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치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
사전(6)
- 김치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92(숙종 18)∼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사중(士重), 호는 사촌(沙村). 광주(廣州) 출신. 할아버지는 우참찬 간(榦)이고, 아버지는 태로(泰魯)이며, 어머니는 강석하(姜錫夏)의...이칭별칭 사중(士重)| 사촌(沙村)
- 적막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조용하고 쓸쓸한 곳. 보통 유배된 사람이 자기가 유배되어 있는 곳을 가리킬 때 쓰는 표현. .荷從人臨賁於寂寞中 此意良厚 .不敢忘也, 김치후(金致.), 21(禮)-44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종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상대방을 직접 지칭하는 것이 실례이기 때문에 상대방을 모시고 따르는 사람을 지칭함으로써 상대방에 대한 공경을 표함. .荷從人臨賁於寂寞中 此意良厚 .不敢忘也, 김치후(金致.), 21(禮)-44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억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733년(영조 9) 성균관시험에 2등하여 전시에 곧바로 나가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33년 사간원정언으로 노론 당론을 펴던 대사간 김치후(金致垕)를 옹호하는 언론을 펴다가 해도(海島)로 유배당하였다. 1737년 석방되어 홍문록(弘文錄 : 홍문관의 제1차 인...이칭별칭 대숙(大淑)
- 사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치후(金致垕)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아들 종정(鍾正)이 편집하여 1765년(영조 41)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책 끝에 신경(申暻)ㆍ종정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고서·고문서(26)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151 B01615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年 1月 30日_010 ○金致垕啓曰, 左參贊李宜顯, 以實錄考出事, 江華府今方出去, 勢當留滯屢日, 故所授守禦使密符, 不敢仍佩以去, 來請還納, 何以爲之? 敢稟。 傳曰, 仍佩往來。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239 B016239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年 1月 30日_010 ○金致垕啓曰, 左參贊李宜顯, 以實錄考出事, 江華府今方出去, 勢當留滯屢日, 故所授守禦使密符, 不敢仍佩以去, 來請還納, 何以爲之? 敢稟。 傳曰, 仍佩往來。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7441 B057441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14年 5月 22日_008 ... 出陸乎? 上曰, 近來出陸, 可以窺君上之心, 將有大慶, 則可以生還矣。 文秀曰, 金致垕·李聖海出陸, 趙明履, 量移則可矣。 尙絅曰, 聞鏡城癘患大熾, 年少者或死於極邊, 則豈不愛惜...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9169 B059169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14年 5月 22日_008 ... 出陸乎? 上曰, 近來出陸, 可以窺君上之心, 將有大慶, 則可以生還矣。 文秀曰, 金致垕·李聖海出陸, 趙明履, 量移則可矣。 尙絅曰, 聞鏡城癘患大熾, 年少者或死於極邊, 則豈不愛惜...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理等說, 爲今臣者, 少有嚴其君之心, 何敢復陳於筵席。 此比諸億增·相徽, 尤有倍焉。 以李秉常褊狹之心, 不復敢陳, 且況渠乎? 金致垕, 黑山島島配, 以示投之有北之意。 韓億增, 機張遠配。 安相徽, 海南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김치후 / 金致垕 [종교·철학/유학]
1692(숙종 18)∼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우참찬 간, 아버지는 태로, 어머니는 강석하의 딸이다. 1722년(경종 2) 영소전참봉이 되고, 1726년(영조 2)에 의금부도사가 되었다. 그 해에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적이 되었다.
-
김동헌 / 金東獻 [종교·철학/유학]
1791년(정조 15)∼1869년(고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증조부는 김치후, 조부는 김종정, 부친은 김명연이다. 모친은 남홍억의 딸이다. 처부는 이희곤의 딸이다. 1832년에 세자익위사부수를 거쳐 오위사과·사복시주부·충훈부도사 등을 지냈으며, 외직으로 임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