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장생” 에 대한 검색결과 7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94)

사전(486)

  • 임의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誠)의 딸이다. ()의 문인으로,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교유하였다. [내용]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모두 강화에 피난하였으나 그는 패전을 예측하고 가족을 충청도에 피난시켜 피해를 입지 않았다. 음보(蔭補)로 제용감참봉(濟用監參奉)과...
    이칭별칭 계방(季方)| 금시당(今是堂)
  • 권순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27년(인조 5) 생원ㆍ진사시에 합격하고, 1645년 빙고별좌(氷庫別坐)에 제수되었다. 심기원(沈器遠)의 역모사건 평정에 참가한 공로로 1646년에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이 되었다.
    이칭별칭 성지(聖之)
  • 김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대로 보령에서 살았다. [내용] 어려서부터 정홍명(鄭弘溟)과 교유하고 ()의 문하에서 배웠으며, 여러 제자들 가운데서도 특히 칭찬을 받았다고 한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 이 의병을 일으키자, 여러 고을의 창의관(倡義...
    이칭별칭 심원(深源)
  • 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문인이다. [내용] 1610년(광해군 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문한관(文翰官)을 거쳐, 1623년(인조 1) 정언(正言)으로서 이준(李峻)ㆍ윤황(尹煌) 등과 함께 강화도에 안치된 폐세자(廢世子)의 탈출사건에 대한 관대한...
    이칭별칭 우고(友古)| 사은(士隱)
  • 김수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99(선조 32)∼1680(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천휴(天休), 호는 만휴당(晩休堂). 할아버지는 우의정 상용(尙容)이며, 아버지는 광형(光炯)이다. 일찍부터 ()의 문하에서 학...
    이칭별칭 천휴(天休)| 만휴당(晩休堂)

고서·고문서(201)

  • 1627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27년(인조5)1월 25일에 이 안방준에게 보낸 편지이다. 정묘호란에 호소사로 내려온 이 “의리로 떨쳐 일어나 대장의 깃발을 세워 향병(鄕兵)을 이끌고 나와 함께 임금을 위해 충성하는 길을 도모하자”고 말하고, 이미 안방준을 호남의병장으로 추천하는 장계...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五 附錄 三 1 行狀[門人()撰] 35_103_004.jpg 行狀[門人()撰] 本貫京畿豐德府德水縣。 高祖抽, 知郡事、贈左贊成, 妣尹氏, 贈貞敬夫人。 曾祖宜碩判官贈大司憲, 妣崔氏贈貞夫人。 祖蕆贈左參贊, 妣洪氏贈貞夫人。 父元秀監察...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주역대전 : 해제_5. ()의 경서변의(經書辨疑)-주역(周易)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58 해제 5. ()의 경서변의(經書辨疑)-주역(周易) ()은 명종 3년(1548)에 한양에서 태어나 인조 9년(1631) 8월 83세에 작고한 조선 중기의 학자로 흔히 한국 예학(禮學)의 체계를 확립하였다고 평가된다. 본관은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사계선생유고(沙溪先生遺稿)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구술자료(1)

  • 초상집에서 잉태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 후에 잠시 음료를 마시고 향교에 위패가 봉안되어 있는 성현들에 대해 얘기했다. 그런 후 다음을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1년 1월 13일(목) | 조사장소순창군 풍산면 유정리 603-4번지 풍남경로당 | 제보자안상윤

기초학문(5)

  • 사계(沙溪) () 예학의 성리학적 보편성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문갑, 게재일 : 2005
    08047 김문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남대학교 동서문화연구소 2005 사계(沙溪) () 예학의 성리학적 보편성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金集의 禮學과 元宗追崇論爭의 철학사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봉규, 게재일 : 1998
    08098 이봉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사학회 1998 ‧金集의 禮學과 元宗追崇論爭의 철학사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
    유형논문 | 게재일1998
  • 沙溪 의 상서 해석* -經書辨疑-書傳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만일, 게재일 : 2017
    17705 김만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7 沙溪 의 상서 해석* -經書辨疑-書傳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펠라기우스주의자들의 두 서신을 반박하며』I, xi, 24에서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도의 죄성 이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장생, 게재일 : 2011
    53652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신학연구소 2011 『펠라기우스주의자들의 두 서신을 반박하며』I, xi, 24에서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도의 죄성 이해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경생리학적 감각이해를 통해 조명한 신학과 과학의 관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장생, 게재일 : 2008
    27589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세철학회 2008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경생리학적 감각이해를 통해 조명한 신학과 과학의 관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08

기타자료(1)

  • (한국교육의 맥5) , 김집 부자와 둔암서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교육의 맥5) , 김집 부자와 둔암서원 (한국교육의 맥5) , 김집 부자와 둔암서원 (한국교육의 맥5) , 金集 부자와 遯癌書院 교육 문헌 교육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금장태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64)

  • / [종교·철학/유학]

    1548-1631. 조선 선조, 광해군 때의 성리학자. 예학자.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다. 그는 임진왜란, 병자호란과 당쟁이 격심하던 시대에 살았다. 이러한 시기에 주자학의 이념으로 재정비하려고 시도했다. 그의 저술은 현존하는 조선 예서 중에서 창시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 문묘배향교지 / 文廟配享敎旨 [언론·출판/출판]

    1717년 문신·학자 의 문묘 배향을 교명한 교지. 1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이 교지의 내용은 일종의 교서(敎書)에 해당하는데, 머리에 ‘敎贈領議政文元公從祀文廟書(교증영의정문원공종사문묘서)’라 하였고, 지키고 행하여야 할 교명(敎命)을

  • 권극중 / 權克仲 [종교·철학/유학]

    1585-1659 조선 성종때의 성리학자·도교학자. 13세부터 의 문인인 최명룡에게 수학하였다. 1606년 의 문하에 들어갔으나, 신병으로 즉시 귀향하였다. 1612년 진사가 되었으나 정국의 혼란에 자극되어 은거하였다. 유교, 불교, 도교를 일관하는 사상을

  • 김집 / 金集 [종교·철학/유학]

    1574-1656. 조선 효종때의 예학자. 성리학자. 의 아들이다. 아버지와 송익필에게서 예학을 전수받았다.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어 효종과 함께 북벌을 계획하였다. 부친 과 함께 조선예학의 기본적 체계를 완비하였다. 저서로는 <신독재유고>, 편서로는

  • 정홍명 / 鄭弘溟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1650(효종 1).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철, 어머니는 유강항의 딸이다. 송익필·의 문인이다. 송익필에게 글을 배우고, 의 문하에 들어가 『주역』·『근사록』 등을 배웠다. 1616년(광해군 8) 문과에 급제, 부제학, 대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