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재로” 에 대한 검색결과 3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5)

사전(93)

  • 백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의 시문집. [개설] 본관은 의성. 자는 성석(聖錫), 호는 백우(白愚). 봉화(奉化) 출생. 우한(遇翰)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흥해배씨(興海裵氏)로 현린(顯麟)의 딸이다. 김흥락(金興洛)의 문인이다. 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초상화
    이칭별칭 중례(仲禮)| 청사(淸沙), 허주재(虛舟齋)| 충정(忠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인천광역시 남동구 운연동에 있는 의 유택. [내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호. 운연동에서 만의골로 꺽어 들어가는 길 오른쪽 산에 청풍김씨(淸風金氏)의 묘역이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윗편에 위치하고 있다. 뒤로 곡...
    연계항목김재로묘(金在魯墓)
  • 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를 그린 영정. [내용] 비단 바탕에 채색.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의 영정은 현재 중국본과 한국본의 두 벌이 함께 전해지고 있어 조선 후기 초상화 연구에서 매우 중...
  • 서종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데, 그는 그 일을 주재하고 있던 영의정 ()에게 편지를 보내어 신법의 불편을 극진하게 논하였다. 그는 토지의 경계를 정하고 소유면적을 제한하는 일이 백성들에게 편하고 국가재정을 튼튼하게 하는 요체라 하여 60여 조항에 걸친 논설을 지어「곽식문답(藿食...
    이칭별칭 사함(士涵)| 경은(經隱)

고서·고문서(202)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2∼1759). 숙종 대에 관직을 지내며 여러 사건으로 파직되고 복직되기를 여러번 했다. 1731년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 김창집·이이명을 신원되게 하고, 1746년 김종서·황보인의 복관을 건의하여 신원되게 하였다. 저서로는 《천의소감언해》와 《

  • 영정 / 影幀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의 문신 ()를 그린 영정. 비단 바탕에 채색.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가 2001년 4월 2일에 문화재에서 해제되었다. 의 영정은 현재 중국본과 한국본의 두 벌이 함께 전해지고 있어 조선 후기 초상화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 천의소감언해 / 闡義昭鑑諺解 [언어/언어/문자]

    ()·이천보(李天輔)·조재호(趙在浩) 등 39명의 신하를 시켜 한문으로 『천의소감』을 짓게 하면서 동시에 한글로 번역시켜 이듬해에 함께 간행하였다.

  • 고경중마방 / 古鏡重磨方 [종교·철학/유학]

    1744년 가 쓴 ‘어제고경중마방편제’가 있으며 영조의 어제시가 있다. 본문에는 고대의 성왕인 은탕의 반명과 주무왕의 석사단명 등으로부터 당송의 명현인 한유의 오잠, 정자의 사물잠 등 23명의 잠·명 76편을 수록하였다.

  • 국조상례보편 / 國朝喪禮補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인 홍계희 등이 편집한 궁중예제에 관한 책. 6권 6책. 활자본. 서문에 영조 어제와 의 봉교전서, 신만의 봉교후서가 있다.『국조오례의』 중 의주가 없든지, 옛날에는 있었으나 지금은 없는 것 등을 작도하였다. 권1은 왕의 고명 절차로부터 죽은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