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5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416)
사전(1,385)
- 부훤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해(金楷)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750년경 편집된 것으로 보이나 간행되지 못한 채 흩어졌다가 19세기 초에 6세손 진사 현규(顯奎)에 의하여 다시 수습, 간행된 것이다. 권두에 유범휴(柳範休)의
- 김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34(중종 29)∼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사회(士晦), 호는 설송(雪松). 수손(首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창(泗昌)이고, 아버지는 반천(半千)이며, 어머니는 조세우(曺世虞)...이칭별칭 사회(士晦)| 운송(雲松)
- 김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김해 1555(명종 10)∼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 의병장.이칭별칭 달원(達遠)| 근시재(近始齋)
- 김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상주목사로 왜병이 쳐들어오자 겁을 내어 산속에 숨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金海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3_D_0341 金海 지방 建都, 金官小京, 降爲府, 都護, 大海, 經帶, 紆縈, 二陵 駕洛國, 我朝, 盆山, 三叉, 七點 首露, 仇亥, 文武王, 麗太祖, 首露, 許后 D_10_04_14 대동운부군옥 10권 4장 1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4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4)
- 고문서집성 110 - 제주 (어도 진주강씨, 조천 김해김씨, 구좌 동래정씨) 고문서 [한국고문서 조사, 연구 및 보존처리 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김학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학자료연구실 실장), 정순우(한국학중앙연구원 교육학과 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4.11.28.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해제: 제주도 문중고문서의 유형과 특성 목록: 제주 어도 진주강씨 ‧ 조천 김해김씨 ‧ 구좌 동래정씨 고문서 濟州 於道 晋州姜氏 姜受璜 後孫家 古文書 濟州 於道 晋州姜氏 姜鳳祉 後孫家 古文書
- 고문서집성 114 - 제주 진주 강씨, 곡산 강씨, 김해 김씨, 경주 김씨, 제주 고씨, 동래 정씨 고문서 [한국고문서 조사, 연구 및 보존처리 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김학수(연구책임자), 김소희, 조미은, 노인환, 조광현, 조정곤, 조창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5.09.10.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범례 원색도판 해제 : 제주도 고문서의 현황과 특징 목록 : 진주강씨‧곡산강씨‧김해김씨‧경주김씨‧제주고씨‧동래정씨 고문서 濟州 於道 晉州姜氏 姜益鎭 後孫家 古文書 濟州 沙溪 晉州姜氏 古文書 濟州 朝天 谷山康氏 康萬埴 後孫家 古文書 濟州 谷山康氏 康履鎭 後孫家 古文
- 조선왕조의 의궤와 왕실 행사 [조선시대 왕실문화의 상징코드 | 경상대학교]저자 : 김해영 ... | 출판사 : 현암사 | 출판일 : 20181228본서는 조선 시대의 왕실 문화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의궤라는 국가 기록물에 관한 연구서이다. 본서에서는 의궤가 왕실 의례와 관련이 깊은 책자로 이해되고 있는 점을 비판하고, 의궤가 고려와 조선 왕조에 특유한 도감 제도와 관련된 기록물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
- (고문헌 기증기탁목록 14) 다석 유영모 선생 문적 외 [기록문화유산의 보존관리시스템 구축사업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옥영정(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김학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학자료연구실 실... | 출판사 : 소와당 | 출판일 : 2009.06.23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01. 유희원 기탁전적 - 다석 유영모선생 문적 02. 마르티나 도이힐러 기증고문서 03. 전주이씨 완양부원군 이충원종가 기탁고문서 04. 김식현 기증고문서 - 김해 의성김씨 고문서
고서·고문서(20,222)
- 김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해 이 남자 3 2 김해, 김씨, 1946년, 중학, 영어, 거주, 1946년, 좌우, 서로, 왕래, 소식, 답답, 방송국, 여러...대표표제어김해 | 성씨이
- 김해시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해시 김 남자 경상남도 김해시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소가둔구(苏家屯区) 81공사 인이대대 4 3 ...대표표제어김해시 | 성씨김
- 김해골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해골 김 경상남도 김해시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아성현(阿城县) 영원향 남강대대 3 3 김해골,...대표표제어김해골 | 성씨김
- 김해읍지(金海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899년(광무 3) 전국 읍지상송령에 따라 김해군(金海郡)에서 편찬한 읍지이다. 조선시대의 김해부는 현재의 김해시 전역과 창원시 대산면,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서쪽에 해당하는 큰 고을이었으며 읍치는 김해시내 서상리, 동상리 일대에 있었다. 낙동강이 고을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김해읍지(金海邑誌)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지리-지지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구술자료(50)
- 김해 안포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2-01-31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 제보자한진식
- 독갑이 김해김씨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들은 이장님을 통해서 마을 노인회장을 맡고 있는 제보자를 소개 받았다. 처음 만났을 때는 제보자가 교회에 가는 날이어서 많은 이야 기를 듣지 못했으나 두 번째 제보자를 만났을 때는 시간 여유가 있어서 여러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역사에 관심이 많은 제보자는...조사일시2010. 2. 6(토) | 조사장소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덕현리 윤기길 17 윤기마을회관 | 제보자김우곤
- 김해 송장군과 매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 이어서 계속 이야기한 것이다. 이 이야기는 청중(설삼출)도 알고 있는 듯, 중간중간에 끼어들면서 자기의 의견을 말하기도 했다. *조사일시1981-07-27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삼랑진읍 | 제보자류영수
- 김해 김씨와 허씨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우스스한 얘기 주머니를 털어 해주겠다.”고 말하여 그것을 청하자 그건 다음에 한다며 구연하였다. *조사일시1980-11-12 | 조사장소강원도 삼척군 삼척읍 | 제보자김형진
- 호랑이를 잡은 김해 송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23]을 끝내고 이것저것 잡담을 나누다가, 제보자가 자청하여 시작한 것이다. *조사일시1981-07-27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삼랑진읍 | 제보자류영수
기초학문(40)
- 부산 김해평야 농업지역에서 친환경농업 수용과정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8805 한국연구재단 한국지역지리학회 2003 부산 김해평야 농업지역에서 친환경농업 수용과정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김해시의 도시성장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8757 한국연구재단 한국지리정보학회 2004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김해시의 도시성장모형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04
- 駕洛三王事蹟考의 간행과 金海金氏의 ‘문화의 정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혁, 게재일 : 201765109 김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駕洛三王事蹟考의 간행과 金海金氏의 ‘문화의 정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인천 白翎島 거주 金海金氏家의 18~19세기 古文書 자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62280 한국연구재단 인하대학교박물관 2012 인천 白翎島 거주 金海金氏家의 18~19세기 古文書 자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영남문인화의 재조명 - 김해 문인화의 형성과 미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나나, 게재일 : 201615506 이나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연구원 2016 영남문인화의 재조명 - 김해 문인화의 형성과 미적 특성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421)
- 金海民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상북도 김군에셔 군슈가 결젼을 민간에엽젼으로 가봉슈효가 십만량이나된다 야 본월십일에 군셩슈삼쳔명이 회집야 군슈에게 불온 상 러고로 군슈 즉시도쥬얏고군파쥬쇼슌검으로 진압키 극란야 부산항잇 일본헌병과 슌샤가 다슈츌쟝야 겨오...게재일1907년 3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金海龍(金海龍)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海龍(金海龍) 서울 金海龍 金海龍 南米倉町市玄西 2 종이_문고_도서 - 조선 종이 소매 26.1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海龍(金海龍) | 지역서울 | 품목종이_문고_도서 | 영업종목조선 종이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김海民擾續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상남도 김군슈 량홍묵씨가 결젼을 민간에엽젼으로 슈봉고 우편국에난 지화로박구어 보난 으로 군셩등이 긔료말은 이왕긔재얏거니와 그후실을 셰히들은즉 본월륙일에 각면지인 수명이군읍져에 들어간즉 맛참군수관찰도에가고 업난고로 즉시산되얏난군수가환...게재일1907년 3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金海守(-)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海守(-) 부산 金海守 - 凡一町325 - - 쇠고기 - 19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海守(-)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쇠고기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金海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海商店) 서울 - 金海商店 鍾路 5-392 식료품 - 소금 소매 1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海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소금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101)
- 김해대청유적 ss1-0062_#1 유구 도면 1. 주변지역 유적 분포도 2014-11-05_6.217593E-02_도면 1. 주변지역 유적 분포도.jpg ss1-0062_#2 유구 도면 3. 유구 분포도 2014-11-05_0.2제목김해대청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김해 동상동 소방도로 개설 구간내 김해읍성지 시굴조사 ss1-0105_#1 유구 도면 1. 김해읍성 위치도 2014-11-04_0.5245478_도면 1. 김해읍성 위치도.jpg ss1-0105_#2 유구 도면 2. 지적도에 의한 김제목김해 동상동 소방도로 개설 구간내 김해읍성지 시굴조사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김해 가야역사 테마파크 조성부지 내 김해 어방동 분산 유적 yy3-0057_#1 유구 yy3-0057 김해 가야역사 테마파크 조성부지 내 김해 어방동 분산 유적_유구1_1호수혈전경 2015-03-28_0.1184503_yy3-0057 김해 가야역사제목김해 가야역사 테마파크 조성부지 내 김해 어방동 분산 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김해 구산동 유적 ss1-0057_#1 유구 도면 1. 유적 위치도 2014-11-03_0.2247278_도면 1. 유적 위치도.jpg ss1-0057_#2 유구 도면 2. 유구배치도 2014-11-03_0.8518183_도면 2제목김해 구산동 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김해덕산리민묘군 ss1-0064_#1 유구 도면 2. 덕산리유적 위치도 2014-11-25_0.6775324_도면 2. 덕산리유적 위치도.jpg ss1-0064_#2 유구 도면 3. 김해 덕산리유적 유구 분포도 2014-11-25제목김해덕산리민묘군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193)
- 김해경;金海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231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78면 김해경;金海庚 경성부 도염정 44 제11회 1936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해장;金海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3430 일본 山口 山口高等學校 山口高等學校一覽 1941~1942년 n.r. 127면 김해장;金海長 함경남도학교소재지역山口 | 학교명山口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해장;金海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3452 일본 山口 山口高等學校 山口高等學校一覽 1942~1943년 n.r. 132면 김해장;金海長 함경남도학교소재지역山口 | 학교명山口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해수;金海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754 남한 경남 마산상업고등학교 2-25 마산상업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自단기4258년 제1회~至단기4278년 제20회 n.r. 9면 5. 제5회(소화4년, 단기4262년, 서기1929년) 김해...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해두;金海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김해두;金海斗 경상남도 통영 소화10년 3월8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조선시대 왕실문화의 상징코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해영 | 경상대학교 | 2013 | 국내 | 경남
-
영역(英譯) 한국고전문학사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최윤희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2013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53)
-
김해 / 金楷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 - 1716(숙종 42). 아버지 김광현, 어머니 청주한씨이다. 경사에 두루 섭렵하여 약관도 안 되어 이미 주역을 읽어 심오한 이치까지 깨우쳐 <계몽복역>을 저술하였다. <상례비요>도 의심나고 잘못된 곳을 고정하였다. 또한 농암 김창협과 함께 제
-
김해랑 / 金海郎 [예술·체육/무용]
하였다. 서울 소재의 여러 대학에서 후학을 양성하기도 하였다.1956년 다시 마산으로 내려가 김해랑 무용연구소를 설립하였고, 이후 작고할 때까지 지역무용계 발전과 후학 양성을 위해 헌신하였다. 이에 1964년 한국무용협회 경남지부가 창설되었고, 같은 해 ‘광복 19주년
-
김해병서 / 金海兵書 [정치·법제/국방]
삼국시대 고구려의 연개소문이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군서. 병서. 김해(金海)는 연개소문의 자(字)라고 한다. 이 책은 신라의 아찬(阿飡) 설수진(薛秀眞)이 지었다는 『육진병법(六陣兵法)』과 더불어 오늘날 전하지 않는 고대 병서의 하나이다. 『고려사』에 1040년(정
-
김해시 / 金海市 [지리/인문지리]
다. 행정구역은 1개 읍, 6개 면, 12개 행정동(34개 법정동), 246개 행정리(67개 법정리)리이다. 시청은 경상남도 김해시 부원동에 있다.
-
김해평야 / 金海平野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김해시의 낙동강 삼각주(三角洲)에 발달된 퇴적평야. 김해평야는 낙동강 삼각주상에 형성된 평야이다. 낙동강 삼각주는 구포 부근까지 들어왔던 만(灣)이 낙동강의 토사로 메워져 형성된 지형이다. 낙동강은 토사유출량이 많고, 하구의 대조차(大潮差)가 1m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