 김홍근(金弘根) 소초(疏草)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제천 한수 연안이씨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763 B015763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29年 12月 20日_025 ○李禮延, 以兵曹言達曰, 五衛將申在健前任三陟營將, 蔡學永前任江華府中軍, 韓義植前任平安監營中軍, 李行淳前任南虞候, 俱在任所, 上來間該廳番次苟艱云, 金德淵, 文臣兼宣傳官金弘根,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鎭, 副司果徐興輔·尹匡烈·徐有稷, 以金弘根爲司禦, 鄭東勉爲翊贊, 金左根爲副率, 李琇·海中軍, 李重根爲全羅中軍, 崔柱悳爲從浦萬戶, 金應鎭爲登山僉使, 禹文策爲蒜山僉使, 南雲离爲龍媒僉使, 朴興澄爲古今島僉使, 全龍仁爲西林僉使, 姜濟璜爲德浦僉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돈어(豚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7077 B067077 돈어 豚魚 수산물 承政院日記 憲宗 7年 5月 12日_006 ○右承旨金景善書啓, 臣於本月十二日午時量, 敬奉聖諭, 傳諭于中部堅平坊典醫監契議政府左議政金弘根所住處, 則以爲臣, 尙逭威罰, 轉至隘迫, 踧踖若窮無所歸, 卽下敦飭, 尤極嚴摯, 人臣之不敢承也,...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리포(加里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連爲守門將, 具載善爲宣傳官, 梁道潤爲守門將, 柳勉儉爲多大僉使, 韓志玄爲碧團僉使, 金光淳爲金井別將。 同知單金德順, 上護軍金敎根, 知事徐有榘仍任前職事承傳, 加里浦僉使李顯稷今加折衡[折衝]加資事承傳。 大護軍洪敬謨·徐耕輔·朴晦壽, 護軍李時謙·金弘根, 以上竝單付。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6)
- 曲直爽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월이십오일 잡보즁에 병뎡김홍근과 양운션이가 쳥인 보론을 구타고 의복과지폐를 탈거얏다말은 다시쟈셔히들은즉 쳥인이 실샹지폐를 일은거시아니라 김홍근의게 피타함을 함혐야 구무한거시오 양운션은 시위이 곡호병인 의복보를 맛타다가 쥴분이오 다른간셥이 업다더라게재일1905년 5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照請詗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그형젹을 형찰한즉 그젹한등은 삼즁삼소병뎡 김홍근과 양운셩이니 일병형포야 쳥상 윤보론의 견실한 지폐와 의복등속을 져져히 차달나얏다더라게재일1905년 5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國債報償義募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九十錢 喬桐군송가면숑무학교학도졔씨 숀승남 三十錢 신보라 二十錢 리원만 二十錢 김홍근 十錢 최쥬옥 고용 김뎡식 리승암 신요한 신요 리원범 各二十 젼식 계희션 四十젼 님봉근 박유범 各二十젼식 김흥애 十젼 신범식 二十젼 평베드로 十젼 최단이얼 廾젼 최야곰 二十젼 박덕흥...게재일1907년 6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조선인민군_1951_0218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제1급을 다음과 같이 수여한다. 국기훈장 제1급 군관 강응천 김무훈 김상로 김홍근 리기봉 리동식 리수호 리순님 박창설 서동준 정훈 주명봉 허수철 하사관 전사 김상우 김택선 민영엄 박동현 오득철 장재근 장중구 전말원 전송운 진두평 최원서 최진수 한계열 홍명국 황봉철 조선...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1_0218_02 | 책임주필서춘식
- 함남인민보_1948_072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4 림상준 함흥시 중앙리 3구 36번지 함남인민보사 김귀선, 리상철, 배영주, 한형무, 류승혁, 리지혁, 리하림, 리성녀, 배정삼, 강성모, 리동원, 김장렬, 주홍근, 김수식, 김홍근, 문창세, 라을득, 김명숙, 한보형, 리달영, 주복남, 김인정...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8_0721_02 | 책임주필림상준
기타자료(8)
- 김홍근;金泓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70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6면 김홍근;金泓根 제2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홍근;金弘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5814 일본 東京 일본대학 일본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 회원명부(1928년) 1929―04―05 99면 2. 재학생씨명;5) 법률과 김홍근;金弘根 함남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홍근;金泓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0571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10면 김홍근;金泓根 제2회 191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홍근;金洪根;금원홍근;金原洪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9302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졸업대장(1-22회) n.r. 111면 김홍근;金洪根;금원홍근;金原洪根 전북 전주부 本町1정목 97 제19회 (5년제, 86명) 1942년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특집 종합교육계획수립의 제문제) 종합교육계획수립의 문제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과정 국가교육과정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 잡지 김홍근 金泓根 1966 7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홍근 | 사료철명강원교육
주제어사전(1)
-
김홍근 / 金弘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8∼1842). 이조·공조·병조의 판서와 홍문관제학·우참찬 등을 지냈다. 대사헌으로서 풍양조씨와 안동김씨의 세력다툼에 대한 상소를 올렸다. 의정부좌참찬으로 기용되었다. 좌의정에 올랐다가 판중추부사가 되어 관직에서 물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