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정희 영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19)
- 김정희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이한철(李漢喆) 등이 김정희를 그린 영정. [내용] 1857년(철종 8)작. 축. 비단바탕에 채색. 세로 131.5㎝, 가로 57.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예산김정희종가유물(보물 제547호) 중의 하나이다. 오사모(烏紗帽, 沙...연계항목김정희영정(金正喜影幀)
- 김정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7년. 57.7㎝x131.5㎝. 비단에 채색. 보물 제547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 말기의 문신, 실학자, 서화가인 김정희(1786-1856)의 영정으로 오사모를 쓰고, 좌안7분면의 의자에 호피를 깔고 앉은 전신상으로, 당시 유행했던 형식이다.이칭별칭 원춘(元春)| 추사(秋史), 완당(阮堂), 예당(禮堂), 시암(詩庵), 노과(老果), 농장인(農丈人), 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 예산김정희종가유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다. 더불어 이한철(李漢喆)이 1857년에 그린 김정희영정(金正喜影幀, 세로 131.5㎝, 가로 57.7㎝) 한 점이 함께 지정, 보관되어 있다. 이 물건들은 모두 종가에서 전하여진 물건으로서 습작부터 완형의 서첩에 이르기까지 김정희의 서체를 한눈에 살펴볼 수...이칭별칭김정희종가유물 | 연계항목예산김정희종가유물(禮山金正喜宗家遺物)
- 의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승려가 되었고 정약용에게서 유학과 시문을 배우고, 신위, 김정희와 친교가 깊었다. 해남 두륜산 일지암에서 40년 동안 지관을 닦고, 서울 봉은사에서 《화엄경》을 새길 때 증사가 되었다. 선사의 영정. 태평양화학박물관소장.이칭별칭 중부(中孚)| 초의(草衣), 일지암(一枝庵)
- 연풍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곡우(穀雨). 24절기의 하나. 更問.風 令政候日晏万重, 김정희(金正喜), 33-7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2)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133 B036133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22年 6月 26日_015 ○壬午六月二十六日卯時, 上御熙政堂。 守令·邊將初仕人入侍時, 右副承旨鄭漪, 同副承旨朴基宏, 假注書趙顯休, 記注官金輦, 記事官金正喜, 以次進伏。 三和府使朴潤榮, 鐵原府使李鍾英,...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오고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했다. 與景先書 (118) 族弟 李裕承에게 답한 편지다. 이유원의 아들 이석영의 첫째 부인(鄭基轍의 女)의 무덤을 移葬하는 문제에 대해 논했다. 答趙玉垂書 (118) 秋史 金正喜의 戚姪이자 제자인 玉垂 趙冕鎬(1803∼1887)에게 답한 편지다. 노년에 자연...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 책소식_1972_03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인간이란 동물> 르네 듀보 지음 김용준 옮김, 탐구신서 53 김정희 36 (독후감) <바다의 침묵> 베르꼬르 지음, 오징자 옮김, 춘조사 간 김태현 37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2
주제어사전(1)
-
김정희 영정 / 金正喜影幀 [예술·체육/회화]
이한철(李漢喆) 등이 김정희를 그린 영정. 1857년(철종 8)작. 비단바탕에 채색. 세로 131.5㎝, 가로 57.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예산김정희종가유물(보물 제547호) 중의 하나이다. 오사모(烏紗帽, 沙帽)를 쓰고 쌍학문양(雙鶴文樣)의 흉배를 착용한 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