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재로 영정” 에 대한 검색결과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를 그린 . [내용] 비단 바탕에 채색.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은 현재 중국본과 한국본의 두 벌이 함께 전해지고 있어 조선 후기 초상화 연구에서 매우 중...
  • 천의소감(闡義昭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천의소감 천의소감 闡義昭鑑 의리명변서(義理明辯書) 한문 한국 조선 영조 성낙수 박종국 2016 , 이천보 광주부 1755 4권 3책 활자본(무신자(戊申字)) 천의소감(闡...
  • 조문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소론이면서도 외가(光山金氏 萬均)와 처가(安東金氏 昌業)가 노론 집안이어서 노론계 명사와 널리 교유하였다. 특히 송인명^() 등과 매우 친밀하였다. 후일 영조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글씨에 능하여 청주 삼충사사적비(三忠祠事蹟碑)‧북백곽재우묘표...
    이칭별칭 숙장(叔章)| 학암(鶴巖)| 문충(文忠)
  • 조관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듬해 풀려났으나 등용되지 못하고 있다가 1736년 도승지에 임명되고, 1740년 호조참판‧예조판서를 거쳐 1742년 평안도관찰사를 지낸 뒤, 1744년 호조판서로 있으면서 영의정 ()와의 불화로 면직되었다. 그 해 우참찬‧홍문관제학에 다시 기용되고, 이듬해...
    이칭별칭 국보(國甫)| 회헌(晦軒)| 문간(文簡)
  • 조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진신(縉紳) 사이에 교유가 넓었는데 ()‧송인영‧박문수(朴文秀) 등과 특히 친밀하였다. 저서로 ≪귀록집≫이 있고, ≪해동가요≫에 시조 1수가 전하고 있다. 시호는 충효(忠孝)이다.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이칭별칭 치회(稚晦)| 귀록(歸鹿), 녹옹(鹿翁)| 충효(忠孝)

고서·고문서(17)

  • 61498 B061498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25年 8月 5日_022 ... 有何依據? 若此不已, 將無遺矣。 遙瞻學洞, 尤切痛心, 元良稟也, 痛心先在, 不能指揮。 今乃諭心, 政院知悉。 出榻敎 曰, 兩司之論俱發, 而一向靳允, 恐未穩當, 如此之類...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3568 B07356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5年 9月 17日_017 上曰, 右相入來前, 亦爲行公也。 所啓, 臣之情勢, 決難行公, 廟堂凡事, 皆不得爲之。 而下敎至此, 其中一二最急事, 敢此仰達。 咸鏡監司朴文秀狀啓, 以道內覆審都事評事, 則姑停除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3196 B07319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5年 9月 17日_017 上曰, 右相入來前, 亦爲行公也。 所啓, 臣之情勢, 決難行公, 廟堂凡事, 皆不得爲之。 而下敎至此, 其中一二最急事, 敢此仰達。 咸鏡監司朴文秀狀啓, 以道內覆審都事評事, 則姑停除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후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오는 高氏의 이름에 관련된 사항에 대해 묻고 답하는 族姪 (1682∼1759)와의 왕복 편지이다. 答在魯族姪-丙申 (20) 1716. 윤증을 옹호하기 위해 권상하 등을 공격하는 李眞儒의 상소 내용을 비판하며 윤증이 背師 행위를 했다는 사실은 숨길 수 없는...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회헌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檢閱을 사직하고자 올린 상소문이다. 史官을 천거하는 일로 宋眞明(1688∼1738)이 상소문을 올려 자신을 비판한 데 대해, 그간의 상황과 자신의 입장을 해명하고, 宋眞明이 천거를 전횡하려 한다며 비난하는 내용이다. 李眞儒疏後辭檢閱疏 (7) 1715. 藝文館...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의 문신 ()를 그린 . 비단 바탕에 채색.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가 2001년 4월 2일에 문화재에서 해제되었다. 은 현재 중국본과 한국본의 두 벌이 함께 전해지고 있어 조선 후기 초상화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