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포향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5)
- 김포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정되어 있다. 文化遺蹟總覽 上(文化財管理局, 1977) 우리고장의 文化財總覽(京畿道, 1980) 김포향교 / 대성전 경기 김포군 김포읍 북변리에 있는 향교.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연계항목김포향교(金浦鄕校)
- 양천향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은 상실되고, 문묘기능만 갖게 되었다. 그러다가 1914년 지방 행정구역 개편으로 양천군(陽川郡)이 김포군(金浦郡)에 합군(合郡)되면서 양천향교가 김포향교에 통합되었다. 그 후 1945년 광복과 함께 김포향교에서 분리‧독립되면서 관내 유림...연계항목양천향교지(陽川鄕校址)
- 김포초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김포시 북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원 및 변천] 1907년 9월 7일 군수 조동선(趙東善)에 의해 김포공립보통학교로 설립되었다. 본래 김포공립보통학교의 전신은 1898년 김포향교의 명륜당에서 설립된 김포소학교였...이칭별칭김포초
- 김포평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館) 등이 유명하다. 김포지역에는 김포향교‧용화사(龍華寺)‧우저서원(牛渚書院)‧봉릉사(奉陵寺)‧장릉(章陵, 사적 제202호) 등이 있다. 풍무동에 있는 장릉은 1632년 양주에서 이장한 인조의 생부 원종(元宗)의 묘로, 울창한 노송으로 유명하다. 김포의 최북단에는 고종...
- 김포시(경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사부도 및 비(文殊寺楓潭大師浮屠―碑,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1호)가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월곶면 군하리에 통진향교(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0호), 북변동에 김포향교(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9호), 감정동에 우저서원(牛渚書院,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호) 등이 있다...
고서·고문서(1)
- 추안급국안 : 박홍구(朴弘耈) 범죄사건 문서(5)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庭中本府下人等亦滿於庭中入直都事佩劒 下庭爲白良結然而矣身段受刑重病之人以運身不 得守直軍士處解衣推給萬端哀乞投出庭中詣於都 事前則一善尉等囚人等列立於都事左右矣身曰矣 身受刑重病某人願聞名在何地云則都事曰汝名不 在於處斬之中出去云仍而出外而欲避适亂翌日初 九日宿於楊州縣內初十日留宿金浦鄕校下村舍...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3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1)
-
김포향교 / 金浦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김포시 북변중로 25번길(북변동)에 있는 향교. 1122년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그 뒤의 역사는 거의 전하지 않으며, 1965년에 기와를 개수하였고, 1972년 대성전과 명륜당·내외삼문(內外三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