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춘택” 에 대한 검색결과 1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6)

사전(7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숙종실록(肅宗實錄)』 『북헌집(北軒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필적 1670...
    이칭별칭 백우(伯雨)| 북헌(北軒)| 충문(忠文)
  •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가면극연희자 가 ☞ 하회별신굿탈놀이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노산취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이 지은 우리 나라 역사에 대한 논평집. [개설] 1책. 필사본. 1715년(숙종 41) 노산(蘆山)에 있을 때 쓴 것이다. 『노산취필』 권두에는 자서(自序)가 있어 이 책을 쓰게 된 연유를 밝혔다. 집...
  • 이삼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령ㆍ지평을 거쳐 집의가 되어서는, 기사년(己巳年 : 1689, 숙종15)에 있었던 의리(義理) 논쟁에 대한 일로 김진규(金鎭圭)ㆍ김진구(金鎭龜)ㆍ진구의 아들 ()을 배척하였는데, 이 일로 노ㆍ소론(老少論) 간의 치열한 공방전과 함께 사직되었다. 그...
    이칭별칭 달보(達父)
  • 이천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의 사위이다. 숙종 말년 세자의 대리청정 때 소론은 연령군(延齡君 : 뒤의 경종)을 지지했지만, 노론은 경종의 아우인 연잉군(延礽君 : 뒤의 영조)...

고서·고문서(31)

구술자료(2)

  •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구연상황 없음 *
    조사일시1980-11-28 | 조사장소전라남도 함평군 나산이면 | 제보자김재복
  • 장희빈 쫓아낸 의 ′사씨남정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제보자는 “뭐 여기 옮길 만한 정도의 이야기가 못 되는데….” 하면서 구술했다. *
    조사일시1983-05-24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김진홍

기초학문(2)

  • 안동 가일의 일상생활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춘택, 게재일 : 2013
    46063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안동 가일의 일상생활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다문화가족여성의 일상생활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안동 동성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춘택, 게재일 : 2015
    62619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역사학회 2015 다문화가족여성의 일상생활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안동 동성마을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27)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1257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68면 ; 본과 제10회 1933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9164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83면 1. 3. 각 과별 졸업생;19) 제19회 졸업생 (1937년 3월 졸업);(1) 문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0082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87면 1. 3. 각 과별 졸업생;19) 제19회 졸업생 (1937년 3월 졸업);(1) 문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1670(현종 11)∼1717(숙종 43). 조선 후기의 문신. 생원 익겸의 증손, 할아버지는 숙종의 장인인 만기, 아버지는 호조판서 진구이다. 증조모 윤씨에게서 학업을 익히고, 종조부 만중으로부터 문장을 배웠다. 시재가 뛰어나며 문장이 유창하였고, 김만중의 소설「구운

  • 노산취필 / 蘆山醉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 지은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논평집. 1책. 필사본. 『노산취필』 권두에는 자서(自序)가 있어 이 책을 쓰게 된 연유를 밝혔다. 집필한 날짜도 을미맹추(乙未孟秋)로 명기하였다. 이 책은 단권으로 이루어졌다. 모두 50항목으로 나누어졌다.

  • 정수기 / 鄭壽期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64∼1752). 1699년(숙종 25)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사간원정원에 재임 중 등을 탄핵하였다. 신임사화의 주요인물로 지목되어 삭탈관직되었다. 복직된 이후 대사간·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 별사미인곡 / 別思美人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숙종 때 ()이 지은 가사. 지은 시기는 작자의 문집인 『북헌집 北軒集』 권4 논시문(論詩文)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내가 제주에 와 우리말로 「별사미인곡」을 지으니, 이는 정철(鄭澈)의 양미인곡(兩美人曲)에 추화(追和)한 것이다…….”라는 논시

  • 평산냉연 / 平山冷燕 [문학/고전산문]

    없다. 그러나 (, 1670∼1717)의 『북헌잡설(北軒雜說)』에 제목이 보이고, 『정조실록』에 이상황(李相璜)과 김조순(金祖淳)이 한원(翰院)에서 숙직할 때 『평산냉연』을 읽다가 정조에게 들켰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17∼18세기에 사대부들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