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종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6)
사전(407)
- 김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딸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내용] 1468년(세조 14) 생원시에 합격하고, 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79년에는 좌랑으로서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여 문명을 떨쳤다. 사람됨이 침착하고 말...이칭별칭 군량(君諒)| 문정(文貞)
- 김종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일으켰다. 그 결과 많은 사림들이 죽거나 귀양을 가게 되었고, 김종직도 생전에 써둔 「조의제문」과 관련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하였다. [학문세계와 저서]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은 아버지로부터 수학하여 후일 사림의 조종이...이칭별칭 계온(季?)| 점필재(?畢齋)| 문충(文忠)
- 김종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삼영정실(三楹靜室)의 사선생(四先生) 중 한 사람이다. 금장(襟章)과 자영으로 장식하고, 풍체도 빼어나다. 금생에게 일상에서 도를 찾을 것을 권한다. 정시중[정몽주]이 찾아오니 제자의 예로 반기며 상좌에 모시고, 정시중과 함께 사로(四老)와 두 처사를 초청한다. 서쪽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종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남효온, 김일손 등과 뒤늦게 연회에 참석한다. [조의제문]을보고 성삼문이 두 임금 섬긴 것을 비난하자 참담한 기색을 보인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종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성삼문을 충신이라 여긴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1)
- 고문서집성 109 - 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종가 고문서 [한국고문서 조사, 연구 및 보존처리 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4.11.28분야생활 | 유형단행본범례 원색도판 해제 : 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종가 고문서의 현황과 특징 목록 : 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종가 고문서 1. 敎令類 2. 疏‧箚‧啓‧狀類
고서·고문서(114)
- 1470년 김종직(金宗直)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70년(성종 1) 6월에 김종직이 조산대부행예문관수찬지제교겸경연검토관춘추관기사관승문원검교에 봉해지는 문서이다. 선산 김씨 문중에 내려오는 고문서는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총 113점이 있다. 그 중 교지는 시기를 통틀어 모두 28점이다. 모두 김종직과 관련된 것...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후손가
- 1471년 김종직(金宗直)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71년(성종 2) 2월에 김종직이 진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에 봉해지는 문서이다. 선산 김씨 문중에 내려오는 고문서는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총 113점이 있다. 그 중 교지는 시기를 통틀어 모두 28점이다. 모두 김종직과 관련된 것이며, 그의 생전과 관련된 것은 2...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후손가
- 1471년 김종직(金宗直)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71년(성종 2) 9월에 김종직이 봉렬대부행함양군수에 봉해지는 문서이다. 선산 김씨 문중에 내려오는 고문서는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총 113점이 있다. 그 중 교지는 시기를 통틀어 모두 28점이다. 모두 김종직과 관련된 것이며, 그의 생전과 관련된 것은 24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후손가
- 1471년 김종직(金宗直)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71년(성종 2) 10월에 김종직이 진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에 봉해지는 문서이다. 선산 김씨 문중에 내려오는 고문서는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총 113점이 있다. 그 중 교지는 시기를 통틀어 모두 28점이다. 모두 김종직과 관련된 것이며, 그의 생전과 관련된 것은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후손가
- 1473년 김종직(金宗直)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73년(성종 4) 11월에 김종직이 중훈대부행함양군수 에 봉해지는 문서이다. 선산 김씨 문중에 내려오는 고문서는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총 113점이 있다. 그 중 교지는 시기를 통틀어 모두 28점이다. 모두 김종직과 관련된 것이며, 그의 생전과 관련된 것은 2...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후손가
구술자료(5)
- 점필제 김종직(?畢齊 金宗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47]에 이어서 이야기되었다. 계속 밀양군 부북면(府北面) 방면의 이야기가 화제에 올랐다. 이것은 이 고장 사람들이 존경하는 점필제 선생님에 관한 구술인데, 듣고 보니 설화성이 별로 없었다. *조사일시1981-01-22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무안면 | 제보자이임원
- 점필제 김종직(?畢齊 金宗直) 일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복순씨가 짐승의 말 알아 듣는 새색씨 이야기를 하는 것을 듣고 생각이 나서, 점필재 선생도 까마귀 소리를 알아 들었다고 하며 이 설화를 구술하였다. 어릴때의 일화에서 시작하여 태몽을 이어서 이야기하고, 다시 서두의 일화를 구술하여 끝을 맺았다. 제보자는 점필재 ...조사일시1981-07-27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 제보자권연조
- 김종직의 유언과 하신골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음관의 지명 유래’에 이어 계속 이야기한 것이다. 조사자가 전설이 아니라도 좋으니 아무 이야기라도 들려 달라고 하자, 전설이 하나 더 있다고 하며 이야기한 것이다. 구술 태도가 진지하고 상대방에게 명확하게 전달하려 애썼다. 표준 말을 쓰는 것은 습관적인 것 같...조사일시1981-07-26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삼랑진읍 | 제보자류영수
- 유자광이 쓴 학사루의 현판을 뗀 김종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유자광에 얽힌 다른 이야기가 없느냐는 조사자의 물음에 제보자는 앞의 유자광 이야기에 이어 다음 이야기를 책을 읽듯이 차근차근 구술했다.조사일시2009.02.08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금반리 금반마을 | 제보자김진철(남,57세)
- 무오사화의 동기가 된 김종직의 행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유자광 이야기가 끝나고 김종직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겠다며 이야기를 시작했다.조사일시2009.02.09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 개평마을 | 제보자정순오(남,78세)
기초학문(1)
- 불효 행위 처벌에 대한 김종직의 政見과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65834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9 불효 행위 처벌에 대한 김종직의 政見과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2)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일화를 소개한 글 박종원(朴元宗), 성희안(成希顔), 신윤무(辛允武), 유순정(柳順汀), 박문영(朴永文), 홍경주(洪景舟), 김종직(金宗直), 허종(許琮), 진성대군(晉城大君), 이약동(李約東), 투갑연(投甲淵), 윤효손(尹孝孫), 박원형(朴元亨), 어유소(魚有沼)...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투사신문_1948_1205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운데 정오 12시부터 환송식이 거행되었다. 환송하는 군중들은 향기로운 꽃다발과 기념 선물을 쏘련 군인들의 가슴에 안겨주었다. 폭풍같이 일어나는 박수와 환호는 요란하였다. 이윽고 강동군 인민위원장 김종직씨로부터 아래와 같은 환송사가 있었다. 『조선 민족을 가혹한 일제 통...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205_02 | 책임주필한효
멀티미디어(55)
- 김종직 배향 서원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X 없음 시계열 통합 사단법인 한국서원연합회;민족문화대백과사전;두산백과;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현지 안내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시계열 통합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기타자료(1)
- (한국교육의 맥24) 점필재 김종직과 예림서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교육의 맥24) 점필재 김종직과 예림서원 (한국교육의 맥24) 점필재 김종직과 예림서원 (한국교육의 맥24) 佔畢齋 金宗直과 禮林書院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완기,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51)
-
김종직 / 金宗直 [종교·철학/유학]
1431-1492. 조선 성종 때의 성리학자. 김숙자의 아들로서 길재의 학문을 계승하였다. 영남학파의 종조로서 성종 당시 자신의 문인들을 관직에 많이 등용시켰다. 기성세력인 훈구파와 대립하였다. 무오사화로 부관참시를 당했다. 효제충신과 인정의 실시를 이상으로 하였다.
-
김종직및김종직처조씨고신 / 金宗直─金宗直妻曺氏告身 [역사/조선시대사]
1481년 문신·학자 김종직에게 도승지를 제수한 교지. 교첩. 조선시대에는 문무관 4품 이상의 고신(사령장)은 교지를 내렸고, 5품 이하의 고신은 교첩을 내렸다. 문무품관(文武品官)의 부인은 남편의 품계에 따라 직첩을 주었다. 부인의 직첩은 당상관 부인에게는 교지를
-
두류기행록 / 頭流記行錄 [문학/한문학]
1472년(성종 3)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지리산 기행문. 1472년(성종 3)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지리산 기행문. 작자의 문집인 『점필재집(佔畢齋集)』 권2에 수록되어 있다. 원제(原題)는 ‘유두류록(遊頭流錄)’이다. 『동문선』의 속편 제21권에는 ‘두류기행록’
-
정희왕후 애책문 / 哀冊文 [역사/조선시대사]
애책문. 1483년(성종 14)에 대왕대비의 상례를 마치고 애도하는 내용의 책문으로 점필재 김종직이 찬술하였다. 원문은《성종실록》14년(1483) 6월 12일(계유) 조와 김종직의《점필재집》권1에 보인다.
-
백연서원 / 栢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백연리에 있었던 서원. 1670년(현종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최치원(崔致遠)과 김종직(金宗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9년(고종 6) 대원군의 서원철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