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6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78)
사전(680)
- 김치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쌀에 김치를 섞어 지은 밥. [내용] 김치밥은 겨울철의 저장용 김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 나라에 오늘날과 같은 독특한 맛의 저장용 김치가 발달하게 된 것은 고추가 전래된 1600년대 이후이므로, 김치밥을 먹기 시작한 시기도
- 대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김치화(金致和)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석인본. 1929년 후손 현섭(顯燮)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원용규(元容圭)의 서문과 권말에 왕재정(王在政)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역...
- 도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김치삼(金致三)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915년 11대손 용희(容禧)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조종필(趙鍾弼)의 서문이 있다.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부 9편, 시...
- 나박김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배추와 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국물김치. [내용] 『규곤시의방』과 『색경』에 나박김치의 이름만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이미 나박김치 담그는 법이 보편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증보산림경제』의 담저법(淡菹法)에는 무에
- 광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오방불교(五方佛敎)를 창교한 김치인(金致寅)의 문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필자가 가진 책자는 치인의 제자 박춘근(朴春根)이 쓴 것으로 편집연대가 적혀 있지 않다. 그러나 1923년 『광화김처사법언록』이 출간되기 전에
고서·고문서(2,207)
- 김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치 정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증기터빈공장 1차간 13 10 김치, 뉴트돈, 태양, 빛, 연필,대표표제어김치 | 성씨정
- 김치(金緻)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611 B032611 김치 金緻 인물 濟州邑誌1 濟州 建置沿革 樓亭 老兵 欲將何事鎭夷情 少時氣節山同峻 晚歲襟懷水共淸 憂國百年無寸補 臨民三月但虛聲 巡遊到處天恩足 不用離騷學屈平) 金尙憲詩(試拔愁城按酒兵 當杯先起故鄕情 羅紈狎坐留人醒 星漢低簷滿意淸 官舍橘林秋後色 拏峯笙...출처전거濟州邑誌1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김치둑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6431 창가 新式流行 二八靑春唱歌集 22068 京城 時潮社 發行 김치둑이 〈#35〉 져 건는 말 김첨지(金僉知) 두양주가 아츰밥을 먹는데 그 영감이 마누라를 도라보며 이것 좀 맛보소 그 마누라가 영감을 마조 보며 그것 참 맛 좃쇼 김치둑이...구분창가
- 김치 깍둑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261 창가 特選歌謠曲集 22159 1936년 洪蘭坡 硏樂會 洪蘭坡 柳錫基 壹圓 五拾錢 김치 깍둑이 〈mn〉오선보〈/mn〉 〈#24〉 저 건너말 김첨지 두양주가 아츰을 먹을 때 그 령감이 마누라 도라보며 이것 좀 맛보소 김치...구분창가 | 편저자洪蘭坡
- 김치 담그기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1120 P-SDK-01120-P-E-08-02 P-SDK-01120-P-E-08-02-1 P-SDK-01120-P-E-08-02-2 김치 담그기 朝鮮風俗 View of Custom in Chosen. 조선풍속초화팔편 봉투 있음. 8매 세트....자료명김치 담그기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58)
- 김치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 | 제보자전갑순
- 김치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지방의 고유한 노래를 불러 보라고 요구하자 김치 노래를 생각해 내었는 <page id="750"></page> 데, 너무 오래 안 불러서 다 잊어버렸다고 사양했다. 그래도 불러 보라고 하자 부르기는 했으나, 완전하게 기억해 내지는 못하는 것 같았다. 부족한...조사일시1982-08-22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봉수면 | 제보자전갑순
- 김치둑이 아들을 낳고 오해 받은 며느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좌중에는 시집살이 이야기를 주고 받느라 이야기판이 중단되었다. 이런 이야기들을 부친으로부터 많이 들었다고 했다. 이야기를 듣고 난 할머니들은 이와 유사한 사례들을 다양하게 이야기했다. 시어른들이 아들과 며느리가 동침할 수 있는 방을 따로 마련해 주지 않았기 때문에...조사일시1984-02-18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 제보자이옥녀
- 곶감김치[[수정과]] 먹고 화태똥 싼 사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를 마치고 이야기를 하는 것에 흥미를 느꼈는지, 곧이어 구연했다. 앞의 구연과 마찬가지고 다양한 몸짓을 하면서 청중을 웃기며 솜 씨 있게 구연했다.조사일시2010. 2. 17(수) | 조사장소강원도 홍천군 남면 중화계리 147-2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석철순
- 미련한 사위 (1) [나박김치가 먹고 싶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제까지 몇 가지나 했느냐고 물어 여덟 가지라고 대답했다. “그럼 더 한다.” 고 하면서 들려 준 자료이다. 이 이야기가 끝난 후에 “재미 있잖아 그것두.” 하니까 옆의 청중이 “옛날에는 퍽 먹는 것들만 알어.” 라고 말했다.*조사일시1983-07-18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 제보자목수희
기초학문(16)
- 시판 홍어 김치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경희, 게재일 : 200831433 김경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식생활문화학회/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8 시판 홍어 김치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조선시대 ‘김치(沈菜)’문화의 원형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용중, 게재일 : 201760820 강용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비교문화연구소 2017 조선시대 ‘김치(沈菜)’문화의 원형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7
- 한중 양국의 김치 관련 어휘의 비교를 통해본 우리말 ‘김치’의 어원 연구- 김치(沈菜)의 ‘沈’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용중, 게재일 : 201249775 강용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어중문학회 2012 한중 양국의 김치 관련 어휘의 비교를 통해본 우리말 ‘김치’의 어원 연구- 김치(沈菜)의 ‘沈’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미국 대중문화에 나타난 ‘김치장막’: 한국계 미국인배우의 북한 재현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미경, 게재일 : 201657382 정미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현대영미어문학회 2016 미국 대중문화에 나타난 ‘김치장막’: 한국계 미국인배우의 북한 재현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아태지역의 미국 패권에 대한 지지요인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치욱, 게재일 : 201239788 김치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2 아태지역의 미국 패권에 대한 지지요인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428)
- 寄金致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왕십리 무학동 은방뎡규셥씨 본보확장데 야 금화 오십젼을 긔부얏고 인쳔항 룡동 리경봉씨 국보상환에야 본사 필차로 금화오십젼을긔부얏스니뎨씨에 셩의를 치하노라게재일1907년 5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寄金致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김화초동면 도미동 심능하씨가 국보상에 야 발긔슈합금 일오원삼십젼을 보고 본샤경비에 보용라고 금일원을긔부 얏스니 나라 위고 신문을 사랑시△셩의를치하노라게재일1907년 5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寄金致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셔다방골 죠소사 본신문을 애독지 오온바 금번 본보 확쟝다 말을듯고 신화일원을 긔부얏스니 그유지심 을감샤히 넉이노라게재일1907년 5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寄金致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남셔즉졍동 고윤영씨가 본신문 확장다 말을듯고 긔계셜비에 보라고 신화 오십젼을긔부얏고 동문밧 지젼 난 젼임쥬 리병규씨난 본신문 확쟝난데야 만폭쟝셔로신문 확쟝되것을불승희감 이라 고 신화일원을 긔부얏고 셔소문밧 골 십삼셰 동몽박은셩씨 본사지필라고...게재일1907년 5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寄金致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문밧 경교 칠십사통 호신申숑松씨가 국 상환에 의연금은긔왕긔부얏거니와본사 사원의 근로를 쟝황이말고 지필로 오십젼을긔부얏기 그셩의를 치하노라게재일1907년 4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4)
- 요리전문가 황혜성의 지도로 김장김치부터 계절 김치까지 김치 담그는 방법을 보여준다.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73년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18세기 중반 순무김치[菁苴]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698_18세기_중반_순무김치[菁苴] 경제_1698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조기 어업 5주차. 역사를 이어온 계절의 맛, 산나물 6주차. 바다가 준 선물, 바다나물 7주차. 한국인의 상찬(常饌), 배추김치 8주차. 멸치와 이와시(イワシ) 9주차. 바다를 건넌 멸치 10주차. 북해의 선물, 명태 11주차. 인삼, 가장 오래된 선물이자 수출품1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 조기 어업 5주차. 역사를 이어온 계절의 맛, 산나물 6주차. 바다가 준 선물, 바다나물 7주차. 한국인의 상찬(常饌), 배추김치 8주차. 멸치와 이와시(イワシ) 9주차. 바다를 건넌 멸치 10주차. 북해의 선물, 명태 11주차. 인삼, 가장 오래된 선물이자 수출품1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 조기 어업 5주차. 역사를 이어온 계절의 맛, 산나물 6주차. 바다가 준 선물, 바다나물 7주차. 한국인의 상찬(常饌), 배추김치 8주차. 멸치와 이와시(イワシ) 9주차. 바다를 건넌 멸치 10주차. 북해의 선물, 명태 11주차. 인삼, 가장 오래된 선물이자 수출품1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기타자료(135)
- 김치순;金致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32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김치순;金致順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치엽;金致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49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김치엽;金致燁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치옥;金致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815 일본 山形 山形高等學校 山形高等學校一覽 昭和3年~昭和4年 1928―08―25 96면 김치옥;金致玉 조선학교소재지역山形 | 학교명山形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치옥;金致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833 일본 山形 山形高等學校 山形高等學校一覽 昭和4年~昭和5年 1929―08―28 93면 김치옥;金致玉 조선학교소재지역山形 | 학교명山形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치옥;金致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851 일본 山形 山形高等學校 山形高等學校一覽 昭和5年~昭和6年 1930―07―15 87면 김치옥;金致玉 조선학교소재지역山形 | 학교명山形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조선의 '글로벌 기프트'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구도영 | 동북아역사재단 | 202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3)
-
김치 / [생활/식생활]
시키면 본래의 맛을 잃고 영양분의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그래서 채소를 소금에 절이거나 장·초·향신료 등과 섞어서 새로운 맛과 향기를 생성시키면서 저장하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우리 고유의 식품이 바로 김치이다.
-
갓쌈김치 / [생활/식생활]
갓잎을 주재료로 하여 담근 김치. 주로 전라남도 지방에서 담그는 김치이다. 이 지방에서 나는 갓은 보랏빛이 나는 붉은색으로 잎이 크고 향기가 높으며, 특히 해남(海南) 갓이 유명하다.『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산림경제』·『규합총서(閨閤叢書)』 등에 산갓김치 담그는
-
김치룡 / 金致龍 [종교·철학/유학]
1654(효종 5)∼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절, 아버지는 문경현감 남갑, 어머니는 관찰사 홍득일의 딸이다. 1675년(숙종 1) 생원·진사에 모두 합격하고, 1691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전적, 감찰, 예조정랑, 병조정랑, 공조참
-
김치인 / 金致仁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6∼1790). 1738년(영조 14) 생원시 합격, 1748년 춘당대 문과에 장원해 예문관전적과 정언을 거쳐 1766년 좌의정. 영의정이 됐으나 1772년 당파를 조성했다는 죄로 유배당했다. 정조가 즉위하자 승습주청사의 정사로서 청나라에 다
-
김치후 / 金致垕 [종교·철학/유학]
1692(숙종 18)∼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우참찬 간, 아버지는 태로, 어머니는 강석하의 딸이다. 1722년(경종 2) 영소전참봉이 되고, 1726년(영조 2)에 의금부도사가 되었다. 그 해에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적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