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종후” 에 대한 검색결과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본암집(本庵集)』 필적 1721(경종 1)-1780(정조 4). 조선 후기의 문신.글씨는 ≪근묵≫에 있다.
    이칭별칭 백고(伯高)| 본암(本庵), 진재(眞齋)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메카니즘정신에 두고, 철학과 과학 또는 그밖의 메카니즘화한 모든 것의 종합적인 근원 속에서 그 극복을 모색하려는 것으로서,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다. 그의 비평태도는 불교적 입장에서 유교‧도교 등 3교를 조화하는 사상적 특색을 견지했다. 생...
  • 신좌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99(정조 23)∼1877(고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좌인(左人), 호는 담인(澹人). 재청(再請)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권(持權)이고,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헌록(憲祿)이며, 어머니는 안동...
    이칭별칭 좌인(左人)| 담인(澹人)
  • 대실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만나서 이야기함. 寧守事都留 二十六對悉, (), 23-239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전멱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몇 군데를 거쳐서 구함. 兒藥一種 累督尙未得 如果有轉覓之路 雖先試半製 固無妨矣 幸爲圖之, (), 23-239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9)

  • 黃海道 庄土文績_제63책 : 黃海道長連郡蓴澤坊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125. 乾隆三十年-乙酉-五月初十日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6646 奎 19303 黃海道 庄土文績 제63책 : 黃海道長連郡蓴澤坊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63-125 125. 乾隆三十年-乙酉-五月初十日處明文 토지매매문기 1 34.9x51.4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34...
    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黃海道 庄土文績_제63책 : 黃海道長連郡蓴澤坊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書文績類 108. 乾隆五十年-乙巳-二月十三日元贊柱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0.7x56.2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우수장 1785년(정조 9) 2월 13일 故妻智氏 답주 故妻智氏 답주 元贊柱 元贊柱 崔茂祥 황해 장연 박택방 四里 內洞坪 황해도 장연(군/현) 박택방(면/...
    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0 第十統統首李濟丹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月前逃亡等丁卯戶 口相准 第二戶 幼學李殷栢年肆拾陸乙酉本慶州父學生完祐祖學生文極曾祖學生 逢春外祖學生朴鳳五本慶州妻朴氏年肆拾辛卯本義興父學生魯仮祖學 生必燁曾祖學生思慶外祖學生本김海率子童蒙元達年拾捌癸丑 婢順丹前逃亡等丁卯戶口相准 第三戶 閑良김喜得年肆拾肆丁亥本扶安父夢致祖大興...
    연도_면이름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八路東里
  • 送(愼)君(吉遠)【(喜男)】按節(關東)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료가 수록되었고, 이후 판본에는 이를 기준으로 그대로 옮겼다. * 年代考: 의 문집 『本庵集』에 수록된 愼希男의 墓碣銘에 의하면, 丙子年인 1576년에 江原道觀察使로 간 것이 확인된다(『本庵集』 卷7, 墓碣, 「江原道觀察使愼公墓碣銘【幷序】」(『韓國文集叢刊』 a_2...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4 第四統統首김在演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史年拾參壬午女召史年 拾乙酉等辛卯戶口相准 第四戶 幼學鰥夫年陸拾柒戊子本김海父學生龍憲祖老職嘉善大夫聲一曾祖架山鎭 別將哲明外祖學生朴德載本密陽率子幼學思健年參拾伍庚申婦李氏年參拾玖丙辰故 婢興愛一所生奴興石乙年丙子等辛卯戶口相准 第五新戶 貢生朴魯憲年伍拾肆辛丑本義興父將仕郞弼濂祖...
    연도_면이름183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一下西門里

신문·잡지(5)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1∼1780). 신임사화 때 장헌세자를 궁지에 몰아넣은 모의에 가담하였다. 다시 장헌세자의 장인인 홍봉한을 공격하였다. 세도가 바뀌자 원빈의 오빠인 홍국영을 따랐다. 홍국영이 물러나자 그를 비난하였다. 저서로는《본암집》이 있다.

  • 청풍세고 / 淸風世稿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 편, 목판본, 간사년미상, 4권 2책. 청풍김씨 김극형(金克亨), 김징(金澄), 김구(金構) 3대의 문집이다.

  • 가례집고 / 家禮集考 [사회/가족]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가 엮은 책. 8권 8책. 규장각 도서. 『가례』를 본문으로 삼고, 삼례(三禮: 儀禮·周禮·禮記)와 그 밖의 경전(經傳), 그리고 유학 및 그 이외의 여러 사상계열의 고전과 역사관계의 저술에서는 물론, 패림소설류(稗林小說類)에서까

  • 황고집 / 黃皐集 [종교·철학/유학]

    , 발 6편, 기 5편, 설 4편, 상량문 5편, 제문 13편, 권6에 애사 1편, 고축문 5편, 잡저 6편, 권7에 묘갈명 2편, 묘표 2편, 행장 2편, 권8에 부록으로 와 홍직필이 쓴 행장 2편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