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학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
사전(11)
- 김학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림대학논문집(翰林大學論文集)』 4, 1986) 「구한말노령이주민(舊韓末露領移住民)의 한국정계진출(韓國政界進出)에 대해-김학우(金鶴羽)의 활동(活動)을 중심(中心)으로-」(이광린, 『역사학보(歷史學報)』 108, 1985) 「日本外務省御雇外國人...이칭별칭 자고(子皐)| 헌민(獻愍)
- 이준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무처의원 김학우(金鶴羽) 암살사건에 연루되고, 또 박영효(朴泳孝)‧서광범(徐光範) 등 친일파 내각대신을 암살하려 했다는 죄목으로 붙잡혀 특별재판소에서 사형판결을 받았다. 그러나 국왕의 특사로 교동부(喬桐府)에 10년유배형으로 감형되고, 그 해 8월 특사로 석방되...이칭별칭 경극(景極)| 석정(石庭), 송정(松亭)
- 조존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1886년(고종 23) 죽산부사로 재직하면서 내무부주사 김가진(金嘉鎭)과 김학우(金鶴羽)‧김양묵(金良默), 러시아어 통역 채현식(蔡賢植) 등과 러시아세력을 끌어들여 청나라를 견제하고자 하는 민비...이칭별칭 태문(台文)| 학고(鶴皐)
- 서로전신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S.) 및 성명 미상의 덴마크인 기술자 3인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중 미륜사는 1905년까지 우리 나라에 남아 있으면서 초창기 전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상운(尙澐)‧김학우(金鶴羽) 등의 기술자가 참여하였는데, 이들은 각각 전신가설 전에...
- 이준용옹립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孝)와 법무대신 서광범(徐光範)으로 하여금 이준용과 그의 당여를 처벌하도록 하였다. 이준용은 1895년 4월 19일 체포되어 특별재판소에서, 5월 13일 김학우(金鶴羽) 암살사건과 연루되어 종신유형 판결을 받았으며, 그의 당여 중 박준양‧이태용 등을 포함한 5명...
고서·고문서(20)
- 2 第二統統首김學佑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34년_온남면(溫南面) 1834년 온남면(溫南面) 第二新只里 2 第二統統首김學佑 第新一戶 幼學김學佑年參拾壹甲子本慶州父學生命相祖學生益兌曾祖學生重參外 祖學生朴興載本慶州妻김氏年貳拾陸己巳本김海父幼學縉祖學生光潗曾祖學 生泰恒外祖學生李宗白本蔚山婢永丹年丙子等...연도_면이름1834년_온남면(溫南面) | 면이름온남면(溫南面) | 마을이름第二新只里
- 1910년 김학우(金鶴羽) 칙명(勅命)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관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관고
- 韓国亡命者金玉均ノ動静関係雑件(京城訛傳) 第三巻 3.金玉均暗殺企謀者渡来風記並ニ金鶴羽ノ動静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김옥균 암살을 위해 암살자를 파견한다는 소문이 있다작성국가일본 | 원소장처外務省外交史料館 | 발신일1887.01.25-04.26
- 조선의 정세에 관하여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보고 일본인들을 몰아내려던 조선 왕 부친의 음모. 법무대신 김학우 암살. 조선 내 반란과 대립왕 등장. 일본 공사 이노우에 백작이 제안한 개혁안. 이노우에 가오루, 오토리 게이스케, 흥선대원군, 밀서, 친서, 고종, 이준용, 민씨척족, 김학우, 스기무라 후...대표표제어조선의 정세에 관하여 | 발신자Krien | 수신자Caprivi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李埈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43001252014300125_001 李埈公實錄資料 3 자료제244호 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60 03 1 1894년 10월 4일(음력) 法部協辦 金鶴羽이 피살되자 의정부에서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0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4)
- 咸興失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함흥군 셔양리 김학우집에셔 실화야 구호가 연소엿고 풍양리 유홍신집에셔 실화야 삼십구호가 연소엿다더라게재일1903년 6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농민신문_1947_0902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7년 9월 2일 159 최영래 양평시 근화리 12 농민신문사 낙섭 노좌근, 김학우, 박화봉 북조선직업동맹 북조선 민주설의 제1선에서 민주건국의 역군으로써 모범적인 노력을 다하여 생산책임량을 초과 달성한 평안남도 모범 초급단체 책임자 백3...대표표제어농민신문_1947_0902_04 | 날짜1947년 9월 2일 | 책임주필최영래
- 음력구월 십구일에 민영긔씨가 편지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슈기 어려우니 경무텽 하인즁 심북지인 효용자로 삼인만 풀어셔 힘을 돕게드면 윤치호를 김학우 을 겟노라고 지라 경찰관리가 그놈을 잡아 경무텽으로 가두엇다 최인환은 본 운현궁 텽딕으로 지금 동사 놈이라 그놈은 모살인죄로 법로 죽일연니와 민영...게재일1898년 11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해방일보_1951_0304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2세 방산인민학교 3학년)와 손자 김학우(6세)는 타오르는 불길 속에서 타죽고 말었다. 정든 집과 귀여운 손자 손녀를 잃은 할머니는 복바쳐오르는 분노와 적개심을 억제할 길이 없이 길을 지나는 인민군대 동무들마다 손을 잡고서는 『이 원쑤를 꼭 갚아주시요!』 하고 호소...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1_0304_01
기타자료(2)
- 김학우;金學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년 3월 修業 예정) 김학우;金學愚 (근무지 또는 현주소)수원군 향남면사무소;(본적)수원군 태장면 영통리 124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학우;金學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4848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83면 1. 卒業生;21) 21회(64명: 1930년 3월 졸업) 김학우;金學愚 전북 임실군 三溪面 洗心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김학우 / 金鶴羽 [종교·철학/유학]
1862년(철종 13)∼1894년(고종 31). 조선 말기의 개화파 관료. 러시아어·일본어·중국어에 능통하였다. 1878년과 1880년 두 차례에 걸쳐 변경사무로 블라디보스토크에 파견되었던 장박의 주선으로 서울에서 정계에 진출, 1884년부터 1886년까지 기기국위원
-
전보 / 電報 [경제·산업/통신]
. 1884년 김학우(金鶴羽)가 만든 국문자모호마타법(國文字母號碼打法)의 사용은 남로전신선을 운영하면서부터였다.
-
군국기무처 / 軍國機務處 [정치·법제/법제·행정]
군국기무처는 대원군파(이태용, 이원긍, 박준양 등)와 반대파(김학우, 이윤용, 안경수 등) 사이의 갈등과 분쟁으로 기능이 점차 약화되었다. 그 뒤 10월 이후에 일본의 대한정책이 적극 개입정책으로 바뀌면서 결국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