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평묵” 에 대한 검색결과 1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8)

사전(8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19(순조 19)∼1891(고종 28). 조선 말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치장(穉章), 호는 중암(重菴). 세거지는 경기도 포천. 아버지는 성양(聖養)이고, 어머니는 장수황씨(長水黃氏)이다. 이항로(李恒老)의 문...
    이칭별칭 치장(穉章)| 중암(重菴)| 문의(文懿)
  • 이원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3(고종 20).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일찍이 군수를 지내다가 정부가 개화정책을 표방하면서 일본과 가까이하자 이를 맹렬히 반대하여 홍재학(洪在鶴)ㆍ() 등의 유생들과 여러 차례 상소를 올렸다.
  • 송진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게 수학하고, 뒤에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명리를 따르지 않고 오로지 학문을 익히는 데에만 전념하여 여러 지구(知舊) 등과 강수계(講修契)를 세우고, 그의 고조부인 익호(翼顥)가 지은 「추연백록동규(推演白鹿洞規)」를 강규(講規)로 삼고 강마(講磨...
    이칭별칭 치승(致承)| 사복재(思復齋)
  • 노정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49(헌종 15)∼1902. 조선 말기의 유학자. [내용] 본관은 광산(光山). 호는 연곡(蓮谷). 경기도 풍덕 출신. 경주 연곡(蓮谷)에서 성장하였다. 1871년(고종 8) 이후 가평에 거주하는 ()과 유중교(柳重敎)에게...
    이칭별칭 연곡(蓮谷)
  • 조용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일찍이 할아버지 성가(性家)에게 수학하였고, 이어서 송병선(宋秉璿)ㆍ기우만(奇宇萬)ㆍ()을 사사하였다. 정효기(鄭孝基)ㆍ한유(韓愉)ㆍ하겸진(河謙鎭)ㆍ권재규(權載奎) 등과 교유하여 학문에 조예가 깊었으며,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이듬해 지리산...
    이칭별칭 사흠(士欽)| 복재(復齋)|용대(鏞大)

단행본(3)

  • 조선후기 심설논쟁 화서학파-표점, 해제, 선역-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저자 :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211230
    이 책은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자료의 수집 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사업의 결과물로서, 총 4권의 자료집 가운데 제2권에 해당한다.이 책은 간재학파의 전우, 곽종석, 김준영, 오진영, 최병심, 남진영, 권순명, 유영선의 심설논변 자료이다. 이 책의 뒤편에는 이 ...
  • 화서학파의 심설논쟁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저자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 엮음 ... | 출판사 : 문사철 | 출판일 : 202201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심설논쟁아카이브 작업의 부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항로와 화서학파 학인들의 학문 사상에 대해서는 학계의 연구가 상당수 집적되었다. 그동안 발표되었던 논문 가운데 수작(秀作)이라고 할 만한 것, 연구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
  • 저자 : 한정길, 이원석, 양일모, 김재현, 엄연석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
    이 책은 19-20세기 초 동아시아에 사회진화론, 무정부주의 등 서양의 다양한 사회사상 혹은 기독교 등의 사상적 조류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시점에 조선의 학자들이 전통사상의 토대에서 자유와 민주, 평등과 같은 서양적 가치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문법을 검토하였다.

논문(1)

고서·고문서(49)

기초학문(1)

  • ‘頭流壇’을 통해 본 의 智島 유배생활 : 그 소통과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71595 한국연구재단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2014 ‘頭流壇’을 통해 본 의 智島 유배생활 : 그 소통과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

  • 원영근 이시훈 조근동 류□삼 박응경 박병 최훈봉 장익서 장영택 황덕주 이만용 운수공학부 박병혁 박익찬 조혁래 김창우 안동열 의학부 김봉운 김명관 김영회 김태준 장승범 이두찬 이정갑 이영옥 원필성 손윤중 정매자 김옥순 물리수학부 김운봉 고종하 변영입 강영서...
    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827_04 | 책임주필이영조

주제어사전(1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819∼1891). 홍필직의 문하에 있다가 1852년(철종 3) 스승이 죽은 뒤 이항로의 학설을 따라 심즉리의 설에 기울여졌다. 1900년 규장각제학에 추증됐고 미원서원·보산서원에 배향됐다. 저서로는 《중암선생문집》·《중암고》·《근사록부주》·《학통

  • 특증문서 / 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19일. 선공감감역 고 ()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10일 전의 문서이다. 이 문서에는 1910년 규장각제학에 추증되었고, 미원서원 및 보산서원에 배향되었다.《중암선생문집》을 비롯하여 많은 저술을

  • 금천집 / 錦川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임규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4년에 편집한 시문집. 1854년(철종 5) 임규직의 동문인 이지용(李之容)·() 등이 편집하였다. 서문과 발문은 없고, 편집경위가 의 『중암문집(重菴文集)』에 있는 「금천임군사실기(錦川任君事實記)」에

  • 근사록부주 / 近思錄附註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 『근사록』을 해석하여 1856년(철종 7)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이 춘천에서 곤궁한 세월을 보내던 38세 때 지었다. 1905년(광무 9)에 간행된 의 문집인 『중암집(重庵集)』에는 서문만 실려 있다. 19

  • 괴원집 / 槐園集 [종교·철학/유학]

    축문·제문·행장·어록(語錄), 권13에 부록으로 유사·행장이 들어 있다.이 책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서(書)는 홍직필(洪直弼)에게 올린 글과 저자의 아버지 항로(恒老)의 문인 ()·유중교(柳重敎)·최익현(崔益鉉) 등과 주고받은 편지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