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9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6)
사전(207)
- 조석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군자감정 곡(谷)의 딸이다. [내용] 어려서 조정호(趙廷虎) 부자에게 배우고, 김집(金集)의 문하에 출입하였다. 어버이가 병이 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드리며 간호에 극진하였다. 1633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병자호란 뒤에 벼슬할 뜻이 없...이칭별칭 형지(亨之)
- 조윤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性)이고, 아버지는 인조의 국구(國舅) 창원(昌遠)이며, 어머니는 대사간 최철견(崔鐵堅)의 딸이다. [내용] 김집(金集)의 문인으로 1642년(인조 20)에 생원ㆍ진사 양시에 합격하였다. 이듬해 세마(洗馬)에 기용된 뒤 빙고별검(氷庫別檢)ㆍ한성참군(漢城參...이칭별칭 백승(伯承)| 용은(?隱)
- 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574(선조 7)-1656(효종 7). 조선 중기의 유학자. 충남 논산시 연산읍에 있는 김집을 배향한 돈암서원이다.이칭별칭 사강(士剛)| 신독재(愼獨齋)| 문경(文敬)
- 金執義孟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191 金執義孟 인물 夢龍馬, 文行名世 駿孫, 驥孫, 馹孫 虛白亭集 D_11_09_01 대동운부군옥 11권 9장 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9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윤문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06(선조 39)∼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여망(汝望), 호는 석호(石湖). 아버지는 대사간 황(煌)이며, 어머니는 창녕성씨(昌寧成氏)로 혼(渾)의 딸이다. 김집(金集...이칭별칭 여망(汝望)| 석호(石湖)| 충경(忠敬)
고서·고문서(153)
- 을미년 김집(金集)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논산 노성 파평윤씨 명재 종가
- 을미년 김집(金集)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논산 노성 파평윤씨 명재 종가
- 김집(金㙫)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병술년 김집(金集)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논산 노성 파평윤씨 명재 종가
- 1586년 김집(金潗) 유서(遺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기초학문(1)
- 金長生‧金集의 禮學과 元宗追崇論爭의 철학사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봉규, 게재일 : 199808098 이봉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사학회 1998 金長生‧金集의 禮學과 元宗追崇論爭의 철학사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유형논문 | 게재일1998
신문·잡지(10)
- 恤金集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년 하츄슈로 호남 각지방이 혹화를 당야 여러동포가 유리환산을 민망이여겨 농포동거졍우씨등이 발긔고 의휼금을 모집즁이라더라게재일1906년 11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刺殺淫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덕원부 북면 사동 김헌의 쳐 음야 그 본부와 불화일로 그 본부김가가 거월삼일에 칼로 그 쳐를 질너당장치폐얏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시사_1968_5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설전 15년의 판문점 김집 62 인도네시아 스하르토체제의 1년간 67 본지 여론조사 추첨 발표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8
- 신문평론_1971_3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김집, 송창기 74 신문광고 방송CM의 윤리성문제 최재현 80 중공관계 보도의 향방-8대지보도 분석 편집부 86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 은하수_1985_04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가정살림을 두고 김집 63 자금성안에 살던 력대의 황제들 64 총통자리에서 물러난 카트 64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5
기타자료(5)
- 김집교;金集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0169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9면 김집교;金集敎 제12회 1946년 3월 2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국교육의 맥5) 김장생, 김집 부자와 둔암서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교육의 맥5) 김장생, 김집 부자와 둔암서원 (한국교육의 맥5) 김장생, 김집 부자와 둔암서원 (한국교육의 맥5) 金長生, 金集 부자와 遯癌書院 교육 문헌 교육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금장태 | 사료철명교육월보
- 26. 공무원및사립학교교직원의료보험법중개정법률안(박성태 김집의원외 24인 발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26. 공무원및사립학교교직원의료보험법중개정법률안(박성태 김집의원외 24인 발의) 26. 공무원및사립학교교직원의료보험법중개정법률안(박성태 김집의원외 24인 발의) 교육 문헌 현대 교...범주1교육법령 | 형식국회회의록 | 한글저자12대국회본회의 | 사료철명국회회의록
- 21. 공무원및사립학교교직원의료보험법중개정법률안(박성태 김집의원외 24인 발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21. 공무원및사립학교교직원의료보험법중개정법률안(박성태 김집의원외 24인 발의) 21. 공무원및사립학교교직원의료보험법중개정법률안(박성태 김집의원외 24인 발의) 교육 문헌 현대 교...범주1교육법령 | 형식국회회의록 | 한글저자12대법제사법위원회 | 사료철명국회회의록
- (논단) 만방에 떨친 배달 겨례의 저력 -위대한 국민 장하고 대견한 선수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 문헌 교육행정 교육이념 잡지 김집 金潗 1988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집 | 사료철명문교행정
주제어사전(23)
-
김집 / 金集 [종교·철학/유학]
1574-1656. 조선 효종때의 예학자. 성리학자. 김장생의 아들이다. 아버지와 송익필에게서 예학을 전수받았다.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어 효종과 함께 북벌을 계획하였다. 부친 김장생과 함께 조선예학의 기본적 체계를 완비하였다. 저서로는 <신독재유고>, 편서로는
-
문정서원 / 文井書院 [교육/교육]
황해도 봉산군(현재의 황해북도 황주군) 토성면 무정리에 있었던 서원. 1681년(숙종 7)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김집(金集)·강석기(姜碩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 위패를 모셨다. 1703년(숙종 29) ‘문정(文井)’이라고
-
부산서원 / 浮山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진변리에 있는 서원. 1719년(숙종 4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집(金集)과 이경여(李敬輿)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같은해에 ‘부산(浮山)’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
송광식 / 宋光栻 [정치·법제/법제·행정]
1625년(인조 3)∼1664년(현종 5). 본관은 은진. 증조부는 송응서이고, 조부는 군수 송이창이며, 부친 동춘당 송준길과 모친 우복 정경세의 딸 진주정씨 사이에 2남 3녀 중 장남. 14세에 신독재 김집(金集) 문하에 들어가 수업하였다. 30세 때인 1654년
-
월봉서원 / 月峯書院 [교육/교육]
이전하고, 1654년(효종 5)에 ‘월봉(月峯)’이라고 사액되었다. 1671년에 송시열(宋時烈) 등의 건의로 인근의 덕산사(德山祠)에 모셔져 있던 박상(朴祥)과 박순(朴淳)을 이향(移享)하였으며, 1673년에 김장생(金長生)과 김집(金集)을 추가배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