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재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4)
사전(93)
- 백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김재로(金載璐)의 시문집. [개설] 본관은 의성. 자는 성석(聖錫), 호는 백우(白愚). 봉화(奉化) 출생. 우한(遇翰)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흥해배씨(興海裵氏)로 현린(顯麟)의 딸이다. 김흥락(金興洛)의 문인이다. 일...
- 김재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김재로 초상화이칭별칭 중례(仲禮)| 청사(淸沙), 허주재(虛舟齋)| 충정(忠靖)
- 김재로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인천광역시 남동구 운연동에 있는 김재로의 유택. [내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호. 운연동에서 만의골로 꺽어 들어가는 길 오른쪽 산에 청풍김씨(淸風金氏)의 묘역이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윗편에 위치하고 있다. 뒤로 곡...연계항목김재로묘(金在魯墓)
- 김재로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재로(金在魯)를 그린 영정. [내용] 비단 바탕에 채색.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김재로의 영정은 현재 중국본과 한국본의 두 벌이 함께 전해지고 있어 조선 후기 초상화 연구에서 매우 중...
- 서종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데, 그는 그 일을 주재하고 있던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에게 편지를 보내어 신법의 불편을 극진하게 논하였다. 그는 토지의 경계를 정하고 소유면적을 제한하는 일이 백성들에게 편하고 국가재정을 튼튼하게 하는 요체라 하여 60여 조항에 걸친 논설을 지어「곽식문답(藿食...이칭별칭 사함(士涵)| 경은(經隱)
고서·고문서(201)
- 영의정 김재로 치제문(領議政金在魯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김재노 강간 피고사건 판결문( 金在魯 强姦 被告事件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CJA0000536-0007 大正12年刑上第64號 국가기록원 조선고등법원 金在魯 强姦 被告事件 判決文 김재노 강간 피고사건 판결문 판결문 일본어 1923. 5. 5. 조선고등법원 판사 石川正외 4인 강간 김재노 평양부 하수곡리 14 한국근대사 피고는 유...제목김재노 강간 피고사건 판결문( 金在魯 强姦 被告事件 判決文) | 사건유형 강간 | 소장처국가기록원
- 속대전(續大典)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법제-법령 | 형식분류고서-법전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明禮宮(1887)_황해도 황주목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08639 18211_0953 奎18211 明禮宮(1887) 황해도 황주목 永豊坊 敬天里 황해도 황주목 永豊坊 敬天里 26 26결 김재노(金在潞) 김재노(金在潞)자료번호18211_0953 [奎18211]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931년 양정숙(梁正叔) 매도증서(賣渡證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931년3월 20일에 무안군 하의면 대리에 사는 김재로가 하의면 대리 남산평의 논 7승락에 대한 소작권을 양정숙에게 33원을 받고 매도한 문서이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계약서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 현소장처신안 제주양씨 양만석
주제어사전(5)
-
김재로 / 金在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2∼1759). 숙종 대에 관직을 지내며 여러 사건으로 파직되고 복직되기를 여러번 했다. 1731년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 김창집·이이명을 신원되게 하고, 1746년 김종서·황보인의 복관을 건의하여 신원되게 하였다. 저서로는 《천의소감언해》와 《
-
김재로 영정 / 金在魯 影幀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의 문신 김재로(金在魯)를 그린 영정. 비단 바탕에 채색.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가 2001년 4월 2일에 문화재에서 해제되었다. 김재로의 영정은 현재 중국본과 한국본의 두 벌이 함께 전해지고 있어 조선 후기 초상화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
천의소감언해 / 闡義昭鑑諺解 [언어/언어/문자]
년 김재로(金在魯)·이천보(李天輔)·조재호(趙在浩) 등 39명의 신하를 시켜 한문으로 『천의소감』을 짓게 하면서 동시에 한글로 번역시켜 이듬해에 함께 간행하였다.
-
고경중마방 / 古鏡重磨方 [종교·철학/유학]
1744년 김재로가 쓴 ‘어제고경중마방편제’가 있으며 영조의 어제시가 있다. 본문에는 고대의 성왕인 은탕의 반명과 주무왕의 석사단명 등으로부터 당송의 명현인 한유의 오잠, 정자의 사물잠 등 23명의 잠·명 76편을 수록하였다.
-
국조상례보편 / 國朝喪禮補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인 홍계희 등이 편집한 궁중예제에 관한 책. 6권 6책. 활자본. 서문에 영조 어제와 김재로의 봉교전서, 신만의 봉교후서가 있다.『국조오례의』 중 의주가 없든지, 옛날에는 있었으나 지금은 없는 것 등을 작도하였다. 권1은 왕의 고명 절차로부터 죽은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