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진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5)
사전(13)
- 황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진하(金鎭河)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2년 김진하의 손자 김세상(金世相)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유도헌(柳道獻)의 서문, 권말에 권상규(權相圭)‧김사진(金思鎭)‧김세상의 발문이 있다. [서지...
- 김진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역관. [내용] 청학(淸學)과 말에 능통하여 역관이 되었다. 1757년(영조 33)에 유창한 청나라 말로 그 곳의 사신을 잘 접대하여 왕으로부터 후한 상을 받았다. 어린이들에게 청나라 말을 가르치기 위하여...
- 김진하(金振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1582 인물 김진하(金振夏) 김진하 金振夏 1643 ? 조선 중기의 역관.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백흥(伯興). 1663년 식년시에 합격하였다. 1675년 10월 쓰시마도주가 쓰시마로 돌아왔을 때 한시열(韓時說...유형분류인물
- 한시열(韓時說)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참여했으며, 이 때 한양의 서신을 정사 조형(趙珩)에게 전달했다. 1675년 쓰시마도주가 쓰시마로 돌아왔을 때 김진하(金振夏)와 함께 쓰시마로 건너가 도주 소 요시자네(宗義眞)를 문위하였다. 『增正交隣志』; 趙珩, 『扶桑日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유형분류인물
- 무량천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40년 김진하(金振河)가 창시한 종교. [내용] 교조 김진하는 충청북도 청원군 가덕면 국전리에서 탄생, 16세경부터 구도를 위하여 방황하다가 이상필(李尙弼)이 창도한 금강도(金剛道)에 드나들기도 하였다. 1940년 천지신명에게 기도중...
고서·고문서(57)
- 1855년 김진하(金鎭廈)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852년 김진하(金鎭廈)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843년 김진하(金鎭廈)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861년 김진하(金鎭廈)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846년 김진하(金鎭廈)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신문·잡지(7)
- 즁츄원의관 김희쥬 김셩환 안호션 홍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긔초위원 임에 졍삼품 김진하金鎭夏 김일묵金一默명고 평양부 소학교 교원 최뎡하崔鼎夏 인쳔항 외국 어학교 부교관을 임고 슈원부 교원 김규원金奎元 회양군 교원을 임고 젼교원 엄관셥嚴寬燮 슈원부 교원을 임다(以上六月十四日) 궁부 특진관 윤용션尹容善 의졍부 의졍을...게재일1901년 6월 18일 | 기사분류관보
- 함경북도 변계춍슌 김치우에 양죵현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초위원 김진하에 륙품뎡명섭임다以上八月廿日 인쳔항쥬 젼병에 황우뎡임고 길쥬부쥬 리한모 리용하에 윤희션 젼학필 임다以上八月十八日 평북△부쥬 김긔형에 노안용임다 以上八月△九日 즁츄원의관 리용직 조용션 김샹범은 갈니고 뎡삼품 류△연 죵일품 하셩일 뎡삼품...게재일1902년 8월 27일 | 기사분류관보
- 무협지_1972_07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전망 김진하 6 일.중공수교 이후 국제정치 및 경제의 방향-중공을 중심으로 김광원 11 일.중공수교 이후 국제정치 및 경제의 방향-일본을 중심으...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2
- 무협지_1971_05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마음 송인상 6 소액수출의 실효를 위하여 김진하 8 수출절차간소화위원회에 기대함 백대열 11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 실업과생활_1971_09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단체소식-전경련, 무협 정기총회 방청 42 그 사람은 어디에-전충식, 김봉기, 이혁기 42 인물 그 주변-김진하, 이치...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기타자료(8)
- 김진하;金鎭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9504 일본 大分 大分高等商業學校 大分高等商業學校一覽 昭和12年~昭和13年(제16년) 1937―10―15 115면 김진하;金鎭河 조선학교소재지역大分 | 학교명大分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진하;金鎭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9514 일본 大分 大分高等商業學校 大分高等商業學校一覽 昭和13年~昭和14年(제17년) 1938―11―10 114면 김진하;金鎭河 조선학교소재지역大分 | 학교명大分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진하;金鎭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9526 일본 大分 大分高等商業學校 大分高等商業學校一覽 昭和14年~昭和15年(제18년) 1939―10―30 112면 김진하;金鎭河 조선학교소재지역大分 | 학교명大分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진하;金鎭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9552 일본 大分 大分高等商業學校 大分高等商業學校一覽 昭和15年~昭和16年(제19년) 1940―11―25 164면 김진하;金鎭河 조선 제16회 1940년학교소재지역大分 | 학교명大分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진하;金鎭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2071 남한 경북 대구공립상업학교 2-17 대구공립상업학교 졸업대장 1928(제1회)~1945(제19회) n.r. 28면 - 김진하;金鎭河 경북 9 1936년 3월 7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김진하 / 金鎭河 [종교·철학/유학]
1786년(정조 10)∼1865년(고종 2).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세진, 조부 김구환이다. 부친 김기중과 모친 김구련의 딸 의성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805년(순조 5) 증광시 생원 3등 48위로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841년(헌종 7) 정시 병과 6위로
-
한청문감 / 漢淸文鑑 [언론·출판/출판]
1779년(정조 3)경에 한학검찰관 이담(李湛)과 청학검찰관 김진하(金振夏) 등이 펴낸 만주어 겸 한어사전. 목판본. 15권의 유별(類別) 사전으로 청나라의 ≪어제증정청문감(御製增訂淸文鑑)≫(1771)을 대본으로 하여 편찬되었다. ≪증정청문감≫은 본문 32권, 총강
-
소아론 / 小兒論 [언어/언어/문자]
≪팔세아≫와 함께 그 뒤 1777년(정조 1)에 검찰관 김진하(金振夏)와 서사관(書寫官) 장재성(張再成)에 의하여 사역원(司譯院)에서 다시 고쳐진 후 간행되었다. 이 책은 현재 규장각도서에 2책, 대영도서관(The British Library)과 고마자와대학도서관(駒澤
-
삼역총해 / 三譯總解 [언어/언어/문자]
1774년(영조 50)에 펴낸 만주어(滿洲語) 독본 교재. 초간본은 전하지 않고 『중간삼역총해』만 볼 수 있다. 『중간삼역총해』는 검찰관 김진하(金振夏)·고사언(高師彦)이 초간본을 수정하고 서사관(書寫官) 장재성(張再成)이 썼다. 만문(滿文) 『삼국지』 가운데 10회
-
팔세아 / 八歲兒 [언어/언어/문자]
조선시대에 청학역관(淸學譯官)을 양성하기 위하여 편찬한 만주어 교재. 1책. 목판본. 초간본은 ≪삼역총해 三譯總解≫·≪청어노걸대 淸語老乞大≫·≪소아론 小兒論≫과 함께 같은 때에 만들어졌다. ≪팔세아≫는 ≪소아론≫과 함께 1777년(정조 1)에 검찰관 김진하(金振夏)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