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인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8)
사전(142)
- 김인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명종실록(明宗實錄)』 『하서집(河西集)』 김인후 필적 1510(중종 5)-1560(명종 15). 조선 중기의 학자, 문신. 글씨...이칭별칭 후지(厚之)| 하서(河西), 담재(湛齋)| 문정(文靖)
- 김인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몽유자[김광수]의 13대 조부로 염라국의 왕이 된다. 자신의 후손인 김광수가 조선을 침략한 일본의 만행에 대한 상소를 올리자 이를 보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칭찬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金麟厚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618 金麟厚 남자 神童, 玉堂, 時事, 詩酒 蔚山, 河西 厚之, 中廟, 仁廟 D_08_02_35 대동운부군옥 8권 2장 3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2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남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딸이다.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의 문인이다. [내용] 어려서 이항(李恒)과 함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토론하며 학문에 열중하였다. 그리고 정철(鄭澈)ㆍ변성온(卞成溫)ㆍ기효간(奇孝諫) 등과도 교유하였는데, 특히 이황은 ‘동방의 도학을 전수할 사...이칭별칭 장보(張甫), 계헌(季憲)| 고반(考槃), 정재(靜齋)
- 김성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딸이다. 김인후(金麟厚)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7세 때 아버지는 잃고 숙부에게 수학하여 1551년(명종 6) 향시(鄕試)에 일등하였으며, 정철(鄭澈)과 특계(特契)를 맺고 『근사록(近思錄)』ㆍ『주역(周易)』 등을 공부하였다. 1558년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이칭별칭 강숙(岡叔)| 서하(棲霞)
고서·고문서(46)
- 하서선생전집(河西先生全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백련초해(百聯抄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하서선생전집속편(河西先生全集續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하서선생전집(河西先生全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하서선생전집(河西先生全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기초학문(5)
- 하서 김인후 문집 판본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연순, 게재일 : 201417913 이연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고전학회 2014 하서 김인후 문집 판본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김인후의 48영에 표상된 소쇄원의 소리풍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명호, 게재일 : 201557363 한명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건축역사학회 2015 김인후의 48영에 표상된 소쇄원의 소리풍경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5
- 그리움의 분노-하서 김인후의 통곡과 유소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69872 한국연구재단 한국인물사연구회 2013 그리움의 분노-하서 김인후의 통곡과 유소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3
- 河西 金麟厚 상의 형성과 그 시대적 맥락 - 생애자료에 대한 비교변증을 통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남이, 게재일 : 201517914 김남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고전학회 2015 河西 金麟厚 상의 형성과 그 시대적 맥락 - 생애자료에 대한 비교변증을 통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유형논문 | 게재일2015
- 河西 金麟厚의〈岑夫子歌〉〈空同子歌〉 〈次贈梁甥仲明〉 연구-1458년 점암촌 퇴거 이후의 자기 형상과 시적 성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남이, 게재일 : 201717820 김남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시학회 2017 河西 金麟厚의〈岑夫子歌〉〈空同子歌〉 〈次贈梁甥仲明〉 연구-1458년 점암촌 퇴거 이후의 자기 형상과 시적 성취- https://www.krm.or.kr/kr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4)
- 金仁厚(永信旅館)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仁厚(永信旅館) 서울 金仁厚 永信旅館 貫鐵町 191 여숙업 - 여관(旅舘) - 3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仁厚(永信旅館) | 지역서울 | 품목여숙업 | 영업종목여관(旅舘)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민세안재홍전집 : 哭譜(四)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108 1925 8 24 9 4 民世學人 安在鴻 哭譜(四) 신문 조선일보 1면4단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鄭忠信, 元天錫, 申光漢, 金麟厚, 安裕, 許蘭雪軒, 崔瑩, 鄭夢周, 李穡 A19250824조선...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투사신문_1950_0510_04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미연 방지 대책에 만전을 기하자. 농림성 농산국 부국장 김인후 ▲ 7:45 인민가요 ▲ 8:00 조국통일을 위하여 영용하게 투쟁하는 공화국 남반부 인민들에게 보내는 시간 1. 뉴―쓰 2. 강연 의거 입북한 국방군 제1사단장 제13련대 제2대대 제3소대 제...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10_04_02 | 책임주필한효
- 함남로동신문_1949_0830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강대직, 박윤영, 리상훈, 김남홍, 박중원, 박정근, 리일수, 한광수, 로병천, 김구남, 정종원, 최일남, 유경훈, 유광호, 하규선, 김인후, 백태규, 박만하, 배건주, 김창규, 원항식, 김흥문, 한상환, 독고준, 한대정, 조운학, 김창남, 김길수, 정종대, 신인섭,...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830_01 | 책임주필강길고
기타자료(1)
- 1946년 7월 평안남도 경무사령관 보고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포된 「농업현물세에 관한 결정서」는 “각종 곡물 수확량의 25%”를 국가에 납부하게 했다. 조선중앙년감(국내편) 1949, 조선중앙통신사, 1950, 72쪽. 을 크게 지지하면서 맞이하였다. 농민인 김인후(Ким Ин Ху)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이제 경작...키워드경무사령부, 평안남도, 정치동향, 인민위원회, 정당 및 사회단체, 농업, 공업, 상업, 보건, 교육 등 | 대표주제어경무사령부 | 발신자평안남도 소련군사령부 대표 비고르카, 평안남도 경무사령관 얌니코프 | 수신자민정 담당 부사령관
주제어사전(21)
-
김인후 / 金麟厚 [종교·철학/유학]
1510-1560. 조선 명종때의 성리학자. 1540년 과거급제하여 승문원 정자에 등용되었다. 그 뒤 박사, 부수찬 등을 지냈다. 학문은 정주학에 기초하여 성경을 위주로 하였으며 서경덕의 학문이 사변적이라고 비판했다. 선학, 양명학, 불교에 대해서도 반대하였다. 저서로
-
어암서원 / 魚巖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둔전리에 있었던 서원. 1827년(순조 2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인후(金麟厚)·이이(李珥)·정철(鄭澈)·김시서(金時瑞)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김인후가 강학하던 훈몽재(訓蒙齋) 곁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
-
김하서전 / 金河西傳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한문소설. 필사본. 조선 중기의 문신인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를 소설화한 야담계(野談系) 고전소설로, 『잡기유초(雜記類抄)』에 실려 있다. 창작 시기는 본격적 야담이 등장하는 17세기 중·후반을 상회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
백련초해 / 百聯抄解 [언어/언어/문자]
초학자에게 한시를 가르치기 위하여 칠언고시(七言古詩) 중에서 연구(聯句) 100개를 뽑아서 한글로 해석을 붙인 책. 연구의 한 자마다 『천자문(千字文)』과 같이 한글로 새김과 독음을 단 뒤에 그 구의 번역을 붙였는데, 김인후(金麟厚)의 편찬이라고 전하여진다. 그러나
-
장성필암서원 / 長城筆巖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에 위치한 서원. 1590년(선조 23) 호남 유림들이 김인후(金麟厚)의 도학을 추모하기 위해 장성읍 기산리에 사우(祠宇)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597년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어 1624년 복원하였으며, 1662년(현종 3) 지방 유림들의 청