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제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2)
사전(154)
- 김제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國朝榜目)』 『악전당집(樂全堂集)』 『상촌집(象村集)』 김제남 신도비 1562(명종 17)-1613(광해군 5). 조선...이칭별칭 공언(恭彦)| 의민(懿愍)|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 김제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인목대비의 아버지로, 영창대군을 왕위에 올리려 음모를 꾸몄다는 누명을 쓰고 사약을 받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제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인목대비의 아버지. 유영경과 더불어 영창대군을 왕위에올리려 한 죄를 물어 죽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박종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연루, 억울한 죽음을 당하였다. 이 시기에 박응서 등은 조령(鳥嶺)에서 강도행위를 하다가 체포되었는데, 당시 대북파에서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아버지인 김제남(金悌男)을 모함하던 차에 이들 일당과 연결지어 역모를 꾸몄다고 허위진술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죽음을...
- 이일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1613년(광해군 5) 생원으로 있으면서 이이첨(李爾瞻)의 사주를 받아 이위경(李偉卿) 등과 함께 맨 먼저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빨리 죽이고 김제남(金悌男)을 엄히 국문할 것을 청하는 소를 올렸...
고서·고문서(28)
- 1873년 김제남(金濟南) 외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인목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仁穆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632년(인조 10) 선조의 계비(繼妃)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1632) 김씨의 국장(國葬) 중 빈전(殯殿)과 혼전(魂殿)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기록이다. 인목왕후는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의 딸로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영창대군(永昌大君)의...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인목왕후목릉산릉도감의궤(仁穆王后穆陵山陵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632년(인조 10)에 의인왕후(懿仁王后) 목릉(穆陵) 좌변에 선조의 계비(繼妃)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1632) 김씨의 능(陵)을 조성한 기록으로, 산릉도감에서 간행하였다. 인목왕후는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의 딸로 본관은 연안(延安)이며,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선조국장도감일방의궤(宣祖國葬都監一房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뒤에 연(昖)으로 개명하였다. 중종의 손자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초(岹)의 셋째아들이며, 어머니는 정세호(鄭世虎)의 딸이다. 비는 박응순(朴應順)의 딸 의인왕후(懿仁王后)이며, 계비는 김제남(金悌男)의 딸 인목왕후(仁穆王后)이다. 선조의 능은 목릉(穆陵)으로 현재...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선조국장도감이방의궤(宣祖國葬都監二房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위기간은 1567년∼1608년이다. 초명은 균(釣), 뒤에 연(昖)으로 개명하였다. 중종의 손자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초(岹)의 셋째아들이며, 어머니는 정세호(鄭世虎)의 딸이다. 비는 박응순(朴應順)의 딸 의인왕후(懿仁王后)이며, 계비는 김제남(金悌男)의 딸 인목왕...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주제어사전(7)
-
김제남 / 金悌男 [종교·철학/유학]
1562(명종 17)∼1613(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안도, 아버지는 증 영의정 오, 어머니는 권상의 딸이다. 선조의 장인이다. 1594년 의금부도사·공조좌랑을 거쳐, 1596년 연천현감을 지냈다. 1597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1601
-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 仁穆王后 御筆 七言詩 [언론·출판/출판]
大君)을 추대하려 했다는 공격을 받아 사사(賜死)된 아버지 김제남(金悌男)과 아들 영창대군을 위하여 칠장사(七長寺)를 원당(願堂)으로 삼아 중건하면서 쓴 글이다.
-
김상석 / 金相奭 [종교·철학/유학]
1690년(숙종 16)∼1765년(영조41). 조선 후기의 문신. 연흥부원군 김제남의 현손으로, 할아버지는 지평 김홍석이고, 아버지는 김호이며, 어머니는 윤세익의 딸이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면서 노론이 집권하자 간관이 되어 소론의 이광좌·조태억·이삼·심단 등을
-
김선 / 金瑄 [종교·철학/유학]
1599년(선조 32)∼1614년(광해군 6).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는 김안도, 조는 김오, 부친은 김제남이다. 모친은 광주노씨 광산부부인으로 노계의 딸이다. 김선은 선조의 처남이다. 백헌 이경석과 과거 공부를 같이 하였는데, 김선의 문예를 따를 수 없다고 항상
-
선조 / 宣祖 [역사/조선시대사]
1552년(명종 7)∼1608년(선조 41). 조선 제14대 왕. 중종의 손자, 덕흥대원군 초 셋째아들, 어머니는 정세호의 딸이다. 비는 박응순의 딸 의인왕후, 계비는 김제남의 딸 인목왕후이다. 명종의 사랑을 받았으며 성장하자 하성군에 봉해졌고, 1567년 명종이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