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정묵” 에 대한 검색결과 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39(영조 15)∼1799(정조 23).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광산(光山). 초명은 두묵(斗默), 자는 이운(而運), 호는 과재(過齋). 김장생(金長生)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위재(偉材)이며, 어머니는 파평윤씨로 참봉 휴경...
    이칭별칭 이운(而運)| 과재(過齋)|두묵(斗默)
  • 송치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로 ()의 문인이다. 학문은 독서궁리(讀書窮理)를 근본으로 하고 반궁실천(反窮實踐)을 목표로 삼아, 평생을 이이(李珥)와 김장생(金長生)ㆍ송시열의 전통을 이어받아 그것을 지키는 데 전념하였다. 1798년(정조 22) 경상도관찰사 한용화(韓用和)의 천...
    이칭별칭 기옥(奇玉)| 강재(剛齋)| 문간(文簡)
  • 유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여하였다. 1921년 북경(北京)으로 가서 신채호(申采浩)‧김창숙(金昌淑)‧()‧남형우(南亨雨) 등과 함께 순 한문지 『천고 天鼓』를 발간하여 한국인의 독립정신을 중국에 선양하였다. 상해(上海)로 가서 김규식(金奎植)‧여운형(...
    이칭별칭 단주(旦洲)
  • 명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저승. 不暇悲我之悲 而悲號者之悲我於冥冥也, (金正.), 22-297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박건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6(영조 42)∼1841. 조선 말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사표(士標), 호는 선곡(仙谷). 인조 때 승지 이환(而煥)의 후손이다. 송환기(宋煥箕)와 () 등에게 사사하였다. 특히, 예학에 대하여
    이칭별칭 사표(士標)| 선곡(仙谷)

고서·고문서(14)

신문·잡지(1)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東星堂藥房) 서울 東星堂藥房 靑葉町 3-22-2 약품_의료기 - 매약(賣藥) 소매 1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
    대표표제어金禎默(東星堂藥房) | 지역서울 | 품목약품_의료기 | 영업종목매약(賣藥)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기타자료(17)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05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1면 ; 제3회 1936-03-2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1045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53-2면 ; 제12회 1937년 3월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1290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10면 ㅁ1. 회원록;ㅁ3) 1학년 병조 ; 황해 수안군 천곡면 평원리 356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2611 남한 경성 중앙불교전문학교 1-44 중앙불교전문학교일람 1937 41면 ㅁ제6 생도(1938년 10월 현재);ㅁ1. 생도씨명;ㅁ3) 제1학년(46명);ㅁ(1) 본과 ;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불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1011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33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26) 제24회 103명(1928년 3월 졸업)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39∼1799). 김장생의 후손이다.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힘쓰면서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성리학 예설에 밝았으며 한원진의 논술이 이이·송시열에 위배됨을 지적하였다. 저서로는《과재유고》가 있다.

  • 신재응 / 申在應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신흘 6세손, 조부는 신엽, 부친은 신광집이다. 생품이 총혜하여 5살에 학문을 수업하고, 10살에 종조가 되는 신재 신위에게 수학할 때 매일 수백 행을 기억하였고, 장성해서는 과재 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육적의 이수에 찬연하였다.

  • 송치규 / 宋穉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59∼1838). 송시열의 6대손으로 의 문인이며, 이이와 김장생·송시열의 전통을 이어받아 그것을 지키는 데 전념하였다. 관직에 나가지 않다가, 72세가 되던 해 왕의 간청으로 세손의 시강원찬선을 거쳐 대사헌을 지냈고, 이조참판이 되었다가

  • 상례비요보 / 喪禮備要補 [사회/가족]

    조선후기 학자 박건중의 『상례비요』를 증보하여 저술한 예서. 12권 8책. 사본. 1806년(순조 6)에 완성되었다. 『비요보해(備要補解)』라고도 하며, 13권 8책본이 있기도 하다. 박건중은 송환기(宋煥箕)·() 등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정통을 이어오던

  • 과재유고 / 過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11권 5책. 연활자본. 1928년 김용계(金容契)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권1은 시 145수, 소(疏) 2편, 서(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