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일손” 에 대한 검색결과 2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9)

사전(151)

  • 탁영거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ㆍ문신 ()이 타던 거문고. [내용] 길이 160㎝, 너비 19㎝, 높이 10㎝. 보물 제957호. 1490년(성종 21)경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문고 중앙부분에 ‘濯纓琴(탁영금)’이라는 문자가 음각...
    연계항목탁영거문고(濯纓거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ges : Political Conflict in Early Yi Korea(Wagner,E.W.,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글씨 1464(세조 10)-1498(연산군 4...
    이칭별칭 계운(季雲)| 탁영(濯纓), 소미산인(少微山人)| 문민(文愍)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장두헌에 사는 사람으로, 새로 내려온 어사에게 자신의 아버지가 벌을받다 억울하게 죽자, 어사를 죽이고 도망간다. 호랑이가 삼을 캐던 사람들을 위협하는 모습을 보고 잡아 죽인다 때마침 이를 지켜보던. 김취경을 만나 인사를 나누고 후일에 나라를 위해 같이 생사를 도모하기로...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남효온, 김종직과 함께 뒤늦게 연회에 참석해 종직이 지은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어 충성을찬했다가 화를 당한 이야기를 해 단종에게 충신이란 말을듣는다. 황제가 종직에게 [의제문]을 기억하냐고 하자 외우고 있다며 써 올리기를 청해 제문을 써 바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연산군 때 세조에 의해 물가에 이장된 단종의 생모 현덕왕후의 능인 소릉(昭陵)의 복위를 상소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66)

  • 人事門3_挽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挽詩 佔畢齋 金宗直特一文士. 擢第於世祖朝, 後官至六卿, 其《弔義帝文》分明寓意, 是甚道理? 其徒載之史草, 而禍作, 廢王之政固昏暴, 而事旣彰露, 其有幸逭之道乎? 南袞之挽馹孫遷葬詩云: “執筆書所聞, 史家之常規. 只是腹中劒, 强覓毛底疵. 豈比元魏人, 列惡張道逵.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7 第七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25년_대외면( 大外面) 1825년 대외면( 大外面) 第二十五龜海里 7 第七統統首 第一戶 主鎭軍年肆拾貳甲辰本김海父漢貴祖突先曾祖成文外祖李介屎本慶州 率人女李召史年肆拾貳甲辰子長水道驛保哲伊年拾肆壬申子長水道驛保小哲年柒己 卯女年伍辛巳等壬午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825년_대외면( 大外面) | 면이름대외면( 大外面) | 마을이름第二十五龜海里
  • 1799년 ()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9년(정조23) 김시영이 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김시영이 판 밭은 선대의 묘를 돌보는 비용을 대는 묘위전이었다. 당시 상중이었던 김시영은 서명을 하지 않았다. 상중에 토지거래와 같은 경제행위에 나서는 것을 꺼렸...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탁영선생문집(濯纓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1808년 박시채(朴時采)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08년 10월 13일에 이 박시채에게 임실현 강진면 손곡리에 있는 산지를 120냥에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거래가 된 토지의 소재지는 오늘날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임실 청웅 밀양박씨가

구술자료(1)

  • 강인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김덕경, 김동선, 김동진, 김동하, 김병연, 김성은, 김성환, 김신조, 김연준, 김영군, 김원주, 김인권, 김일(박덕산), 김일성, , 김재규, 김재순, 김정일, 김조순, 김종필(JP), 김종환, 김준엽, 김창성, 김창숙, 김창순, 김창파, 김평일, 김형욱, 도이
    구술자강인덕 | 직업장관 | 지역평안도

기초학문(1)

  • 탁영 의 지리산유람과 속두류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8683 한국연구재단 경상대 경남문화연구원 2010 탁영 의 지리산유람과 속두류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주제어사전(12)

  • / [종교·철학/유학]

    1464(세조 10)∼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학자·문신. 할아버지는 극일, 아버지는 집의 맹, 어머니는 이씨이다. 1486년(성종 17) 생원에 수석으로 합격, 이 해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하였다. 이어 같은 해에 식년 문과 갑과 제2인으로 급제하였다.

  • 사장학 / 詞章學 [종교·철학/유학]

    문장과 시부를 중시한 학문. 조선 중종 때 도학을 중시하는 조광조 일파에 대해 한문학도 무시할 수 없다고 나선 문학 중심의 학파를 지칭한다. 대표적 인물로는 , 남효온, 조위, 남곤 등이다.

  • 무오사화 / 戊午史禍 [정치·법제/정치]

    1498년(연산군 4) 등 신진사류가 유자광을 중심으로 한 훈구파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 조선시대에 일어난 사대사화 중 첫번째로 일어났던 사화이며, 사초문제로 발단되었기에 무오사화라고 한다.

  • 권오복 / 權五福 [종교·철학/유학]

    1467(세조 13)∼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권유손, 아버지는 별좌 권선, 어머니는 이조판서 이계전의 딸이다.김종직의 문하생으로 당시의 청류와 교분이 넓었고, 특히 과는 막역한 사이였다.무오사화가 일어나자 향리에서 잡혀 올라와 같은

  • 자계서원 / 紫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서원리에 있는 서원. 1518년(중종 13) 지방 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자계사(紫溪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576년(선조 9) 서원으로 승격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15년(광해군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