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제평야”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소, 1985) 전북 김제시를 중심으로 정읍, 부안, 완주군 일부 지역을 포함한 지역에 펼쳐진 평야. 충적평야와 침식평야로 구성된 한국 최대의 곡창지대다.
    이칭별칭김만경평야|김제만경평야|만경평야
  • 경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8(고종 5)∼1915. 조선 말기의 승려. [개설] 성은 전씨(田氏). 호는 금파(琴波 또는 琴巴). 경호는 법명이다. 전라북도 김제 출생.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외가에서 자랐다. [생애] 용이 에서 승천하는...
    이칭별칭 금파(琴波}|금파(琴巴)
  • 만경평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익산시‧군산시‧김제시에 걸쳐 있는 만경강 하류에 형성된 평야. [내용] 동진강 하류의 와 더불어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넓은 평야에 속한다. 만경강은 노령산맥의 산지에 해당하는 완주군 동상면의 원...
  • 모악산도립공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江)을 이루고 예로부터 김제 벽골제(碧骨堤)의 수원으로서 의 천수답으로 옥토로 바꾸는데 일익을 담당해 왔다. 옛날에는 모악산에서 금이 많이 생산되었다고 하여 금산이란 지명이 생겼다고 한다. 지금도 주변에는 사금광산이 몇군데 있다. 이 산 일대에는...
  • 동진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의 상두산(象頭山, 575m)에서 발원하여 를 지나 황해로 흘러드는 강. [개설] 유역면적 1,034㎢, 유로연장 44.7㎞이다. 도원천(桃源川)을 이룬 뒤, 정읍시 칠보면에서부터 하폭(河幅)이

고서·고문서(1)

  • 김제군읍지(金堤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이름으로 바뀌었다. 1143년(고려 인종21) 현령을 파견하는 현(縣)이 되었고, 조선시대에 들어 1403년 군(郡)으로 승격하였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김제군과 만경군, 금구군이 김제군으로 통폐합되었다. 김제군은 의 중심부에 위치한 대표적인...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타자료(1)

  • 두고 김제시 금산면과 접해있다. 이 일대는 호남정맥의 서쪽면으로 유적의 동쪽과 남쪽은 모악산에서 뻗어 내린 해발 200~500m의 산지로 에워싸여 있으며, 북서쪽은 로 이어지는 충적대지가 펼쳐져 있다. 시굴조사 이전에 이미 민묘 이장과 나무 이식 등으로 파헤쳐...
    발행연도2004/02 | 발굴기관(재)호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북도

주제어사전(2)

  • /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김제시를 중심으로 정읍시·부안군·완주군 일부 지역을 포함한 지역에 펼쳐진 평야. 동진강(東津江)과 만경강(萬頃江) 유역에 발달된 충적평야와 그 주변의 넓은 야산지대를 중심으로 한 침식평야로 구성되어있다. 이른바 ‘김만경평야(金萬頃平野)’ 혹은 ‘김제만경평야’로

  • 동진강 / 東津江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의 상두산(象頭山, 575m)에서 발원하여 를 지나 황해로 흘러드는 강. 유역면적 1,034㎢, 유로연장 44.7㎞이다. 도원천(桃源川)을 이룬 뒤, 정읍시 칠보면에서부터 하폭(河幅)이 50m 이상으로 넓어지면서 동진강이 된다. 동진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