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취문” 에 대한 검색결과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09(중종 4)∼1570(선조 3).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문지(文之), 호는 구암(久菴). 할아버지는 제(磾)이고, 아버지는 광좌(匡佐)이며, 어머니는 임무(林珷)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형 취성(就成...
    이칭별칭 문지(文之)| 구암(久菴)| 문간(文簡)
  • 김수동()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수동 인물 문신 한국 조선 중종~명종 이기순 이범직 2013 미수(眉叟) 만보당(晩保堂)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문경(文敬) 양반 남자 1457년(세조 3) 1월 18일 15...
  • 구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791년(정조 15) 현손 몽의(夢儀)‧몽화(夢華)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범조(丁範祖)‧김종수(金鍾秀)의 서와 권말에 오재순(吳載純)‧...
  • 낙봉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성리에 있는 서원. [내용] 1647년(인조 2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숙자(金叔滋)‧김취성(金就成)‧박운(朴雲)‧()‧고응척(高應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
    연계항목낙봉서원(洛峰書院)
  • 금오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원리에 있는 서원. [내용] 1572년(선조 5)에 최응룡(崔應龍)‧() 등이 부사 송기충(宋期忠)에게 청하여, 길재(吉再)의 충절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금오산 아래에 서원을 창건하여 위...
    연계항목금오서원(金烏書院)

고서·고문서(14)

  • 10 第十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웅촌면(熊村面) 1765년 웅촌면(熊村面) 第七椧谷里 10 第十統統首 第一戶 司僕諸員年伍拾肆壬辰本金海父判官仁建祖嘉善明信曾祖業武龍文外祖正兵金尙文本月 城妻孔姓年肆拾柒己亥本昌原父業武時贊祖忠義得容曾祖通政戒男外祖正兵姜鳳翼本晋州率女 召史年...
    연도_면이름176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七椧谷里
  • 8 第八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웅촌면(熊村面) 1765년 웅촌면(熊村面) 第十八桶泉里 8 第八統統首 第一戶 禁保鰥夫年陸拾丙戌本金海父通政進發祖司果戒明曾祖通政對卜外祖通政金應祿本 金海率人女召史年肆拾參癸卯率女召史年拾陸庚午率女召史年拾參癸酉等壬午戶口相准 第二戶 武學...
    연도_면이름176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八桶泉里
  • 10 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4년_웅촌면(熊村面) 1774년 웅촌면(熊村面) 第十九桶泉里 10 統統首 第一戶 禁保鰥夫年陸拾玖丙戌本金海父通政進發祖司果戒命曾祖通政代福外祖通政金應彔本金海率女召史年拾 玖丙子次女召史年拾伍庚辰辛卯戶口准 第二戶 幼學車命輪年肆拾伍庚戌本延安父...
    연도_면이름1774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九桶泉里
  • 영천(永川) 군수 ()자는 문지(文之)이 어제 성주에 들어왔다고 하면서 밥을 먹은 후에 함께 와서 만났다. 성주 관속이 술과 안주를 차렸다. 교수 정팽년(鄭彭年)도 와서 함께 술을 마셨는데, 많이 마셔서 취해서 헤어졌다. 장응선과 김치문 두 사람이 궁함을 면...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먹은 후 병자를 보러 내려가 맥을 짚었다. 맥(脈)이 순조롭지 못한 것이 날로 심해지니 걱정된다. 상주(尙州) 목사 ()은 청도(淸道)에서 아침 일찍 도착했다. 밖으로 나가 만나 안부를 나누고 함께 차를 마시고 바로 병자에게 함께 들어갔다. 병자와 애써 안부...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509(중종 4)∼1570(선조 3).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제, 아버지는 광좌, 어머니는 임무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형 취성과 함께 박영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워 그 학통을 이었고 문장을 잘하여 이름이 높았다. 1537년(중종 3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 금오서원 / 金烏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원리에 있는 서원. 1572년(선조 5)에 최응룡(崔應龍)·() 등이 부사 송기충(宋期忠)에게 청하여, 길재(吉再)의 충절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금오산 아래에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575년에 ‘금오’라고 사액되어 사액

  • 낙봉서원 / 洛峯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성리에 있는 서원. 1647년(인조 2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숙자(金叔滋)·김취성(金就成)·박운(朴雲)·()·고응척(高應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87년(정조 11)에 ‘낙봉(洛峰)’

  • 구암집 / 久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791년(정조 15) 현손 김몽의·김몽화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범조·김종수의 서와 권말에 오재순·최광벽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12수, 소 2편, 차 1편, 계 8편, 서 5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