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제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15)
- 의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의사(義士) 김제갑(金悌甲)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필사본. 1623년(인조 1) 외손 허함(許涵)이 편집, 필사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허함의 초고발(草稿跋)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 김제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國朝榜目)』 『한국금석문총람(朝鮮金石總覽)』 김제갑 충렬비 1525(중종 20)-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강원 원주시 원주역 광장에 있는 김...이칭별칭 순초(順初)| 의재(毅齋)| 문숙(文肅)
- 김제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몽유자의 몽중 잔치 모임에 참석하여 임진왜란 때에 치악산을 의지하고 왜병과 싸웠으나 패배하고 가족까지 모두 죽은 일을 이야기하며 한탄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제갑(金悌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1559 인물 김제갑(金悌甲) 김제갑 金悌甲 1525 159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순초(順初), 호는 의재(毅齋). 퇴계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53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유형분류인물
- 영원산성(鴒原山城)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적을 무찔러 이 성곽을 지켰다. 1592년 임진왜란 때에는 원주목사(原州牧使) 김제갑(金悌甲)이 적장 모리 요시나리(毛利吉成)의 군과 대적하여 일부 적군을 무찔렀으나 결국 산성이 함락되어 그의 아들 김시백(金時伯) 및 부인 이씨(李氏)와 함께 순절하였다고 한다. 『신증...유형분류유적
고서·고문서(25)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訥魚] 2마리가 든 상자, 《성리대전(性理大全)》 26권 등을 바쳤다. 군수(郡守) 김제갑(金悌甲)이 보낸 것이다. 初八日丁亥。 初八日丁亥。 ○留。○沃川人來納木米五斗、眞荏五斗、粘米三斗入帒、淸五升、生獐一、雉二、訥魚二箱內、《性理大全》廾六卷等。郡守 金悌甲所送也。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4_384_345 1564년11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4년 11월 20일 기미. ○당(堂)에 머물렀다. ○김제갑(金悌甲)이 게젓[沈蟹] 200개‧운혜(雲鞋) 1개‧동화(童靴) 1개 등을 보내왔다. ○어제 한진(韓璡) 댁이 숯 3섬을 보내주었...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아이를 돌보며 당(堂)에서 잤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는데, 김제갑(金弟甲)‧박응남(朴應男)‧정종영(鄭宗英) 등이 청한 것이다. ○이득전(李得荃)이 다녀갔다. 初二日癸卯, 陰, 風雨。 初二日癸卯, 陰, 風雨。 ○宿堂護兒。兒唇猶不永平。○普明、靈昭等早來見之, 卽如化主法席。□□亦往。羲復來, 留宿于此, 耳聾不能問答。○二道...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이다. 김제갑(金悌甲)은 낙방했다. ○숙강(叔强)의 문안 편지를 노기(老妓) 신덕(申德)이 와서 전했다. 初七日己丑, 陰雨。 初七日己丑, 陰雨。 ○留堂。服餌。守齋。○掃正堂廳。○令道前問安。又問胤子之疫, 則遠處奇不再來, 悶極云云。○索肉燭于城主。下人送以殘一雙。○裵正...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상경한다고 하기에, 내가 황모(黃毛)족제비 털 5조(條)를 주면서 붓을 만들어 달라고 했다. 또 김제갑(金悌甲)에게 보내는 편지를 주어 보냈다. ○아내가 저문 후 피해서 거처하는 곳으로 내려갔다. ○숙길(淑吉)이 와서 잤다. ○숙희(淑禧)와 숙복(淑福)이 모두 설사를...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2)
-
김제갑 / 金悌甲 [종교·철학/유학]
1525(중종 20)∼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고려의 명장 방경의 후손, 할아버지는 언묵, 아버지는 진사 석, 어머니는 기형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53년(명종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의 정자, 병조좌랑, 정언을 거쳐 1581년(
-
화암서원 / 花巖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송동리에 있는 서원. 622년(광해군 14)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이문건(李文楗)·노수신(盧守愼)·김제갑(金悌甲)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38년(영조 14)허후(許詡)·전유형(全有亨)·박세무(朴世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