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정국” 에 대한 검색결과 2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7)

사전(7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85(성종 16)∼1541(중종 36). 조선 중기의 학자ㆍ문신. [내용]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국필(國弼), 호는 사재(思齋)ㆍ은휴(恩休). 아버지는 예빈시참봉(禮賓寺參奉) 연(璉)이며,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군수 지(...
    이칭별칭 국필(國弼)| 사재(思齋)| 문목(文穆)|은휴(恩休)|팔여거사(八餘居士)
  • TD_L7_D_0616 남자 文章學術, 魁科, 歷敭, 淸要, 按海西, 己卯禍, 禮曹參判 己巳 高陽 國弼, 慕齋, 思齋, 中廟 摭言 D_08_02_35 대동운부군옥 8권 2장 3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2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정지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09(중종 4)∼1561(명종 16).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정이(靜而), 호는 추만(秋巒). 경기도 고양 출신. 인필(寅弼)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영특했으며, ()ㆍ김안국(金安國)의 문...
    이칭별칭 정이(靜而)| 추만(秋巒)
  • 강이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7년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에 의하여, 주문모(周文謨)와 접촉하면서 천주교 교리를 배우며 요언(妖言)으로 민심을 혼란시킨다고 보고되어, 형조의 탄핵을 받아 그 해 11월에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이어 1801년(순조 1) 신유박해 때 옥사하여 주문...
    이칭별칭 성륜(聖倫)| 중암(重菴)
  • 이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와 후진 교육에 힘썼다. 일찍이, 한원(翰苑)에 있을 때 김안로(金安老)가 병풍에 휘호하기를 요청했는데 이를 거절하였으므로 여러 모함을 받았다. ()ㆍ이현보(李賢輔)ㆍ권벌(權橃) 등과 교유하였으며, 문장에 능하고 글씨가 뛰어났다. [저술활동...
    이칭별칭 중예(仲豫)| 월연(月淵)

고서·고문서(32)

구술자료(104)

  •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 음반녹음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녹음목록A면 동해안 별신굿 중 천왕굿B면 없음연주자 김석출 김유선 신석남 송동숙 김미향 제갈태오 김용택 김동연 김동언 김영숙 김동열 김정희 pdf I-049.jpg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국
  •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 음반녹음 ⑤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42)연주자 김석출 김유선 신석남 송동숙 김미향 제갈태오 김용택 김동연 김동언 김영숙 김동열 김정희 pdf I-036.jpg jpg I-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국
  •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 음반녹음 ④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김유선 신석남 송동숙 김미향 제갈태오 김용택 김동연 김동언 김영숙 김동열 김정희 pdf I-037.jpg jpg I-037A.mp3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국
  •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동해안 별신굿 중 화해굿(00:00~12:34) 2) 동해안 별신굿 중 세존굿(12:40~28:41)연주자 김석출 김유선 신석남 송동숙 김미향 제갈태오 김용택 김동연 김동언 김영숙 김동열 김정희 pdf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국
  •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 음반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9:11-26:22)연주자 김석출 김유선 신석남 송동숙 김미향 제갈태오 김용택 김동연 김동언 김영숙 김동열 김정희 pdf I-039.jpg jpg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국

신문·잡지(4)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일화를 소개한 글 이현보(李賢輔), 어부사(漁父詞), 권벌(權撥), (), 이언적(李彦迪) 조양보번역문.pdf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9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선, 정원빈, 주민순, 김희봉, 홍희길, 리효훈, 박영화, 주희훈, 리창길, 리낙부, 림방실, 강금봉, 주경봉, 조한복, , 주만술, 홍우균, 한운진, 리선섭, 한석호, 김형묵, 정재경, 전주선, 김봉환, 전중녀, 김형옥, 신영길, 정달보, 장상열, 리기선, 홍숭...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315_02 | 책임주필강길모
  • 단순한 영업 관점으로 부터 농업 전선을 지원하는 데로 왕옥산, 양향림 28 언제나 농민 대중을 생각하고 30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65
  • 천도교회월보_1919_1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참개벽한 뒤에야 25 최신농업법 (속) 경농자 27 속담의 격언 29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9

기타자료(10)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7513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56면 ; 황해도 수안군 천곡면 평원리 62 제30회 1936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4624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68면 1. 제12. 졸업생;7) 법과 제4회 졸업생 (1911년 1월 28일) 45인 ; 경성부 中學洞;(원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6477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80면 2. 제8. 졸업자;7) 제4회 법과 45인 (1911년 1월 28일) ; (원적)경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3508 북한 평남 숭인상업학교 3-06 崇仁(창간호) 숭인학우회 1926 103면 1. 본교졸업생씨명(숭덕고등과);8) 제8회 1909년 ;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인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0309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교우회지 제9호 1929―01―10 113면 ; 米院연초경작조합 기수 제6회 1918년 3월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4)

  • / [종교·철학/유학]

    1485(성종 16)∼1541(중종 36).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 아버지는 예빈시참봉 연, 어머니는 허지의 딸, 안국의 동생이다. 김굉필의 문인이다. 1509년(중종 4)에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경상도관찰사, 예조참판, 형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 경민편언해 / 警民編諺解 [언론·출판/출판]

    1658년(효종 9) 간행한 ‘경민편’의 언해본. 목판본 1권. <경민편>은 본래 1519년(중종 14)에 이 어리석은 국민들에게 인륜과 법제에 관한 지식을 알리기 위하여 엮은 것인데, 이를 이후원이 번역하여 간행하였다.

  • 경민편 / 警民編 [언론·출판]

    저자 (1485-1541). 목판본. 1책. 책의 구성은 1책 48장이다. 한글현토 및 국한문혼용국역본이다. <경민편>은 이 1519년(중종 14)에 황해도민을 교화하기에 저술한 것이다. 향촌사회에서 일어나는 범죄, 그 범죄를 저지르면 안 되는 이유 및 도

  • 문봉서원 / 文峯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고양시 문봉동에 있었던 서원. 1688년(숙종 1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남효온(南孝溫)·()·기준(奇遵)·정지운(鄭之雲)·민순(閔純)·홍이상(洪履祥)·이신의(李愼儀)·이유겸(李有謙)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09년

  • 임강서원 / 臨江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장단군 북면 고랑포리에 있었던 서원. 1650년(효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안유(安裕)·이색(李穡)·김안국(金安國)·()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건립시에는 봉잠서원(鳳岑書院)이라고 하였다. 1694년(숙종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