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진” 에 대한 검색결과 7,1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050)

사전(871)

  • 남곡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58년 11세손 형식(瀅植)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승학(金承學)과 형식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미상. 사회주의운동가. [내용] 1920년 3월 블라디보스톡에서 개최된 한인사회당 대회에 참가하여 의사회장을 맡았다. 10월 치타에서 러시아공산당 극동국 한인부 설립에 참여 집행위원이 되었다. 19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126(인종 4). 고려 중기의 문신. [내용] 명주(溟州)출신으로 과거에 급제한 뒤 영광군의 수령이 되어 선정을 베풀었다. 안무사(安撫使) 최위(崔渭)가 충성하고 청백한 것을 자부하여 사람을 천거하는 일이 없었으나 오직...
    이칭별칭 열직(烈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관. [내용] 1360년(공민왕 9) 홍건적이 서경에 침입해오자 의주와 정주(靜州) 등 인접한 현의 흩어진 백성들을 불러모아 적 150명을 죽이고 그 군량미를 빼앗아 의주를 지킨 공으로 형부상서에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초상 경북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영정. 108×140㎝. 비단에 설채. 보물 제1221호.
    이칭별칭 영중(瑩仲)| 청계(靑溪)

단행본(2)

  • 한말사대가 평전 4책 [(1)추금 강위 평전 (2)영재 이건창 평전 (3)매천 황현 평전 (4)창강 김택영 평전] [한말 사대가 평전 총서 | 성균관대학교]
    저자 : (1)김진균 (2)이은영 (3)이은주 (4)한영규 ... | 출판사 : 소명출판 3책, 학자원 1책 | 출판일 : 20240210
    한말사대가는 강위(姜瑋, 1820~1884)와 김택영(金澤榮, 1850~1927), 이건창(李建昌, 1852~1898), 황현(黃玹, 1855~1910) 네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들은 한문학이 공식 문장으로 활용되던 마지막 시기에 하나의 문학 그룹을 이루...
  • 역주 헌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56. 제헌침지말 57.《각종 문서 규식》 58.《김명연(金命淵) 발문(跋文)》 59.《김학성(金學性) 발문(跋文)》 60.《숙(肅) 발문(跋文)》

논문(1)

고서·고문서(3,770)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성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안산시(鞍山市) 철동구(铁东区) 남중화로 186동 6-6 4 3 성, 하나, 대지...
    대표표제어김진성 | 성씨
  • 32594 B032594 圭 인물 輿地圖書 江都府誌 江華 人物 登啓下該曹入於第二等而癸酉覆 啓未及參)金聖彬(與其妻徐氏俱有孝行其父年踰八十得風痺疾全身不收兩目皆毦喉乾齒脫飮啖硬澁聖彬夫妻一心將護夜不解衣旣嘗其糞尺飮以乳有兒呱呱出付他人終致餒乳而徑夭因鄕人陳狀同入於庚午狀 啓癸...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옥(玉)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옥(玉)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구술자료(159)

  •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국 역사 인물 현대 황해도 황주 구술자료 - 황해도 황주에서 5남 2녀중 3남으로
    구술자김진국 | 직업사업가 | 지역황해도
  • 합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의 이야기를 끝낸 제보자가 조사 취지를 모르고 있다면서 묻길래, 조사 취지 <page id="827"></page> 를 설명해 주었더니, 계속해서 제보자는 조사자 일행의 신분을 물었다. 조사자들을 소개를 했더니, 박종섭에게 자기 아들이 거창고등학교를 나왔다기...
    조사일시1980-12-0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 제보자성판원
  • 이진사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08-11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정촌면 | 제보자박영만
  • 만고효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설화 1이 끝난 후, 조사자 일행의 방문 목적을 재인식시키면서, 조사자가 충효 이야기를 꺼내어 놓자 옆에서 이 이야기를 시작한 것이다. 이야기가 끝나고 나서도 효험이 있느니 없느니 제가끔 의견들을 말하며 떠들썩했다. 이 속신은 이 곳에서 꽤 널리 전승되고 있는 듯...
    조사일시1980-08-08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사봉면 | 제보자정종식
  • 사와 어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바보 이야기를 듣고 싶다고 하자, “나는 많이 했인께 교수님 이야기도 들어 봅시다.”고 했다. 조사자가 바로 사위 이야기를 짤막하게 들려 주었더니, “이놈도 바보는 바본디 교수님 이야기와는 다르구만….”하고는 이 이야기를 했다.*
    조사일시1983-07-28 | 조사장소전라남도 고흥군 풍양면 | 제보자최상근

기초학문(318)

  • 수의 『연경잡영』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황재문, 게재일 : 1996
    07245 황재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시학회 1996 수의 『연경잡영』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
    유형논문 | 게재일1996
  • 구 야담의 형성과 문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동월, 게재일 : 2012
    36000 이동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2012 구 야담의 형성과 문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근대기 대구의 문인화가 긍석 만(肯石 萬, 1876~1933) 기명절지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인숙, 게재일 : 2012
    43207 이인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소 2012 근대기 대구의 문인화가 긍석 만(肯石 萬, 1876~1933) 기명절지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김천흥과 향의 〈춘앵전〉 춤사위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은영, 게재일 : 2012
    54084 박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무용학회 2012 김천흥과 향의 〈춘앵전〉 춤사위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 평의 로고타입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정숙, 게재일 : 2006
    29388 유정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기초조형학회 2006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 평의 로고타입 디자인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1,151)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甲(甲) 서울 甲 永樂町 2-32 가정용품 - 칠기(漆器) 제조 31.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鎭甲(金鎭甲) | 지역서울 | 품목가정용품 | 영업종목칠기(漆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完(完) 서울 完 南米倉町市黃西8 오락구및운동구 - 완구 소매 20.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鎭完(金鎭完) | 지역서울 | 품목오락구및운동구 | 영업종목완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卿(卿) 서울 卿 西大門町 1-129 기타 - 혼례 의상 및 용구 대부 1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眞卿(金眞卿)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혼례 의상 및 용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煥(煥) 서울 煥 長沙町 207-1 금융 - 금융 - 82.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鎭煥(金鎭煥)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昌(昌) 서울 昌 光熙町 222 음료품 - 조선주(朝鮮酒) 양조 350.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振昌(金振昌) | 지역서울 | 품목음료품 | 영업종목조선주(朝鮮酒)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기타자료(778)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6017 일본 東京 일본대학 일본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 회원명부(1928년) 1929―04―05 101면 2. 재학생씨명;10) 사회과 ; 황해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269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표;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389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안;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61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20면 횡;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791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7면 익;翼 제5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8)

주제어사전(91)

  • / [종교·철학/유학]

    1500(연산군 6)∼1580(선조 13). 조선 중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진사 만근, 아버지는 교위 예범, 어머니는 군수 신명창의 딸이다. 안동에서 살았다.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고 뜻이 높아 기묘명유들을 찾아 가르침을 배워 견문을 넓히고 학업에 정진하였다. 안동의

  • 걸 / [예술·체육/무용]

    . 후학들을 양성하여 한국무용계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1959년 걸 무용연구소를 개설하였다. 1961년 설립된 한국무용협회의 초대 이사로 활동하다가 이후 부이사장, 이사장, 고문을 두루 맡았다. 1974년부터 1992년까지는 한성대학교 교수로도 재직하였다.

  • 규 /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반 증손, 할아버지는 증 영의정 익겸, 아버지는 영돈녕부사 만기, 어머니는 한유량의 딸이다. 누이 동생이 숙종비 인경왕후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86년 정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대사성, 예조판

  • 동 / [종교·철학/유학]

    1727년(영조 3)∼1800년(정조 24). 조선 후기 유학자·문장가. 증조는 김성구, 조부는 김여당, 부친은 김경린이다. 생부 김경온과 생모 이수겸의 딸 진성이씨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만영의 딸 연안이씨이다. 이수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동암 유장원·

  • 옥 /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고조부는 장생,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익희, 아버지는 승지 만균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음보로 기용된 뒤에 1714년(숙종 40)에 청주목사가 되었는데, 읍민을 잘 돌보아 조정으로부터 포상을 받았다. 1718년에는 수원부사가 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