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제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13)
- 강상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문인이다. 1824년(순조 24) 경학(經學)으로 천거되었고, 1828년에 다시 별천(別薦)되었으며, 1840년 안릉참봉(安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그가 부령향교(富寧鄕校) 장의(掌議)로 있으면서 유림들과 함께 김제겸(金濟謙)...이칭별칭 백휴(伯休)| 능호(菱湖)
- 김제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0(숙종 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필형(必亨), 호는 죽취(竹醉). 동지중추부사 광찬(光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수항(壽恒)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창집(昌集)이며, ...이칭별칭 필형(必亨)| 죽취(竹醉)| 충민(忠愍)
- 만만2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매우. 死生訣別之際 情理萬萬慘毒 此豈人理所可堪耶, 김제겸(金濟謙), 23-20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패자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패자(牌字). 換租事已有他料理 故牌子還完 此意傳布如何, 김제겸(金濟謙), 23-20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내행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부녀자의 행차. 令胤借馬 內行僅能來到 而忙未各書以謝, 김제겸(金濟謙), 23-20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6)
- 1829년 예안현(禮安縣) 입지(立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지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지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증보삼운통고(增補三韻通考)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운서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4356 B034356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1年 12月 14日_018 ○禁府, 金昌集巨濟府, 李頤命南海縣, 趙泰采珍島郡絶島圍籬安置, 黃璿茂長縣遠竄, 金濟謙蔚山府極邊遠竄。 啓。 朝報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840 B035840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景宗實錄 元年(1721) 十二月 경종실록_10112012_003 ○竄閔鎭遠于星州牧, 李宇恒、徐宗伋于康津古今島, 洪錫輔于靈巖郡, 金濟謙于蔚山府, 黃璿于茂長縣, 安置金昌集于巨濟府, 李頤命于南海縣, 趙泰采于珍島郡。출처전거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4996 B024996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景宗修正實錄 元年(1721) 十二月 경종수정실록_10112012_003 ○竄閔鎭遠于星州牧, 李宇恒、徐宗伋于康津古今島, 洪錫輔于靈巖郡, 金濟謙于蔚山府, 黃璿于茂長縣。출처전거景宗修正實錄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김제겸 / 金濟謙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동지중추부사 광찬 증손, 할아버지는 영의정 수항, 아버지는 영의정 창집, 어머니는 박세남의 딸이다. 작은아버지 창흡에게 수학하였다. 1719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언이 되었다. 그 뒤 헌납, 응교, 사
-
난곡서원 / 蘭谷書院 [교육/교육]
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에 있었던 서원. 1848년(헌종 1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김창집(金昌集)·김제겸(金濟謙)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묘우(廟宇)와, 강당(講堂)인 이지당(二止堂), 동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