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창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민족독립운동
연구성과물(17)
사전(1)
- 조봉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모금, 임시정부에 송금하였다. 같은해 7월 20일 이 사실이 발각되어 최용식‧김창국‧김창언‧문창래(文昌來)‧이도종(李道宗) 등 관련자 60여 명과 함께 일본경찰에 붙잡혔다. 그해 11월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을 선고받고 복역 중 옥사하였다. 1963년 대통령...
고서·고문서(15)
- 3 第三統統首김昌彦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64년_외남면(外南面) 1864년 외남면(外南面) 第八雲巖里 3 第三統統首김昌彦 第一戶 幼學김昌彦年伍拾貳癸酉本慶州父學生在聲祖學生九宇曾祖學生尙 仁外祖學生김德九本김海妻張氏年伍拾壹甲戌本仁同父學生濟亨祖學生 順正曾祖學生榮潭外祖學生李春默本慶州(子子)進學年...연도_면이름1864년_외남면(外南面) | 면이름외남면(外南面) | 마을이름第八雲巖里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013 B07301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5年 8月 6日_006 ○吏批, 以金相元爲同副承旨, 李國休爲弼善, 安時相爲理山郡守, 兪德基爲泗川縣監, 金鼎運爲槐山郡守, 金昌彦爲平丘察訪, 宋必恒爲司僕正, 任守幹爲東萊府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內需司 文績類_제2책 637.乾隆三十六年-辛卯-十一月十三日金萬儉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儉 外叔 金昌彦 異姓五寸 方聖德 전라 장흥 부상 月落坪 전라도 장흥(군/현) 부상(면/방) 月落坪 토지 1 珍자료명內需司 文績類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黃海道 庄土文績_제5책 : 黃海道鳳山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28. 雍正十二年-甲寅-十一月李繼江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私奴二卜 私奴 李繼江 李繼江 金昌彦 崔千㱓 경기 양주 진관 경기도 양주(군/현) 진관(면/방) 토지 1 ...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內需司]庄土文績_제15책 : 庄土關係圖書文績類 69. 乾隆伍拾七年-壬子-十二月十四日幼學李漢乾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792년(정조 16) 12월 24일 李勝談 幼學 답주 李勝談 幼學 답주 李漢乾 幼學 李漢乾 幼學 李相春 金昌彦 전라 장흥 고읍 上道 項坪員 전라도 장흥(군/현) 고...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기타자료(1)
- 김창언;金昌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1284 남한 제주 제주농업학교 2-46 회원명부(1930년 3월 현재) 1930―03 2-05면 김창언;金昌彦 제주면 일도리 제5회 1915년 3월18일학교소재지역제주 | 학교명제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김창언 / 金昌彦 [역사/근대사]
1899년(광무 3)∼1930년 7월 21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거주지는 함경남도 단천군(端川郡) 하다면(何多面)이다. 함경남도 단천군 하다면‧복귀면‧수하면‧이중면 지역 주민들은 평소 땔나무를 팔고 숯을 만들어 팔아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일본 치하의
-
이원호 / 李元鎬 [종교·철학/유학]
1897년(광무 1)∼1930년 7월 21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단천군수와 면담하면서 구속자 석방을 요구하였으나 일본 경찰에 의해 쫓겨나고 말았다. 이 일로 김계환·김득수·김을룡·김응철·김창언·심정붕·안경룡·안길현·안병환·유경을·이선식·장종형·최두필·최종협
-
최두필 / 崔斗弼 [역사/근대사]
이 군중을 향해 쏜 총에 맞아서 김계환(金啓煥)·김득수(金得洙)·김을룡(金乙龍)·김응철(金應喆)·김창언(金昌彦)·심정붕(沈正鵬)·안경룡(安京龍)·안길현(安吉炫)·안병환(安丙煥)·유경을(劉京乙)·이선식(李善植)·이원호(李元鎬)·장종형(張宗亨)·최종협(崔鐘協)·허병률(許丙
-
최종협 / 崔宗協 [역사/근대사]
석방하라는 요구를 하던 중 일본 경찰이 군중을 향해 쏜 총에 맞아서 김계환(金啓煥)·김득수(金得洙)·김을룡(金乙龍)·김응철(金應喆)·김창언(金昌彦)·심정붕(沈正鵬)·안경룡(安京龍)·안길현(安吉炫)·안병환(安丙煥)·유경을(劉京乙)·이선식(李善植)·이원호(李元鎬)·장종형(
-
허병률 / 許丙律 [역사/근대사]
이 군중을 향해 쏜 총에 맞아서 김계환(金啓煥)·김득수(金得洙)·김을룡(金乙龍)·김응철(金應喆)·김창언(金昌彦)·심정붕(沈正鵬)·안경룡(安京龍)·안길현(安吉炫)·안병환(安丙煥)·유경을(劉京乙)·이선식(李善植)·이원호(李元鎬)·장종형(張宗亨)·최두필(崔斗弼)·최종협(崔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