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태일” 에 대한 검색결과 1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4)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7(인조 15)∼1702(숙종 2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추백(秋伯), 호는 노주(蘆洲). 윤안(胤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득선(得善)이고, 아버지는 단(鍴)이며, 뒤에 곤(錕)에게 입양되었다...
    이칭별칭 추백(秋伯)| 노주(蘆洲)
  • 노주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내용] 5권 3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간행연대는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는 부(賦) 2편, 시 365수, 권3은 소 8...
  • 양경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년 10월부터 의병장 이경춘(李慶春)‧이석용(李錫庸)‧양윤숙(楊允淑)의 주요구성원으로 활동하다가 1909년 초 독립한 의병장이다. 최산흥의 의병부대에서 동료 의병인 ()‧김형주(金亨注) 등과 군자금을 모금하였는데, 1909년 9월 일본군경의 밀정을 처단하기...
  • 김유산(金有山)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라도 전주 김인창(金仁昌) () 김수경(金壽敬)의 딸 [총론] [1761년(영조 37)~1801년(순조 1) = 41세]....
  • 매헌실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행된 것이다. [내용] 권두에 채휴징의 1718년 찬 「매헌실기서」, 인명 미상의 1746년 찬 「매헌사적부서」가 있다. 본문은 권1에 세계도(世系圖)‧총서대략(總敍大略)‧연보가 있고, 권2에는 사적 및 ()의 발문, 송시열(宋時烈)의 신도비병...

고서·고문서(139)

기초학문(11)

  • 한국의 이익정치와 농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태일, 게재일 : 2003
    10622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정치학회 2003 한국의 이익정치와 농민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bc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정부 역할의 유형과 정부 성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태일, 게재일 : 2013
    41791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책학회 2013 정부 역할의 유형과 정부 성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정부인력 규모와 공공 서비스 제공 방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태일, 게재일 : 2012
    29799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정부학연구소 2012 정부인력 규모와 공공 서비스 제공 방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국 사회 서비스의 특징과 전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태일, 게재일 : 2011
    58707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아세아문제연구소 2011 한국 사회 서비스의 특징과 전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복지지출과 국가부채의 관계: OECD 국가 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태일, 게재일 : 2012
    58709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2012 복지지출과 국가부채의 관계: OECD 국가 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2)

  • 4 림상준 함남인민보사 조규홍 , 김황균, 리흥수 리원군 리원면 농민들은 보리파종을 지난 4월 2일 현재로 끝마치었으며 감자파종도 70%로 진척시키고 있다. 지난 3월 8일 룡철리 농민의 첫 보리파종을 봉화로 전체 농민들의 앙양된 증...
    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410_04 | 책임주필림상준
  • 8 제작진합담 10 장총감과 영화 11 <밤의 태양>을 완성하고 12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8
  • 길 이봉구 92 해몽해몽 최린교 96 애라 100 눈내리는 창가에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9
  • 건국 10주년을 맞고 외 52 푸라다나스 잎을 밟고 노희수 55 기도란 무엇인가요 59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8
  • 삼월 담갑으로 국 보급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삼월 담갑으로 국 보급본금 모집데 야 긔부 금과 셩명이 여좌홈 金山郡金泉面鱉洞基督敎會中 朴相淳 二圓 同夫人 二十錢 林和善 一圓 金景三 一圓 姜在瑞 五十錢 金聖佑 六十錢 四十錢 白明華 四十錢 최文善 一圓 金應植 二十錢 林允明 二十錢 同氏女
    게재일1907년 6월 11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9)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409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 경상남도 하동 소화5년 3월6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3243 남한 충남 천안농업고등학교 천안농업고등학교 졸업대장(1932~1945) n.r. 26면 9. 1940년도 졸업생(3년제) ; 충남 천안군 ■■면 1941.3.4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천안농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302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90면 ; 평남 강서군 雙龍面 基里 1929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902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9면 ; 평남 강서군 雙龍面 基里 1929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37(인조 15)∼1702(숙종 28). 조선 후기의 문신. 윤안의 증손, 할아버지는 득선, 아버지는 단, 뒤에 곤에게 입양되었다. 1660년(현종 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장령·헌납·문학·보덕을 차례로 역임하였고, 1694년 사간으로 있을 때 서인인 한중혁

  • 매헌실기 / 梅軒實記 [문학/한문학]

    , 권2에는 사적 및 ()의 발문, 송시열(宋時烈)의 신도비병서(神道碑竝序), 이만부(李萬敷)의 묘갈명병서(墓碣銘竝序), 어제문(御製文)·제문·만사·교유서(敎諭書), 황조사감군증(皇朝史監軍贈)·증시(贈詩)·잡부(雜附) 등이 실려 있다. 이 책에 수록된 「연보

  • 김남일 / 金南一 [종교·철학/유학]

    1635년(인조 13)∼1696년(숙종 22). 조선 후기 관료. 김담의 7세손, 부친 김단의 3남 중 장남이다. 외조부는 권극해, 동생은 김해일·이다. 부인은 김상유의 딸이다. 외조부 권극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77년(숙종 3) 현릉참봉을 시작으로 내섬

  • 노주문집 / 蘆洲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의 시·소·기·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5권 3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간행연대는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는 부(賦) 2편, 시 365수, 권3은 소 8편, 서(書) 2편, 서(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