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종정” 에 대한 검색결과 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2(경종 2)∼1787(정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백강(伯剛), 호는 운계(雲溪). 아버지는 대사간 치후(致垕)이며, 어머니는 완산이씨(完山李氏)로 군수 규수(奎壽)의 딸이다. ...
    이칭별칭 백강(伯剛)| 운계(雲溪)| 청헌(淸獻)
  • 매고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강주완(姜柱完)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773년(영조 49)에 윤홍렬ㆍ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윤홍렬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46수...
  • 감은재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85수, 서(書) 9편, 서(序) 3편, 기 2편, 제문 3편, 잡저 1편, 권2는 부록으로 가장‧행장‧묘갈명‧묘지명 각 1편, 향유청포장(鄕儒請褒狀)‧도유청포장(道儒請褒狀)‧유소(儒疏)‧본관보장(本官報狀)‧감사이은장문(監司李溵狀聞)‧어사복계(御史覆啓)...
  • 운계만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시문집. [서지적 사항] 32권 15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경위는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415수, 권3에 소차(疏箚) 27편, 권4에...
  • 압독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김유신‧김인문(金仁問)‧ 등이 보이며, 또한 원효(元曉)가 이곳의 불지촌(佛地村) 율곡(栗谷)에서 출생하였다. 신라 5악(岳)의 하나인 부악(父岳)이 여기에 위치하였으며, 백실(白實)이라는 음악도 있었다. 三國史記 三國遺事

고서·고문서(48)

  • 73923 B07392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8年 閏5月 7日_015 ○朴道源, 以義禁府言啓曰, 南玄老·, 配所相換, 洪趾海·朴師海, 配所相換事, 命下矣。 南玄老 淸河縣投畀, 機張縣投畀, 洪趾海 長鬐縣投畀, 朴師海 東萊府投畀, 而依傳敎相...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4489 B07448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8年 閏5月 7日_015 ○朴道源, 以義禁府言啓曰, 南玄老·, 配所相換, 洪趾海·朴師海, 配所相換事, 命下矣。 南玄老 淸河縣投畀, 機張縣投畀, 洪趾海 長鬐縣投畀, 朴師海 東萊府投畀, 而依傳敎相...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3393 B013393 강도 江都 정치행정 正祖實錄 十年(1786) 十二月 정조실록_11012029_006 ○判義禁府事, 上疏請寢逆䄄送置江都之命, 宇鎭、以謙還囚王獄。 不許。
    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4569 B07456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8年 9月 25日_009 ○金孝大, 以弘文館言啓曰, 新除授副應敎, 時在京畿廣州地, 校理李仁培, 時在楊根地, 修撰金魯鎭, 時在慶尙道東萊地, 經筵入番事緊, 請斯速乘馹上來事, 下諭。 傳曰, 依啓。 金魯鎭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張皇爲言, 閃忽莫測, 而要其歸趣, 必欲毁是書、壞是義而後已。 噫! 義理如是其不明, 淑慝如是其不別, 則人心拂鬱矣, 天理蔑絶矣。 然則天心安得以悅豫, 和氣安得以導達乎? 臣謂尹蓍東, 凡係淸顯之望, 依前刊改, 仍施島配之典。 屛諸四裔, 不置朝籍。 金履成瀛選, 爲先改正, 施以屛...
    출처전거正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유학자(1722∼1787). 아버지는 대사간 치후, 어머니는 이규수의 딸이다. 예조참판·도승지를 거쳐 의주부윤이 되고 이듬해 청천군에 봉해졌다. 대사헌·경기감사·병조참판·이조참판·성균관대사성·형조판서·이조판서·예조판서 등 많은 요직을 역임하였다. 저

  • 감은재일고 / 感恩齋逸稿 [종교·철학/유학]

    9편, 서(序) 3편, 기 2편, 제문 3편, 잡저 1편, 권2는 부록으로 가장·행장·묘갈명·묘지명 각 1편, 향유청포장(鄕儒請褒狀)·도유청포장(道儒請褒狀)·유소(儒疏)·본관보장(本官報狀)·감사이은장문(監司李溵狀聞)·어사복계(御史覆啓) 각 1편, 회계(回啓)

  • 김동헌 / 金東獻 [종교·철학/유학]

    1791년(정조 15)∼1869년(고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증조부는 김치후, 조부는 , 부친은 김명연이다. 모친은 남홍억의 딸이다. 처부는 이희곤의 딸이다. 1832년에 세자익위사부수를 거쳐 오위사과·사복시주부·충훈부도사 등을 지냈으며, 외직으로 임실현

  • 압독주 / 押督州 [지리/인문지리]

    수 없게 되었는데, 이 때 대백제방어상 군사적 요충지로 부각된 곳이 바로 압량주였다. 압독주의 장관으로는 김유신·김인문(金仁問)· 등이 보이며, 또한 원효(元曉)가 이곳의 불지촌(佛地村) 율곡(栗谷)에서 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