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제시” 에 대한 검색결과 8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74)

사전(148)

  • 만경현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정조 연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전라도 만경현(지금의 만경면) 읍지. [내용] 1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호남읍지』에 수록된 것이 있다. 내용 구성은 현계(縣界)ㆍ건치연혁(建置沿革)ㆍ관원(官員)...
  • (전라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5′∼126°45′, 북위 35°38′∼35°52′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545.06㎢이고, 인구는 9만 5,907명(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4개 면, 4개 동, 542개 리가 있다. 시청은 전라북도 서암동에 있다. [자연환...
  • 김제군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18년 조찬성(趙贊誠)이 편찬한 전라북도 김제군(지금의 ) 읍지. [내용] 1책. 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이밖에도 조선 정조 연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김제군읍지(金堤郡邑誌)』가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
  • 김제내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 [내용] 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61호. 내아는 동헌(東軒)의 외아(外衙)가 공무를 수행하는 곳인데 대하여, 관리의 가족이 살림을 하는 곳을 가리킨다. 1667년(현종 8)에 외아와...
    연계항목김제내아(金堤內衙)
  • 낙양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금구면 청운리 불로마을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우. [내용] 송정기(宋廷耆)‧ 송정모(宋廷模)‧송정구(宋廷耉) 등 3인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는 사우이다. 조선 숙종 때 여산송씨(礪山宋氏)의 후손들에 의하여 건립되...

고서·고문서(577)

  • 1902년 전라북도(全羅北道) 금구군(金溝郡) 수류면(水流面) 무동(舞洞) 통표(統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02년(광무6년)에 전라북도 금구군 수류면 무동에 사는 박진용이 작성하여 금구군에 제출한 통표(統表)이다. 이 통표가 작성된 수류면 무동은 현재 전라북도 전라북도 금산면 용호리 무동마을로, 통표에는 각 호마다 호주의 성명과 남녀인구수, 가옥의 형태와...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통표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795년 이성용(李成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795년 12월 8일에 최진건이 이성용에게 만경현 북이도면에 있는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거래가 된 토지의 소재지는 오늘날 전라북도 공덕면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진안 개화 전주이씨가
  • 1902년 전라북도(全羅北道) 금구군(金溝郡) 수류면(水流面) 구봉리(九峰里) 제1통 통표(統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02년(광무6년)에 전라북도 금구군 수류면 구봉리1통 統首 최순칠이 작성하여 금구군에 제출한 통표(統表)이다. 이 통표가 작성된 수류면 구봉리는 현재 전라북도 금산면 구월리 구봉마을지역이다.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통표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844년 이승노(李承老)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44년 12월 23일에 김잉동이 이승노에게 만경현 하일도면에 있는 밭 1마지기 5되지기를 6냥에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거래가 된 토지의 소재지는 오늘날 전라북도 진봉면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진안 개화 전주이씨가
  • 1792년 이석용(李碩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792년 2월 초5일에 이성노가 이석용에게 만경현 북이도면에 있는 산지를 5냥에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거래가 된 토지의 소재지는 오늘날 전라북도 공덕면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진안 개화 전주이씨가

구술자료(37)

  • 07_055 전북 전라북도 전라북도 _만경면 논매기소리 만경면 논매기소리 1. 만경산 타령 2. 잦은 논매기소리 3. 산유화 전라북도 만경면 대동리, 광활면 옥포리 1989.5.22 素89-5-22B 유판선 유판선(1912년 대동리 출생.남
    녹음지역전라북도 김제시 만경면 대동리, 광활면 옥포리 | 녹음날짜1989.5.22 | 가창방식1, 2. 멕받형 (선후창) 3. 독창
  • 07_056 전북 전라북도 전라북도 _만경면 논매기소리 만경면 논매기소리 1. 사나헤로구나 2. 만두리 전라북도 만경면 대동리, 만경리 1986.4.29 素86-4-29②A 최영의 최영의(1921년 대동리 출생.남.1971년경에 만경리 입촌)
    녹음지역전라북도 김제시 만경면 대동리, 만경리 | 녹음날짜1986.4.29 | 가창방식1, 2. 멕받형(선후창).
  • 07_057 전북 전라북도 전라북도 _만경면 논매기소리 만경면 논매기소리 1. 호미 긴소리 사나히루구나 2. 잦은소리 3. 호미 긴소리 어루사 4. 에염소리 5. 만두리 전라북도 만경면 대동리, 만경리 1986. 素86-4-29③A (최영의
    녹음지역전라북도 김제시 만경면 대동리, 만경리 | 녹음날짜1986. | 가창방식1~5. 멕받형(선후창)
  • 07_059 전북 전라북도 전라북도 _초벌 지심소리 초벌 지심소리 1. 나하아, 노호질네 2. 아헤야호 전라북도 황산면 봉월리 1989.5.19 素89-5-19②B 윤판순 윤판순(1912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1. 만경 산타령 류 2
    녹음지역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면 봉월리 | 녹음날짜1989.5.19 | 가창방식1, 2. 멕받형(선후창).
  • 07_060 전북 전라북도 전라북도 _에염소리 에염소리 위야 허허 전라북도 쌍감리(백일마을) 1989.5.19 素89-5-19②B 김선동 김선동(1923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잦은 위야 허허 반복 복창 복창: 위야 허허 솔도레 레를
    녹음지역전라북도 김제시 쌍감리(백일마을) | 녹음날짜1989.5.19 | 가창방식반복 복창

기초학문(1)

  • 토지대장으로 살펴본 토지소유구조변화: 죽산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34123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과학연구소 2005 토지대장으로 살펴본 토지소유구조변화: 죽산면의 사례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3)

  • 다. 7월 29일 전라북도 에 래습한 2대는 동시에 수차에 걸쳐 소이탄을 투하한 결과 요청리 시장 상점 71동 정미소 2동을 전소시켰다. 7월 20일 서울시 로량진동에 래습한 삐29 8대는 동양기계제작소를 폭격하여 이를 파괴시켰다. 7월 30일 미군...
    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921_02
  • 14교실 별관 8교실 및 그 안에 있던 일제 교수용품을 전소시켰다. 동월 전라북도 에 래습한 미군 전투기 2대는 중학교를 폭격하여 동 중학교를 전소시켰다. 7월 30일 충청남도 대덕군 구측면에 래습한 미군 전투기 수 대는 구즉인민학교를 독표로 기총소사를...
    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920_01
  • 15개의 대형폭탄을 투하하여 60여 호의 주민가옥을 파괴하였다. 7월 14일 미군 폭격기 5대는 경기도 안성군에 래습하여 주택 지구에 다수의 폭탄과 소이탄을 투하하는 만행을 감행한 결과 주민가옥 4백20호를 파괴하였다. 7월 20일 미군 항공기 14대가 전라북도 ...
    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920_01

기타자료(8)

  • 사회교육시설에대한시세과세면제에관한조례(제177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사회교육시설에대한시세과세면제에관한조례(제177호) 사회교육시설에대한시세과세면제에관한조례(제177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김제시장 | 사료철명조례(2)
  • 곽진선,민은숙 최완규,조규택,조선영 원광대학교마한‧백제문화연구소/(주)벽원레저개발 전라북도 황산면 봉월리 산 48-1번지 일원 전라북도 40㎡ 금번 조사는 (주)벽원레저개발측에서 김제 황산 대중골프장을 시설하고자 하는 황산...
    발행연도2004/06 | 발굴기관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주)벽원레저개발 | 발굴지역전라북도
  • 노미선,김소연,진만강 노미선 호남문화재연구원/한국농어촌공사 금강사업단 전라북도 백산면 수록리 일대 전라북도 ㎡ 금강(Ⅱ)지구 김제2-2공구 구간내 토목공사사업은 한국농어촌공사 금강사업단에서 시행하는 농수관로 매립공사로 행정구역상...
    발행연도2009/10 | 발굴기관(재)호남문화재연구원/한국농어촌공사 금강사업단 | 발굴지역전라북도
  • ,김건수,한수영,노미선,진만강,박미라 김건수,한수영,진만강 호남문화재연구원/한국도로공사 전라북도 청하면 장산리 전라북도 ㎡ 전북 청하면에 위치한 장산리 유적은 1997년에 실시된 서해안고속도로건설구간내 문화유적 지표조사를...
    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호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북도
  • 김제 석담리 -김제 공덕-전주간 도로확‧포장공사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백구면 석담리‧월봉리 일원 전라북도 10,800㎡ 김제 공덕~전주간 도로 확‧포장공사 구간에 위치하고 있는 유적에 대한 시굴조사와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시굴조사는 유적의 분포범위와 그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전 지역을 행정 단위와 지형...
    발행연도2002/06 | 발굴기관군산대학교박물관/익산지방국토관리청 | 발굴지역전라북도

연구과제(1)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김병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58)

  • / [지리/인문지리]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544.80㎢이고, 인구는 8만 8721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4개 면, 4개 행정동(30개 법정동), 542개 행정리(121개 법정리)가 있다. 시청은 전라북도 서암동에 있다.

  • 김제 금산사 일원 / 金堤 金山寺 一圓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금산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시기에 창건된 금산사의 사찰일원.사적. 사적 제496호. 에 위치하고 있는 모악산(母岳山, 해발794m)의 서쪽 기슭에 건립되어 있는 사찰이다. 금산사는 미륵신앙을 바탕으로 하는 도량이다. 백제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하는

  • 모악산도립공원 / 母岳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중앙부에 자리한 모악산을 중심으로 지정된 도립공원. 모악산도립공원은 전라북도 전주시 중인동, 금산면, 완주군 구이면에 걸쳐하고 있으며, 1971년 12월 2일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호남 4경의 하나로 수려한 자연 경관과 함께 국보와 보물 등의 문

  • 김제평야 / 金堤平野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를 중심으로 정읍시·부안군·완주군 일부 지역을 포함한 지역에 펼쳐진 평야. 동진강(東津江)과 만경강(萬頃江) 유역에 발달된 충적평야와 그 주변의 넓은 야산지대를 중심으로 한 침식평야로 구성되어있다. 이른바 ‘김만경평야(金萬頃平野)’ 혹은 ‘김제만경평야’

  • 봉서서원 / 鳳棲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백산면 하정리에 있었던 서원. 1784년(정조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배극렴(裵克廉)과 강승(姜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9년(고종 6)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