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택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5)
사전(98)
- 신자하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7년 김택영(金澤榮)이 편찬한 신위(申緯)의 시선집. [편찬/발간 경위] 6권 2책. 신식활자본. 신위의 시 4,000여 수 가운데 900여 수를 뽑아 편찬한 것으로 중국 남통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택영의 서문과 중국인 장건(張...
- 김택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한 정리‧평가와 역사 서술에 힘을 기울였다. 한편, 이승만(李承晩) 등과 관계가 있어 중화민국정부에 우리나라 독립 지원을 요청하는 진정서를 썼다. 중국의 계몽사상가인 량치차오(梁啓超)‧장핑린(章炳麟) 등과도 교유가 있었다. 김택영은 한문학사...이칭별칭 우림(于霖)| 창강(滄江), 소호당주인(韶濩堂主人)
- 오호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0년 김택영(金澤榮)이 지은 부(賦). [구성 및 형식] 작자가 중국의 장시성 남통주(南通州)에 망명하고 있을 때에 조국을 잃은 비분을 달랠 길 없어서 이 한편의 시로 격렬한 감정을 토로하였다. 먼저 두 줄에 걸...
- 문의병장안중근보국수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에 김택영(金澤榮)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칠언절구. 3수. 그의 문집인 『소호당집(韶濩堂集)』 권4에 수록되어 있다. 이 시는 1909년 안중근이 일본의 이토(伊藤博文)를 하얼빈역에서 사살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나라의...
- 숭양기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에 김택영(金澤榮)이 지은 전기집(傳記集). [개설] 5권 2책. 활자본. 1896년에 간행되었다. 1903년에 다시 개정하고 간행되었다. 1920년에 증보 산삭하여 『중편한대숭양기구전(重編韓代崧陽耆舊傳)』으로 재차 간행되었다....
단행본(3)
- 한말사대가 평전 4책 [(1)추금 강위 평전 (2)영재 이건창 평전 (3)매천 황현 평전 (4)창강 김택영 평전] [한말 사대가 평전 총서 | 성균관대학교]저자 : (1)김진균 (2)이은영 (3)이은주 (4)한영규 ... | 출판사 : 소명출판 3책, 학자원 1책 | 출판일 : 20240210한말사대가는 강위(姜瑋, 1820~1884)와 김택영(金澤榮, 1850~1927), 이건창(李建昌, 1852~1898), 황현(黃玹, 1855~1910) 네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들은 한문학이 공식 문장으로 활용되던 마지막 시기에 하나의 문학 그룹을 이루...
- 신해혁명과 중국조선족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김춘선... | 출판사 : 연변인민출판사 | 출판일 : 2011.09.분야역사 | 유형단행본근대적전환과 그 지향점 한 선각자의 파란만장한 일대기-예관 신규식 신해혁명과 김택영 제2부 신해혁명과 중화민국 신해혁명은 중국근대화의 혁명이다 신해혁명과 세계조류
- 재중조선인 디아스포라문학연구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김호웅... | 출판사 : 연변대학출판사 | 출판일 : 2010.09.분야문학 | 유형단행본김택영 제4절 세상을 흘겨보는 자-예관 신정의 한시 제2장 1920~1931년의 문학 제1절 새로운 사조의 류입과 문화활동 제2절 이 시기 문학창작 제3절 신채호
고서·고문서(17)
- 합간소호당집(合刊韶濩堂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숭양기구전(崧陽耆舊傳)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중편한대숭양기구전(重編韓代崧陽耆舊傳)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개인-전기-유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한사경(韓史綮)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서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신고려사(新高麗史)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서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기초학문(4)
- 金澤榮과 개성 문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70320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번역원 2014 金澤榮과 개성 문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창강 김택영의 여성담론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762393 한국연구재단 동양한문학회 2017 창강 김택영의 여성담론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전통적 지식인의 망국 인식 : 김윤식, 김택영, 박은식의 경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71253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전통적 지식인의 망국 인식 : 김윤식, 김택영, 박은식의 경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0
- 기획논문: 金澤榮의 松都 복원 작업의 의미 -방법으로서의 디아스포라- /논평:정환국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승룡, 게재일 : 200641454 김승룡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회 2006 기획논문: 金澤榮의 松都 복원 작업의 의미 -방법으로서의 디아스포라- /논평:정환국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31)
- 조선신문_1948_0214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부듸낀 평양시성□리1번지 조선신문사 김택영 조선림시헌법위원회 서기장 조선림시헌법제정위원회 1948년 2월 7일 북조선인민회의 제4차회의 결정에 의하여 조선림시헌법제정위원회에서 작성한 조선림시헌법초안을 전 조선인민의 토의에 붙이기 위하여 이에 발표한...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214_02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조선신문_1948_0214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쁘·아·부듸낀 김택영 조선림시헌법제정위원회 서기장 조선림시헌법제정위원회 1948년 2월 7일 북조선인민회의 제4차 회의 결정에 의하여 조선림시헌법제정위원회에서 작성한 조선림시헌법 초안을 전 조선 인민의 토의에 붙이기 위하여 이에 발표한다. 조선림시헌법...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214_02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강원인민보_1947_1123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947년 11월 23일 346 서창동 원산시 철산리 16번지 강원인민보사 평양 김두봉, 김택영, 이청원, 김운동 (21일북조선통신)북조선인민회의 제3차회의에서 조직된 조선임시헌법제정위원회 제1□회의는 북조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장실에서 2...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1123_01 | 날짜1947년 11월 23일 | 책임주필서창동
- 강원로동신문_1947_1211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7년 12월 11일 369 한성(韓星) 원산 강원로동신문사 김택영(조선림시헌법제정위원회) 조선림시헌법제정위원회 (8일 북조선통신) 조선림시헌법 제정위원회에서는 조선림시헌법 초안작성 진행에 관하여 8일 상오 다음과 같은 보도를 발표하였다. 조...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1211_01 | 날짜1947년 12월 11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 조선신문_1948_0218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쁘·아·부듸낀 김택영 조선림시헌법제정위원회 서기장 조선림시헌법제정위원회 2월 11일에 본 위원회에서 발표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림시헌법 초안을 전체 조선 인민들은 누구나 충분히 연구토의하기를 바란다. 본 헌법 초안을 연구토의한 결과 초안에 대하여 보충...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218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기타자료(22)
- 김택영;金宅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1838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5 81면 7. 졸업;12) 同 제5회 졸업자 (1916년 3월) 김택영;金宅泳 (출신)평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택영;金宅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1055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3 77면 7. 졸업자;12) 同 제5회 졸업자 (1916년 3월) 김택영;金宅泳 (출신)평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택영;金澤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1545 남한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 1-27 배제 제5호 1924 110면 1. 동창생 씨명 및 주소 (가나다 순);22) 고등보통학교 제6회 김택영;金澤永 (주소및현황)0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배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택영웅;金澤永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9979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23면 금택영웅;金澤永雄 경성부 체부정 21 제17회 194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택영찬;金澤永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8178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108면 - 금택영찬;金澤永瓚 1942년 3월 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한말 사대가 평전 총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한영규 | 성균관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4)
-
김택영 / 金澤榮 [종교·철학/유학]
항일기의 학자(1850∼1927). 홍문관 찬집소에 보직되어 문헌비고 속찬위원으로 있으면서 통정대부에 올랐다. 학부 편집위원이 되었으나 사직하였다. 계몽사상가 양계초·장병린 등과 교유가 있었다. 저서로는《한국소사》등 다수가 있다.
-
한국역대소사 / 韓國歷代小史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김택영(金澤榮) 찬, 필사본, 13권 4책. 구성은 서, 예언, 인용서적급변증기, 목차, 권1-13이다.《한국역대소사(韓國歷代小史)》중 단씨조선기(檀氏朝鮮紀)부터 고려기(高麗紀) 일부만을 필사한 책이다.
-
신자하시집 / 申紫霞詩集 [문학/한문학]
1907년 김택영(金澤榮)이 편찬한 신위(申緯)의 시선집. 6권 2책. 신식활자본. 신위의 시 4,000여 수 가운데 900여 수를 뽑아 편찬한 것으로 중국 남통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택영의 서문과 중국인 장건(張謇)의 제사(題辭)가 있으며, 권말에 신위의 연보가
-
이건승 / 李建昇 [문학/한문학]
의 회인현(懷仁縣)으로 망명했다. 망명길에 개성에 거주하는 홍문관시강(弘文館侍講)왕성순(王性淳)의 집에 10일 정도 머물렀다. 왕성순은 창강(滄江)김택영(金澤榮)의 『여한구가문초(麗韓九家文鈔)』에 서문을 쓴 인물로 김택영의 글을 합하여 ‘여한십가(麗韓十家)’로 하도록
-
이건창 / 李建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대문장가(1852∼1898). 강위·김택영·황현 등과 교분이 두터웠으며 용모가 청수했다고 전한다. 갑오경장 이후로는 새로운 관제에 의한 각부의 협판·특진관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거절했다. 고향인 강화에 내려가서 서울과는 발길을 끊고 지내다가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