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정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29)
사전(131)
- 오강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김정호(金正昊)의 시문집. [내용] 1권 1책. 연활자본. 1918년 장지연(張志淵)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지연ㆍ정일우(丁日宇)의 서문, 권말에 정봉태(丁鳳泰)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ㆍ국립중앙도서관ㆍ성...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특히, 개인의 지도 제작은 천기를 누설한다 하여 당시로서는 금기로 여겼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김정호는 조선조의 지도와 지지를 집대성한 학자이며,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만든 지도에서 좌표(座標)에 의거하여 구분한 대축척지도첩을 발달시켰다. 유재건(劉在建)의 ≪이향견...이칭별칭 백원(伯元), 백온(伯溫), 백지(伯之)| 고산자(古山子)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6(고종 23)∼? 기업가. [내용] 경기도 개성 출생. 1915년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學) 법학과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곧 개성인삼조합의 취체역에 취임하였다는 사실로 보아 그는 삼포(蔘圃)를 경영하는 대지주의 가정에서 ...
- 수선전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25년(순조 25)경에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것으로 전하는 서울시가도. [내용] 목판인쇄본. 크기는 세로 25.4㎝, 가로 22.2㎝이며, 부분채색한 한 장의 지도이다. 이 지도는 남쪽으로 한강을 한계로 하여, 북쪽으로 도...
- 수선전도목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24(순조 24)∼1834년에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서울지도의 판목. [내용] 1판(板). 보물 제853호. 목판의 크기는 세로 82.5㎝, 가로 67.5㎝이다.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首善全圖(수선전도)’라...연계항목수선전도목판(首善全圖木板)
고서·고문서(177)
- 4 第四統統首金正好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05년_부내면(府內面) 1705년 부내면(府內面) 第十九伴鷗亭東部里 4 第四統統首金正好 @5 統第一戶 府案付主鎭步兵金正好年伍拾玖丁亥本蔚山父千卜祖末叱千曾祖 石乙元外祖崔莫建本慶州妻私婢春節年伍拾柒己丑本蔚山父良人李生伊母 私婢金今祖有建二祖不知上典慶州居薛永...연도_면이름1705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九伴鷗亭東部里
- 4 第四統統首김廷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0년_웅촌면(熊村面) 1840년 웅촌면(熊村面) 第三十三下垈里 4 第四統統首김廷昊 第一戶 幼學김廷昊年參拾參戊辰本慶州父學生鳳領祖學生淳尙曾祖學生是贊外 祖學生김有光本김海妻吳氏年參拾捌癸亥本海州父學生致侃祖學生世德曾祖學 生汝周外祖學生朴文郁本密陽婢月每年壬午...연도_면이름1840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三十三下垈里
- 5 第五統統首김廷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9년_웅촌면(熊村面) 1849년 웅촌면(熊村面) 第三十下垈里 5 第五統統首김廷昊 第一戶 幼學김廷昊年肆拾貳戊辰本慶州父學生鳳領祖學生淳尙曾祖學生是贊外 祖學生김有光本김海妻吳氏年肆拾柒癸亥本海州父學生致侃祖學生世德曾祖 學生汝周外祖學生朴文郁本密陽子幼學漢...연도_면이름1849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三十下垈里
- 간첩 김정호 침투(사후인지, 자수)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간첩 김정호 침투(사후인지, 자수) 대한민국(남북한) 육군본부 단행본 『대침투작전사④(1961년~1970년) 중』은 1961년부터 1970년까지의 해상침투...대표표제어간첩 김정호 침투(사후인지, 자수) | 저작권자육군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 침투
- 壬子年 12월 9일 金楨皐가 보낸 簡札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840 2294_01 壬子年 12월 9일 金楨皐가 보낸 簡札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문부 종가, 사회관계, 종가 문중생활, 서간통고류, 간찰 한자 고문서 JMB198.JPG 壬子年 12월 9일 金楨皐가 보낸 簡札 簡札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경상대 고문헌 도서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기초학문(11)
- Employment Effects of Low-skilled Immigrants in Korea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정호, 게재일 : 201449706 김정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대학교 경제연구소 2014 Employment Effects of Low-skilled Immigrants in Korea https://www.krm.or.kr/krmts/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한일 문헌신화에 나타난 여성주인공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정호, 게재일 : 201345465 김정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배달말학회 2013 한일 문헌신화에 나타난 여성주인공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동아시아 무속의례의 이야기 수용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정호, 게재일 : 201243639 김정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어문학회 2012 동아시아 무속의례의 이야기 수용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영화 흥행 집중도와 상영 스크린 집중도로 살펴본 한국 영화산업 10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정호, 게재일 : 201559707 김정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콘텐츠학회 2015 영화 흥행 집중도와 상영 스크린 집중도로 살펴본 한국 영화산업 10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15
- 굿과 떼이얌에 나타난 신화수용 연구-나쁜 여신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정호, 게재일 : 201662625 김정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민족어문학회 2016 굿과 떼이얌에 나타난 신화수용 연구-나쁜 여신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156)
- 金貞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貞浩(-) 해주 金貞浩 - 茄佐面 菊峰里 - - 잡화판매 - - - 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貞浩(-) | 지역해주 | 품목- | 영업종목잡화판매 | 자료출처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 金貞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貞浩(-) 해주 金貞浩 - 茄佐面 菊峰里 - - 금전대부업 - - - 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貞浩(-) | 지역해주 | 품목- | 영업종목금전대부업 | 자료출처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 金正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正浩(-) 개성 金正浩 - 東本町 452 - - 금전대부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正浩(-)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금전대부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少金井芦洲公演 『寛永御前試合』 (고가네이로슈 공연 『간에이 어전시합』)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고가네이로슈 공연 『간에이 어전시합』 삽화작품명_원문少金井芦洲公演 『寛永御前試合』 | 게재일19220101 | 게재판무 | 게재면04 | 게재단1-2
- 大器晩成의 標的 商業都市인 開城에 商工會議所成立 幾多의 波瀾을 지내서 基礎鞏固 金府尹金正浩兩氏功績偉大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大器晩成의 標的 商業都市인 開城에 商工會議所成立 幾多의 波瀾을 지내서 基礎鞏固 金府尹金正浩兩氏功績偉大 1932년 10월12일 ...대표표제어大器晩成의 標的 商業都市인 開城에 商工會議所成立 幾多의 波瀾을 지내서 基礎鞏固 金府尹金正浩兩氏功績偉大 | 연월일1932년 10월12일 | 지역개성
멀티미디어(107)
- 으로 조상들의 땅에 대한 인식•표현•기록했던 방식 설명 1주 전통 지리학의 내용과 성격 2주 조선 전기 지리학 3주 조선 후기 지도학 1 4주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 김정호의 지도학 5주 조선 후기 지지학 29주 근대 지리학의 도입과 한계 김종근 교수강좌제목땅을 딛고 길을 나서다, 지도와 지리 | 강의자김종근 교수
- 으로 조상들의 땅에 대한 인식•표현•기록했던 방식 설명 1주 전통 지리학의 내용과 성격 2주 조선 전기 지리학 3주 조선 후기 지도학 1 4주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 김정호의 지도학 5주 조선 후기 지지학 30주 근대 지리학의 도입과 한계 김종근 교수강좌제목땅을 딛고 길을 나서다, 지도와 지리 | 강의자김종근 교수
- 으로 조상들의 땅에 대한 인식•표현•기록했던 방식 설명 1주 전통 지리학의 내용과 성격 2주 조선 전기 지리학 3주 조선 후기 지도학 1 4주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 김정호의 지도학 5주 조선 후기 지지학 31주 근대 지리학의 도입과 한계 김종근 교수강좌제목땅을 딛고 길을 나서다, 지도와 지리 | 강의자김종근 교수
- 으로 조상들의 땅에 대한 인식•표현•기록했던 방식 설명 1주 전통 지리학의 내용과 성격 2주 조선 전기 지리학 3주 조선 후기 지도학 1 4주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 김정호의 지도학 5주 조선 후기 지지학 32주 근대 지리학의 도입과 한계 김종근 교수강좌제목땅을 딛고 길을 나서다, 지도와 지리 | 강의자김종근 교수
- 으로 조상들의 땅에 대한 인식•표현•기록했던 방식 설명 1주 전통 지리학의 내용과 성격 2주 조선 전기 지리학 3주 조선 후기 지도학 1 4주 조선 후기의 지도학 2 : 김정호의 지도학 5주 조선 후기 지지학 33주 근대 지리학의 도입과 한계 김종근 교수강좌제목땅을 딛고 길을 나서다, 지도와 지리 | 강의자김종근 교수
기타자료(47)
- 김정호;金楨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471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5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16) 제16회(1927년) 김정호;金楨虎 함주군 주북면 신풍리...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정호;金丁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621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校友 제1호 1926―04―30 151면 김정호;金丁昊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정호;金丁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117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1면 김정호;金丁昊 제3회 1928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정호;金定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6899 북한 황해 해주고등보통학교 교우회잡지 제1호, 1926―09 171면 1. 회원명부;4) 4년 西 김정호;金定鎬학교소재지역황해 | 학교명해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정호;金禎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7921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80면 - 김정호;金禎浩 1939년 3월 4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이진영 | 인하대학교 | 2021 | 국내 | 인천
주제어사전(14)
-
김정호 / 金正浩 [지리/인문지리]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 당대의 실학자 최한기와 친교가 깊었고, 《대동여지도》의 재간과 《대동지지》의 간행연도가 모두 1864년(고종 1)인 것으로 보아 1800년경에서 1864년경까지 살았으며, 순조·헌종·철종대에 걸친 사람으로 추정된다.
-
대동여지도 / 大東輿地圖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김정호(金正浩) 작, 필사본(채색), 불분권 22책. 목판본 대동여지도의 필사본으로 1861년 이후에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고문서와 한지로 만든 책갑안에 22첩이 들어 있다.
-
지구전후도 / 地球前後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지리학자 김정호가 중국 장팅핑(莊廷甹)의 「지구도」를 본떠 1834년에 중간한 지도.고지도. 목판본. 숭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노정식(盧禎埴) 등 개인소장본도 있다.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중간자는 최한기(崔漢綺)이고 각수(刻手)만
-
고목근 / 高木根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강화 지역의 옛 지명. 김정호(金正浩)의 『대동지지』에는 백제 때의 고을이라고 되어 있다. 757년(경덕왕 16)통일신라에서 지방관제 개혁 때 서너 글자로 된 고을이름을 두 글자로 된 지명으로 고치면서 지금 교동면의 이름이 된 교동현(喬桐縣)으로 바꾸어 해
-
동여도 / 東輿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철종 연간에 제작된 분첩절첩식(分帖折疊式)의 전국 지도. 채색필사본. 1조 23첩.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대동여지도』와 유사한 내용으로 김정호(金正浩)가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위해 작성한 고본(稿本)일 가능성과 『대동여지도』에 자료를 보충한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