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3)
사전(72)
- 김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김광화(金光華)와 함께 공부하였는데, 특히 이운규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운규는 어느날 최제우‧김광화‧김항 세 사람을 불러놓고, 최제우와 김광화는 선도(仙道)와 불도(佛道)를 대표하여 이 세상에 나온 것이니 그 일을 잘 하라고 당부하고, 김...이칭별칭 도심(道心)| 일부(一夫)
- 호암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항중(金恒重)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58년 김항중의 8대손 김두태(金斗台)‧김두영(金斗永)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회진(金晦鎭)의 서문, 권말에 김두태와 김두영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
- 천지도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김항(金恒)의 저서인 『정역(正易)』에서 선후천개벽(先後天開闢)의 징후가 되는 일월운행(日月運行)의 변화를 상수적(象數的)으로 표현한 개념. [내용] 『정역』 중 상편(上篇)이라고 할 수 있는 「십오일언(十五一言)」에는 “하늘과 땅의 합...
- 황극체위도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김항(金恒)이 지은 『정역(正易)』에서 우주를 하나의 천망(天網)으로 보고 그 중 강오(綱五)를 황극체위(皇極體位)로 넣은 다음, 그 연월일시의 도수(度數)를 무술(戊戌)‧기해(己亥)‧무진(戊辰)‧기사(己巳)로 설정한 개념. [내용] 황...
- 김항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일본에 다녀온 사신. [내용] 관등은 아찬(阿飡)이었다. 680년(문무왕 20)에 일본에 사절로 가 금(金)‧은(銀)‧철(鐵)‧정(鼎)‧금(錦)‧견(絹)‧포(布)‧피(皮)‧말‧노새 등 10여 종의 물품을 전하고, ...
단행본(1)
- 한국신종교사전 [한국신종교사전(韓國新宗敎事典) | 원광대학교]저자 : 한국신종교사전편찬위원회 ... | 출판사 : 도서출판 한맘 | 출판일 : 20180625근대에 발생한 한국 신종교들은 근대 대중·민중의 삶을 읽어낼 수 있고, 현대 신종교들은 또 다른 종교문화의 삶을 읽어낼 수 있는 재료가 되기에 중요하다. 근현대 한국 종교문화의 흐름은 먼저 유·불·도 삼교를 주축으로 하는 전통 종교문화의 근현대적인 변모를 담고 있다. ...
고서·고문서(288)
- 김항중(金恒重) 준호구(準戶口)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6 第六統統首김亢元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1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19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八北門內里 6 第六統統首김亢元 第一新戶 業武김亢元年參拾肆丙午本慶州父益聲祖弼弘曾祖孟龍外祖通政崔 鶴松本慶州妻李姓年參拾肆丙午本慶州父雲天祖日漢曾祖春芳外祖朴時三本 密陽等丙子戶口相準 第二戶 業...연도_면이름181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八北門內里
- 1793년 김항운(金恒運)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고창‧고부 광산김씨
- 자(子) 김항주(金恒柱)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서산 대교 경주김씨
- 1683년 김항국(金恒國)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683년(숙종9) 이조 에서 왕명을 받아 김항국 을 통덕랑 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통덕랑은 정5품에 해당한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구술자료(2)
- 충청남도 홍성군_얼카덩어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368 충남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홍성군_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아시매기소리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죽전리 1989.11.28 素89-11-28②A 김항제 김항제(1917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잦은소리 멕받형식(선후창) 얼카 덩어리 다매였다 솔도녹음지역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죽전리 | 녹음날짜1989.11.28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남도 홍성군_얼카덩어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370 충남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홍성군_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아시매기소리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송월리 1987.4.17 素87-4-17AB 김항제 김항제(1917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잦은소리 멕받형식(선후창) 얼카 덩어리 덩어리 소리는 (참녹음지역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송월리 | 녹음날짜1987.4.17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기초학문(4)
- 신자유주의 구조 조정과 브라질 가톨릭교회의 대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항섭, 게재일 : 200333718 김항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03 신자유주의 구조 조정과 브라질 가톨릭교회의 대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03
- 기초공동체와 성령쇄신운동의 갈등과 대화:브라질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항섭, 게재일 : 200823972 김항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남미지역원 2008 기초공동체와 성령쇄신운동의 갈등과 대화:브라질 사례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세계화, 종교변동 그리고 가톨릭교회: 페루의 사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항섭, 게재일 : 200925795 김항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남미지역원 2009 세계화, 종교변동 그리고 가톨릭교회: 페루의 사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신자유주의 구조 조정과 아르헨티나 가톨릭교회의 대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항섭, 게재일 : 200531614 김항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05 신자&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58)
- 金恒鍵(-)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恒鍵(-) 평양 金恒鍵 - 竹典里 71 - - 포목판매업 - - - 平壤商工案內: 商工人名錄, 191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恒鍵(-) | 지역평양 | 품목- | 영업종목포목판매업 | 자료출처平壤商工案內: 商工人名錄, 1917년
- 今谷松一(金行平安堂)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今谷松一(金行平安堂) 부산 今谷松一 金行平安堂 寶水町1-99 - - 약종(藥種) - 21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今谷松一(金行平安堂)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약종(藥種)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本人이潼關內金行一處에推尋當五錢三千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이潼關內金行一處에推尋當五錢三千三百兩即出給於音을陰五月十五日에中路遺失엿시니誰某拾得와도休紙施行시가 紅峴李在榮 告白게재일1902년 6월 23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이潼關內金行一處에推尋當五錢三千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이潼關內金行一處에推尋當五錢三千三百兩即出給於音을陰五月十六日에中路遺失엿시니誰某拾得와도休紙施行시오 紅峴李在榮 告白게재일1902년 6월 24일 | 기사분류광고
- 經議支撥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양군용디 죠샤위원려비일칠환십뎐과일본특연졉비삼원륙십뎐김병예방비와김의원봉급등합쳔칠십오환과 일본복강현에셔쥭은우리나라셩리슌모의치료비오십이환이십오뎐을일쳬졍부회의에 경의재하 되얏다더라게재일1907년 2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48)
- 김항식;金恒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4984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63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16)송도고보 제9회(소화3년) 76명 김항식;金恒植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항년;金恒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6866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89면 김항년;金恒年 경기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항년;金恒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922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70면 김항년;金恒年 경기 제3회 192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항년;金恒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545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43면 김항년;金恒年 경기 제3회 192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항년;金恒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045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20면 김항년;金恒秊 경기 용인군 원삼면 사창리 제6회 192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한국신종교사전(韓國新宗敎事典)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김도공 | 원광대학교 | 2013 | 국내 | 전북
-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조성혜 | 동국대학교 | 국내
주제어사전(7)
-
김항 / 金恒 [종교·철학/유학]
1826년(순조 26)∼1898년(고종 35). 조선 말기《정역》의 저자. 20세 때 민씨와 결혼하여 가정을 꾸몄으나 살림에는 뜻이 없어 독서만 하였으며, 영가를 계속 불렀다. 일찍이 이운규 밑에서 최제우·김광화와 함께 공부하였는데, 특히 이운규의 영향을 많이 받은
-
김항중 / 金恒重 [종교·철학/유학]
1653-1717. 조선후기 유학자. 부친은 방분, 모친은 이만겸의 녀이다. 1653년 12월 18일 예천 류전에서 태어났다. 1673년 조부와 부친을 연달아 잃고 1681년 모친상을 당하였다. 형제자매를 돌보며 재산을 아끼지 않았다. 1717년 9월 18일 병으로 졸
-
정역 / 正易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종교사상가 김항이 주창한 역학사상 스승은 이운규이다. 후일 동학과 ≪정역≫의 공통사상인 선후천개벽사상 형성의 기초가 되었다. 김항은 54세 되던 1879년에 ‘영동천심월’의 오묘한 의미를 파악하여 그것을 입도시에 표현해 놓고 있다. 1884년에 ≪정역≫의
-
김맹 / 金孟 [종교·철학/유학]
1410(태종 10)∼1483(성종 14). 조선 전기의 문신. 김항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서, 아버지는 김극일, 어머니는 한성부윤 이간의 딸이다. 1441년(세종 2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감찰·김천도찰방·예조좌랑이 되었다. 이후 오위도총부경력을 역임하였다
-
김유희 / 金有喜 [종교·철학/유학]
1787년(정조 1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한익, 조부는 김항주, 부친은 김노창이다. 1819년(순조 19) 식년시에 진사 3등 35위로 입격하였다. 1820년(순조 20) 6월에 원릉참봉, 1821년(순조 21) 9월에 금부도사에 임명, 18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