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창집” 에 대한 검색결과 4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3)

사전(20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英祖實錄 國朝榜目 辛壬提要 黨議通略 夢窩集 기해기사계첩 / 초상 1648(인조 2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여성(汝成)| 몽와(夢窩)| 충헌(忠獻)
  • 김신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 김창흡(金昌翕)을 사사하였다. 1721년(경종 1)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큰아버지인 영의정 ()이 노론 4대신의 한 사람으로 신임사화에 거제도로 유배될 때 연루되어 함께 유배되었다. 1725년(영조 1)에 풀려나 내시교관(內侍敎官)에...
    이칭별칭 존보(尊甫)| 증소(?巢)| 문경(文敬)
  • 우홍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책봉문제, 세제의 대리청정(代理聽政)문제를 둘러싸고 노론과 소론의 대립이 본격화되어, 소론에 의한 노론 축출사건인 이른바 신임사화가 발생하였다. 1722년(경종 2) 노론이었던 그는 () 등 노론대신의 당여로서 내시 장세상(張世相)의 집을 왕래하며 역...
  • 이지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않고 절의를 숭상하며 후진교육에 힘을 기울였다. 1722년(경종 2) 신임사화로 영의정 ()이 유배지에서 사사되자 성주로 내려가서 장례에 참여하였으므로 유적(儒籍)에서 삭제당하였다. 1725년(영조 1) 민진원(閔鎭遠)...
    이칭별칭 중전(仲全)| 청간당(聽澗堂)
  • 이수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종 1) 신임사화로 노론의 대신 ()이 유배도중 통영을 지나자, 그는 원문(院門)에 나가 인사를 하고 비장을 시켜 창집을 호행(護行)하도록 한 것으로 소론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고, 이어 목숨만은 구하여 제주 정의(旌義)에 유배된 지 1년 만에 그곳에서 죽었...
    이칭별칭 일경(一卿)| 충정(忠貞)

고서·고문서(230)

  • 32599 B032599 인물 黃海道邑誌 鳳山郡邑誌 鳳山郡 人物 ... 門人子弟講誦刮磨晝 夜不倦雖菽水不繼而晏如也自遠來學者甚衆十二月除丹陽郡守不就先生年五十歲見年知郡李公應辰還朝後閱沙溪先生年譜有此記實而荏郡邑誌蒐輯▣時未及考覽故追使郡士添補于下 姜碩期 燦之子弱冠已有...
    출처전거黃海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경자년 경명(敬明) 김창즙()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72979 B07297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6年 2月 9日_011 ○宋廷奎啓曰, 卽伏見江華留守狀啓, 則以本府銀貨負債人之子, 差遣東萊商賈, 以爲收推物貨, 趁卽準納之地事, 請令廟堂稟處矣。 公貨積逋, 固宜變通, 商賈差遣, 何等瑣屑, 而乃以此至煩上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3)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5660 북한 평남 義明學校學 3-09 義明學校學友會 會員名簿 n.r. 9면 1. 통상회원의 부(가나다순);10) 제10회졸업자(1922년도) ; 대동;경성 동대문외 회기리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義明學校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육정보) 베트남 연수기 -어제를 돌아보며 내일을 가늠한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94 6 교육제주 84호 제주도교육청 ...
    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창집 | 사료철명교육제주

주제어사전(17)

  • / [종교·철학/유학]

    1648(인조 2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좌의정 상헌 증손,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광찬, 아버지는 영의정 수항, 어머니는 호조좌랑 나성두의 딸이다. 창협·창흡의 형이다. 이른바 노론 4대신으로 불린다. 정언, 지돈녕부사, 우의정, 좌의정, 영의

  • 김창즙 / [종교·철학/유학]

    1662(현종 3)∼1713(숙종 39).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영의정 수항, 어머니는 나성두의 딸이다. 여섯 형제 중 다섯째로 태어났는데, 형 창집·창협·창흡·창업과 함께 문장대가로 당시 육창이라 불렸다. 조봉원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왕자사부, 예빈시주

  • 난곡서원 / 蘭谷書院 [교육/교육]

    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에 있었던 서원. 1848년(헌종 1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김제겸(金濟謙)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묘우(廟宇)와, 강당(講堂)인 이지당(二止堂), 동재

  • 논신임의리문자 / 論辛壬義理文字 [종교·철학/유학]

    ()의 상소에서 시작되었고, 이것을 반대한 김일경(金一鏡)이 목호룡(睦虎龍)을 사주하여 옥사를 일으켰다. 이 글은 논척된 노론 4대신을 비호하고 김일경과 목호룡의 징죄를 주장하면서 자파의 처사가 옳다고 주장한 노론과 소론의 당쟁사의 한 부분이다.

  • 사충서원 / 四忠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에 있는 서원. 1725년(영조 1) 노론 4대신인 ()·이이명(李頤命)·이건명(李健命)·조태채(趙泰采)를 제향하기 위하여 노론계 관료와 유생이 추진하고 국가의 보조에 의하여 경기도 과천에 건립되었다. 건립과 동시에 국가로부터 사액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